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후기 향교소장 서책(書冊) 목록과 관리운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464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조선후기 향교소장 서책의 형성 과정과 서책구성 및 규모, 그리고 향교문고의 보관과 관리에 대한 연구이다. 조선후기에 편찬된 읍지에 실려 있는 서책목록과 향교의 소장 자료조사를 통해 발굴된 서책목록을 기본 자료로 이용하였다. 향교문고의 형성과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첫째, 조선전기 중앙으로부터의 頒賜 둘째, 조선후기 대체로 興學에 뜻이 있는 지방수령의 기금조성을 통한 마련, 그리고 세 번째 개인기증의 방법이다. 향교문고의 구성은 四書三經을 비롯한 유교경전과 小學類, 역사서 및 성리학 서적이 주가 되었다. 하지만 문집류를 적지 않게 구비하고 있는 경주향교의 경우를 보면 향교마다 서책의 규모는 달랐을 것으로 보인다. 향교에서의 서책관리는 지방수령이 교체될 때 후임 수령에게 인수인계해야 하는 물품 가운데 하나였기 때문에, 향교 내부에서는 ‘서책치부’를 갖추어 두고 관리하였다. 이를 담당하는 有司가 따로 있었고, 校任의 교체가 이루어질 때에는 치부기록과 소장서책을 일일이 검열하여 확인하였다. 향교의 소장 자료 가운데 서책목록이나 관련 자료를 더 조사하여 찾을 수 있다면 향후 좀 더 구체적인 향교문고의 모습을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조선후기 향교소장 서책의 형성 과정과 서책구성 및 규모, 그리고 향교문고의 보관과 관리에 대한 연구이다. 조선후기에 편찬된 읍지에 실려 있는 서책목록과 향교의 소장 자료조...

      이 연구는 조선후기 향교소장 서책의 형성 과정과 서책구성 및 규모, 그리고 향교문고의 보관과 관리에 대한 연구이다. 조선후기에 편찬된 읍지에 실려 있는 서책목록과 향교의 소장 자료조사를 통해 발굴된 서책목록을 기본 자료로 이용하였다. 향교문고의 형성과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첫째, 조선전기 중앙으로부터의 頒賜 둘째, 조선후기 대체로 興學에 뜻이 있는 지방수령의 기금조성을 통한 마련, 그리고 세 번째 개인기증의 방법이다. 향교문고의 구성은 四書三經을 비롯한 유교경전과 小學類, 역사서 및 성리학 서적이 주가 되었다. 하지만 문집류를 적지 않게 구비하고 있는 경주향교의 경우를 보면 향교마다 서책의 규모는 달랐을 것으로 보인다. 향교에서의 서책관리는 지방수령이 교체될 때 후임 수령에게 인수인계해야 하는 물품 가운데 하나였기 때문에, 향교 내부에서는 ‘서책치부’를 갖추어 두고 관리하였다. 이를 담당하는 有司가 따로 있었고, 校任의 교체가 이루어질 때에는 치부기록과 소장서책을 일일이 검열하여 확인하였다. 향교의 소장 자료 가운데 서책목록이나 관련 자료를 더 조사하여 찾을 수 있다면 향후 좀 더 구체적인 향교문고의 모습을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on the collection, category, scale, and management of books collected in hyanggos (the libraries of old confucian schools) in later Joseon. Primary data for this paper are the list of books printed in the town magazines published in the later Joseon and the collections in those old schools.The books were collected in three ways: first, they were distribut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during the early period; second, some of them were purchased with the fund local governors raised who were very interested in educating people; lastly by personal donors. The libraries consisted of mainly Confucian books including the Seven Chinese Classics (the Four Books and Three Classics), books for teaching children, histories, and Sung Confucianism. However, as we see in the case of Gyeongju hyanggyo which collected large amount of literary books, the scale of libraries must have been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the libraries were one of the important businesses to be transferred when the governors were changed, each hyanggyo kept book registers to maintain them. There were librarians who took charge of them in hyanggos, and they checked the registers and books when the librarians were transferred.If the book lists or any related data could be found more in hyanggos, more concrete study of it will be carried out.
      번역하기

      This paper is on the collection, category, scale, and management of books collected in hyanggos (the libraries of old confucian schools) in later Joseon. Primary data for this paper are the list of books printed in the town magazines published in the ...

