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부장교사 수당 인상의 효과에 대해 인과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부장교사 수당 인상 정책이 2024년 1월부터 시행됨에 따라, 서울교원종단연구 2020의 3차년도(2023년)와 4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부장교사 수당 인상의 효과에 대해 인과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부장교사 수당 인상 정책이 2024년 1월부터 시행됨에 따라, 서울교원종단연구 2020의 3차년도(2023년)와 4차...
이 연구는 부장교사 수당 인상의 효과에 대해 인과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부장교사 수당 인상 정책이 2024년 1월부터 시행됨에 따라, 서울교원종단연구 2020의 3차년도(2023년)와 4차년도(2024년)의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특히, 수당 인상은 모든 부장교사에게 일괄적으로 적용되어 비교군을 설정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집단에 따라 정책에 노출(exposure)되는 차이를 활용하여 정책의 인과적 효과를 추정하는 도구변수 이중차분법(iDID: Instrumented Difference-in-Differences)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부장교사 수당 인상에 따라 부장교사 구성의 변화가 확인된다. 최근 5개년의 서울교육통계연보 자료를 살펴본 결과, 부장교사 중 2급정교사 비율의 증가 추세가 감소 형태로 변화하였으며, 특히 공립초등학교에서는 고경력 부장교사 비율의 감소 추세가 증가하는 형태로 변화한 모습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장교사 수당 인상의 효과는 미미하며 학교급에 따라 효과가 다르다. 부장교사 수당 인상은 초등교사에 대해서만 교사소진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부장교사 수당의 적정 수준이 꾸준히 모색되면서 수당 외의 인센티브 또한 강화될 필요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부장교사가 적정량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근무환경이 조성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stimates the policy effects of a head teacher allowance increase using a causal inference framework. As the policy to increase the allowances for head teachers was implemented in January 2024, we used survey data from the third (2023) and ...
This study estimates the policy effects of a head teacher allowance increase using a causal inference framework. As the policy to increase the allowances for head teachers was implemented in January 2024, we used survey data from the third (2023) and fourth (2024) waves of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Teachers 2020. Given that the allowance increase was implemented uniformly across all head teachers, limiting the feasibility of defining a conventional control group, we employed the Instrumented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to estimate the causal effects of the policy by leveraging differences in policy exposure across groups. First,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head teachers were observed following the allowance increase. The trend of increasing proportions of second-level teachers among head teachers shifted to a decreasing trend, and particularly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the trend of decreasing proportions of senior head teachers shifted to an increasing trend. Next, the effects of the allowance increase for head teachers were found to be minimal and varied by school level. The increase in head teachers’ allowances was associated with a reduction in teacher burnout onl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사범대 졸업생들의 비교직 진로 결정과이행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중·고등학생의 수업 중 정치이슈 토론 경험 빈도가 정치효능감, 선거 참여 의향에 미치는 영향
진로체험 교육기관 운영 사례 분석: 충청북도진로교육원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