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결성농요 복원과 재구성의 사회문화적 맥락 및 의미 = The Sociocultural Contexts and Meanings of Restoration and Reconstruction of Gyeolseong Farming So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70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yeolseong farming songs, which originate from Gyeolseong-myeon Hongseong-gun in Chungcheongnam-do, began to attract people’s attention after the songs won the grand prize at the 34th National Folk Arts Contest held in Cheongju in 1993. Afterwards, these songs were designated as No. 20 intangible cultural assets of Chungcheongnam-do. As Gyeolseong farming songs have a long history, attractive melodies, and well-structured artistic characteristics, they are highly valuable in terms of not only preservation of tradition but also education. At the time of restoring the songs, some generation in the Gyeolseong area experienced traditional culture in which they sang those folk songs while doing farm work, but there were more people from other generations who did not have such experience. Nevertheless, the area’s resid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estoration and reconstruction of farming culture and Gyeolseong farming songs they had never experienced.
      Positive implications of the restoration of the Gyeolseong farming songs were that these residents made a contribution to the discovery of traditional culture through restoring the disappearing agricultural work songs of the Gyeolseong region and their community spirit and self-esteem were strengthened through the process. In terms of authenticity, however, the best efforts were made to save the originality at the time of restoration, but it cannot be argued that it is the authentic agricultural work songs sung in traditional society because they have already left the agricultural field. Nevertheless, the meanings of restoration and reconstruction of Gyeolseong farming songs are significant in that the process was constructed following the order of farming and the entire frame of the songs due to their restoration.
      The Conservation Association of Gyeolseong farming songs is highly regarded because it not only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Folk Arts Contest but also is striving to educate and pass on the agricultural culture until now by actively performing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build a museum for Gyeolseong farming songs. From a 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 a round of farming songs, such as the Gyeolseong farming songs, is a remarkable teaching topic that enables music education integrated with social studies and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aching sociocultural values contained in folk songs is meaningful in that it internalizes values pursued by Korean people, and cultivates human nature, and enables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
      번역하기

      Gyeolseong farming songs, which originate from Gyeolseong-myeon Hongseong-gun in Chungcheongnam-do, began to attract people’s attention after the songs won the grand prize at the 34th National Folk Arts Contest held in Cheongju in 1993. Afterwards, ...

      Gyeolseong farming songs, which originate from Gyeolseong-myeon Hongseong-gun in Chungcheongnam-do, began to attract people’s attention after the songs won the grand prize at the 34th National Folk Arts Contest held in Cheongju in 1993. Afterwards, these songs were designated as No. 20 intangible cultural assets of Chungcheongnam-do. As Gyeolseong farming songs have a long history, attractive melodies, and well-structured artistic characteristics, they are highly valuable in terms of not only preservation of tradition but also education. At the time of restoring the songs, some generation in the Gyeolseong area experienced traditional culture in which they sang those folk songs while doing farm work, but there were more people from other generations who did not have such experience. Nevertheless, the area’s resid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estoration and reconstruction of farming culture and Gyeolseong farming songs they had never experienced.
      Positive implications of the restoration of the Gyeolseong farming songs were that these residents made a contribution to the discovery of traditional culture through restoring the disappearing agricultural work songs of the Gyeolseong region and their community spirit and self-esteem were strengthened through the process. In terms of authenticity, however, the best efforts were made to save the originality at the time of restoration, but it cannot be argued that it is the authentic agricultural work songs sung in traditional society because they have already left the agricultural field. Nevertheless, the meanings of restoration and reconstruction of Gyeolseong farming songs are significant in that the process was constructed following the order of farming and the entire frame of the songs due to their restoration.
      The Conservation Association of Gyeolseong farming songs is highly regarded because it not only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Folk Arts Contest but also is striving to educate and pass on the agricultural culture until now by actively performing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build a museum for Gyeolseong farming songs. From a 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 a round of farming songs, such as the Gyeolseong farming songs, is a remarkable teaching topic that enables music education integrated with social studies and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aching sociocultural values contained in folk songs is meaningful in that it internalizes values pursued by Korean people, and cultivates human nature, and enables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에서 전승되어 내려온 결성농요는 1993년 청주에서 열린 제34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면서 주목받게 되었으며, 이후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0호로 지정되었다. 결성농요는 오랜 역사와 구성진 선율, 그리고 짜임새 있는 예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보존과 전승의 가치는 물론 교육적 가치도 크다. 결성농요가 복원되던 시점의 결성 지역 구성원들 중에는 농요를 부르며 농사를 짓던 전통적인 문화를 경험한 세대도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세대의 사람들이 더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성 지역민들은 경험해보지 않은 농사문화와 결성농요의 복원과 재구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결성농요 복원의 긍정적인 의미를 찾아보면 결성민들은 사라져가는 결성 지역의 농업노동요 한 바탕을 복원함으로써 전통문화 발굴에 기여했다는 점과 결성 지역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고 자긍심을 고양시켰다는 점이다. 그러나 원형성의 측면에서 본다면 복원 당시의 시점에서 원형성을 살리기에 최선을 다 한 것이지만 이미 농업 현장을 떠난 농업노동요이기 때문에 전통사회에서 불리던 그대로의 농요라고 주장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성농요의 복원으로 인하여 농사의 순서와 결성농요 전체의 틀에 맞게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결성농요 복원과 재구성의 의미는 크다.
      결성농요 측에서는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전한 데에 그치지 않고 이후로도 대내외적으로 활발한 공연 활동을 하고 결성농요박물관을 짓는 등 현재까지 농업문화의 교육과 전승에 힘쓰고 있다는 점이 높이 평가된다. 특히 우리문화를 교육하는 측면에서 볼 때 결성농요와 같은 농요 한 바탕은 사회, 국어과 등과의 통합적인 음악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훌륭한 제재이다. 민요에 담긴 사회․문화적 가치를 지도하는 것은 우리 민족이 추구했던 가치를 내면화하여 인성을 함양하고 전통을 계승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에서 전승되어 내려온 결성농요는 1993년 청주에서 열린 제34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면서 주목받게 되었으며, 이후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에서 전승되어 내려온 결성농요는 1993년 청주에서 열린 제34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면서 주목받게 되었으며, 이후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0호로 지정되었다. 결성농요는 오랜 역사와 구성진 선율, 그리고 짜임새 있는 예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보존과 전승의 가치는 물론 교육적 가치도 크다. 결성농요가 복원되던 시점의 결성 지역 구성원들 중에는 농요를 부르며 농사를 짓던 전통적인 문화를 경험한 세대도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세대의 사람들이 더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성 지역민들은 경험해보지 않은 농사문화와 결성농요의 복원과 재구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결성농요 복원의 긍정적인 의미를 찾아보면 결성민들은 사라져가는 결성 지역의 농업노동요 한 바탕을 복원함으로써 전통문화 발굴에 기여했다는 점과 결성 지역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고 자긍심을 고양시켰다는 점이다. 그러나 원형성의 측면에서 본다면 복원 당시의 시점에서 원형성을 살리기에 최선을 다 한 것이지만 이미 농업 현장을 떠난 농업노동요이기 때문에 전통사회에서 불리던 그대로의 농요라고 주장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성농요의 복원으로 인하여 농사의 순서와 결성농요 전체의 틀에 맞게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결성농요 복원과 재구성의 의미는 크다.
      결성농요 측에서는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전한 데에 그치지 않고 이후로도 대내외적으로 활발한 공연 활동을 하고 결성농요박물관을 짓는 등 현재까지 농업문화의 교육과 전승에 힘쓰고 있다는 점이 높이 평가된다. 특히 우리문화를 교육하는 측면에서 볼 때 결성농요와 같은 농요 한 바탕은 사회, 국어과 등과의 통합적인 음악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훌륭한 제재이다. 민요에 담긴 사회․문화적 가치를 지도하는 것은 우리 민족이 추구했던 가치를 내면화하여 인성을 함양하고 전통을 계승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형,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문화체육관광부 2009