      This paper is on the collection, category, scale, and management of books collected in hyanggos (the libraries of old confucian schools) in later Joseon. Primary data for this paper are the list of books printed in the town magazines published in the later Joseon and the collections in those old schools.The books were collected in three ways: first, they were distribut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during the early period; second, some of them were purchased with the fund local governors raised who were very interested in educating people; lastly by personal donors. The libraries consisted of mainly Confucian books including the Seven Chinese Classics (the Four Books and Three Classics), books for teaching children, histories, and Sung Confucianism. However, as we see in the case of Gyeongju hyanggyo which collected large amount of literary books, the scale of libraries must have been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the libraries were one of the important businesses to be transferred when the governors were changed, each hyanggyo kept book registers to maintain them. There were librarians who took charge of them in hyanggos, and they checked the registers and books when the librarians were transferred.If the book lists or any related data could be found more in hyanggos, more concrete study of it will be carried ou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 록
      • ABSTRACT
      • 1. 머리말
      • 2. 향교소장 서책의 형성
      • 3. 향교의 서책 목록
      • 초 록
      • ABSTRACT
      • 1. 머리말
      • 2. 향교소장 서책의 형성
      • 3. 향교의 서책 목록
      • 4. 향교소장 서책의 보관과 관리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지리지총서" 아세아문화사 1982

      2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1989

      3 이춘희, "조선조의 향교문고에 관한 연구" 5 : 1978

      4 김영철, "조선조 향교의 도서정책 연구: 조선초기부터 중기까지" 4 : 1987

      5 "조선시대사찬읍지" 한국인문과학원 1989

      6 윤희면, "조선시대 서원의 도서관 기능 연구" 역사학회 (186) : 1-26, 2005

      7 "실록, 增補文獻備考 學校考. 經國大典"

      8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경북향교자료집성(Ⅱ)" 영남대학교출판부 1981

      9 배현숙, "退溪藏書의 集散考" 10 : 1994

      10 배현숙, "紹修書院 收藏과 刊行 書籍考" 한국서지학회 (31) : 263-296, 2005

      1 "한국지리지총서" 아세아문화사 1982

      2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1989

      3 이춘희, "조선조의 향교문고에 관한 연구" 5 : 1978

      4 김영철, "조선조 향교의 도서정책 연구: 조선초기부터 중기까지" 4 : 1987

      5 "조선시대사찬읍지" 한국인문과학원 1989

      6 윤희면, "조선시대 서원의 도서관 기능 연구" 역사학회 (186) : 1-26, 2005

      7 "실록, 增補文獻備考 學校考. 經國大典"

      8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경북향교자료집성(Ⅱ)" 영남대학교출판부 1981

      9 배현숙, "退溪藏書의 集散考" 10 : 1994

      10 배현숙, "紹修書院 收藏과 刊行 書籍考" 한국서지학회 (31) : 263-296, 2005

      11 이춘희, "朝鮮朝의 敎育文庫에 관한 硏究" 1984

      12 김호일, "朝鮮後期 鄕校調査 硏究" 4 : 1985

      13 이성무, "朝鮮初期의 鄕校, In 李相玉博士回甲紀念論文集" 1969

      14 "書院誌叢書" 민족문화사 1987

      15 박현규, "屛山書院書冊目錄의 분석과 그 특징" 14 : 1994

      16 동국대학교도서관, "古書目錄集成" 동국대학교 1962

      1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古文書集成 제73 단성향교편" 2004

      1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古文書集成 제31 합천향교편" 1996

      1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古文書集成 제26 거창향교편" 1995

      20 옥영정, "「竹溪志」의 編纂과 版本에 관한 書誌的 硏究" 한국서지학회 (31) : 297-322,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3-05-01 평가 학술지 통합(기타)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