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진주시 남강변 식생과 식물상 분석 = The Vegetation Analysis of Namgang Riverside, Jinju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716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vegeta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vegetation management plan of Namgang river side. Survey of the flora was carried outvegetation survey on 5 routes. A total of 549 taxa comprising of 98 families, 3...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vegeta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vegetation management plan of Namgang river side. Survey of the flora was carried outvegetation survey on 5 routes. A total of 549 taxa comprising of 98 families, 320 genus, 496species, 1 subspecies, 43 varieties and 9 forma were investigated and it corresponds to about11.2% of 4,881 vascular plant species in Korean peninsular. Gramineae was the most abundantas 69 species (12%), followed by Compositae as 57 species (10.4%), Leguminosae as 35species (6.4%), Cyperaceae as 28 species (5.1%), and Rosaceae as 25 species (4.6%). A total of30 indicator plants appeared. Annual plants, geophyte, and hemicryptophyte were 159 species(29%), 58 species (10.5%), and 109 species (19.8%), respectively. Shrub, subtree, and treespecies were 41 (7.48%), 32 (5.83%), and 65 species (11.8%), respectively. A total of 50 taxa(9.12%) of aquatic plants and a total of 4 taxa (0.72%) of epiphyte were surveyed. A total of10 taxa of rare plants comprising of 10 families, 10 genus, 9 species, and 1 variety were investigated. The floristic special plants were investigated to be 54 taxa including 37 families,50 genus, 52 species, and 2 varieties. A total of 10 taxa of endemic plants to Korea werefound. Naturalized plant species were 76 taxa including 22 families, 57 genus, 73 species, and3 varieties in this area. A total of 9 taxa of invasive alien species including 5 families, 8genus, and 1 variety were investiga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진주 남강변의 식물상 조사를 통하여 남강 수변지역의 식생 관리방안 도출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식물상 조사는 총 5개 지역(Ⅰ: 진양호~천수교, Ⅱ: ...

      본 연구는 진주 남강변의 식물상 조사를 통하여 남강 수변지역의 식생 관리방안 도출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식물상 조사는 총 5개 지역(Ⅰ: 진양호~천수교, Ⅱ: 천수교~진양교, Ⅲ: 진양교~상평교, Ⅳ: 남강교~금산교, Ⅴ: 대곡면~장박교)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관속식물은98과 320속 496종 1아종 43변종 9품종, 총 549종이 출현하였으며,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881종의약 11.2%에 해당한다. 벼과가 69종(12%)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다음으로 국화과 57종(10.4%),콩과 35종(6.4%), 사초과 28종(5.1%), 장미과 25종(4.6%)의 순이었다. 지표식물은 30종(5.47%)이 출현하였으며, 이중에서 일년생과 반지중식물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년생식물은 159종(29%),지중식물은 58종(10.5%), 반지중식물은 109종(19.8%)이 출현하였다. 지상식물은 관목 41종(7.48%), 아교목 32종(5.83), 교목 65종(11.8%)이 출현하였다. 수생식물과 착생식물은 각각 50종(9.12%)과 4종(0.72%)이 출현하였다. 희귀식물은 10과 10속 9종 1변종 10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구계학적특정식물은37과 50속 52종 2변종으로 총 54분류군이 출현하였다. 한국특산식물은 8과 9속 10종으로 총 10분류군,귀화식물은 22과 57속 73종 3변종 총 76분류군, 생태계 교란종은 총 5과 8속 8종 1변종으로 총 9분류군이 출현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형국, "청계천 복원 후 3년간 식물상 변화"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3 (13): 107-115, 2010

      2 김용만, "전라북도 만경강 하천식생의 도시화 정도에 따른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3

      3 이유미, "서울 중랑천의 식생구성과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 16 (16): 271-286, 2002

      4 김진석, "생태계 교란식물 cordgrass (Spartina spp.)의 효과적인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고찰" 한국잔디학회 5 (5): 111-125, 2016

      5 이경보, "동진강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환경농학회 23 (23): 34-40, 2004

      6 임동옥, "동복천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 17 (17): 346-359, 2004

      7 임동옥, "광주광역시 도심 대규모 하천의 귀화식물 분포 및 환경지수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18 (18): 288-296, 2004

      8 최일홍, "경기도 수원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이후 식생변화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24 (24): 723-734, 2010

      9 Gyeongnam Development Institute, "Wise water policy of Namgang river basin" 2011

      10 Jinju City, "Website of Jinju City"

      1 김형국, "청계천 복원 후 3년간 식물상 변화"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3 (13): 107-115, 2010

      2 김용만, "전라북도 만경강 하천식생의 도시화 정도에 따른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3

      3 이유미, "서울 중랑천의 식생구성과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 16 (16): 271-286, 2002

      4 김진석, "생태계 교란식물 cordgrass (Spartina spp.)의 효과적인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고찰" 한국잔디학회 5 (5): 111-125, 2016

      5 이경보, "동진강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환경농학회 23 (23): 34-40, 2004

      6 임동옥, "동복천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 17 (17): 346-359, 2004

      7 임동옥, "광주광역시 도심 대규모 하천의 귀화식물 분포 및 환경지수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18 (18): 288-296, 2004

      8 최일홍, "경기도 수원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이후 식생변화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24 (24): 723-734, 2010

      9 Gyeongnam Development Institute, "Wise water policy of Namgang river basin" 2011

      10 Jinju City, "Website of Jinju City"

      11 Oh HK, "Vegetation and distribution situa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waterworks protection area, Jeongup stream" 9 : 47-55, 2005

      12 Lee SH, "The vegetation anaysis of northern region at Jungnang riverside –Between two bridges of Wallgae 1 and Sangdo" 23 : 315-322, 2014

      13 Lee YN, "New flora of Korea" Kyohaksa 2006

      14 Kariyama S,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3 : 31-40, 1988

      15 Park SH, "Naturalized plants in Korea" Ilchokak 2009

      16 Raunkiaer C, "Life form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harendonpress 1934

      17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18 Ministry of Environment, "Information of Korea alien species"

      19 Ministry of Environment, "Guidelines of korea natural environment"

      20 Ryu YM, "Flora of the Youngsan river in Gwangju area" Ho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3

      21 Lee YH, "Flora list of Taehwa river and its tributaries; Map showing study site in Taehwa river" Dong-A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8

      22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Development of close-to-nature creek improvement techniqu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146-, 2002

      23 Lee CB,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2014

      24 Ko JG, "A study on the flora of the lower basin of the Nakdong river" 7 : 45-65, 2003

      25 Song JS, "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riverside vegetation around Hanchon, an upper stream of Nak-tong river" 19 : 431-451, 1996

      26 Ministry of Environment, "A guide to the thi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27 Cho WC, "A flora of the Hwangryong river in Gwangju area" Ho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CI등재
      2012-04-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58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