      2 김혜정,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문화체육관광부 2009

      3 김혜정,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문화체육관광부 2009

      4 김헌선,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문화체육관광부 2009

      5 김헌선,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문화체육관광부 2009

      6 신은주, "한국민속예술축제를 통한 지역 농악의 발굴과 보존" 동양음악연구소 35 : 37-65, 2013

      7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續" 선명문화사 1975

      8 한양명, "한국 민속예술축제가 민속의 전승에 미친 영향" 한국민속학회 50 : 129-156, 2009

      9 최혜진, "판소리 명창의 비조 최선달 연구" 판소리학회 (45) : 373-401, 2018

      10 성기련, "최광순 2000년 5월 5일 면담 자료"

      1 김기형,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문화체육관광부 2009

      2 김혜정,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문화체육관광부 2009

      3 김혜정,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문화체육관광부 2009

      4 김헌선,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문화체육관광부 2009

      5 김헌선,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문화체육관광부 2009

      6 신은주, "한국민속예술축제를 통한 지역 농악의 발굴과 보존" 동양음악연구소 35 : 37-65, 2013

      7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續" 선명문화사 1975

      8 한양명, "한국 민속예술축제가 민속의 전승에 미친 영향" 한국민속학회 50 : 129-156, 2009

      9 최혜진, "판소리 명창의 비조 최선달 연구" 판소리학회 (45) : 373-401, 2018

      10 성기련, "최광순 2000년 5월 5일 면담 자료"

      11 김민하,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농경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7 (7): 21-49, 2013

      12 김민하, "지역화 교육을 위한 충청도 음악문화의 교육적 접근"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9 (9): 57-93, 2015

      13 한양명, "중요무형문화재 예능분야의 원형과 전승 문제에 대한 반성적 검토" 한국민속학회 44 : 561-594, 2006

      14 "중앙일보"

      15 "중앙일보"

      16 "중앙일보"

      17 "조선일보"

      18 "조선일보"

      19 김기형, "전국민속예술축제의 역사와 성격" 한국민속학회 50 : 7-47, 2009

      20 이보형, "전국민속예술 경연대회 수상작 순례 예천통명농요" 107 : 1986

      2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신문․잡지국악기사자료집" 민속원 2004

      22 "동아일보"

      23 김민하, "농업노동요의 교재곡 선정 및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24 정인삼, "농악의 얼, 일깨운지 한평생 춤의 신명, 물깨운지 반백년" 보고사 2011

      25 이은정, "경산자인단오제 전승환경 변화에 대한 탐색" 민족문화연구소 (66) : 71-100, 2017

      26 "결성면 제작 <결성농요> 비디오"

      27 배동순, "결성농요" 결성농요보존회 2000

      28 한윤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교과서의 민요 지도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 한국민요학회 43 (43): 175-221, 2015

      29 성기련,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민요 관련 지도내용 고찰" 한국민요학회 25 : 187-224, 2009

      30 성기련, "18세기 판소리 음악문화 연구" 한국국악학회 34 : 165-182,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88 1.394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