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담양 龍華寺 默潭遺物館의 왕실 시주 공예품 연구 = A Study on Royal Offering Crafts of Mukdam Museum at Yonghwasa Temple in Damy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39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kdam Museum (默潭遺物館) at Yonghwasa Temple (龍華寺) in Damyang (潭陽) has more than 1,000 relics of the Buddhist Great Master Mukdam (默潭大師), including 150 artifacts. These craft works are the primary material that informs the Gre...

      Mukdam Museum (默潭遺物館) at Yonghwasa Temple (龍華寺) in Damyang (潭陽) has more than 1,000 relics of the Buddhist Great Master Mukdam (默潭大師), including 150 artifacts. These craft works are the primary material that informs the Great Master Mukdam’s trace and high-quality royal artifacts that formed u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Gojong (高宗)’s concubine Bohyeondang Jeong (寶賢堂 鄭氏) and Court lady Im (林尙宮). In addition, this is the important data that tells that the colonial situation had influence on Buddhist artifact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hich coexisted with Korean Buddhism and Japanese Buddhism. Thus, I intend to discuss the scientific value of the craft works Mukdam Museum, generally considering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s of King Gojong’s concubine Bohyeondang Jeong and Court lady Im, their royal votive offerings and the situation of Korean Buddhism that Japanese Buddhism encroached. As a result I found that “Your Highness Jeong” is King Gojong’s concubine Bohyeondang Jeong, her dates, the time taken title of nobility and the fact that the building called Bohyeondang was originally Yangsimdang (養 心堂) in Deoksugung Palace (德壽宮). Court lady Im was a courtesan of the same age as Bohyeondang Jeong. She was a mediator between Bohyeondang Jeong and Great Master Mukdam. Their offerings are a royal artifact with a high level of production, Buddhist flags, embroidery, ornaments on a Buddhist sedan chair and Kwan-yin tabernacle. Embroideries have Bohyeondang Jeong and Court lady Im’s Buddhist name-manhaengwha (萬行華), mandeokwha (萬德華)-and show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Kwan-yin tabernacle that court lady Im presented was made by the compromised techniques of the woodcraft of Korea and Japan. Thus Japanese Buddhism also affected Buddhist artifact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Besides artifacts of Japanese style of Mukdam Museum are candlesticks with crane and tortoise shapes, hanging lanterns, a lid of incense burner with floral medallion pattern, Buddhist alar desks. Therefore artifacts in Mukdam Museum have a great significance in many ways - the relationship between Great Master Mukdam and the royal family, the influence of Japanese artifacts that reflected Buddhist trends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so 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담양 龍華寺 묵담유물관에는 공예품 150여 점을 비롯하여 근현대 불교계에 큰 업적 을 남긴 默潭大師의 유품 1,000여 점이 소장되어 있다. 묵담유물관 공예품은 묵담대사 의 행적을 알려주는 ...

      담양 龍華寺 묵담유물관에는 공예품 150여 점을 비롯하여 근현대 불교계에 큰 업적 을 남긴 默潭大師의 유품 1,000여 점이 소장되어 있다. 묵담유물관 공예품은 묵담대사 의 행적을 알려주는 자료인 동시에 고종 후궁 寶賢堂 鄭氏(1883~1954년 이전)와 林尙 宮(1883~?)과의 관계 속에서 시주된 수준 높은 왕실 공예품이 포함되어 있다. 보현당 정씨와 임상궁이 시주한 왕실 시주품은 조선 불교와 일본 불교가 공존했던 일제강점기의 시대적 상황이 공예품에도 영향을 미친 사실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그러나 묵담유물관 왕실 시주 공예품은 아직 학계에 소개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는 묵담대사와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 보현당 정씨, 임상궁의 인물 분석과 시주품, 일본 불교 가 잠식한 일제강점기 조선 불교계의 상황을 고려하면서 묵담유물관의 왕실 공예품에 대한 분석과 학술적 가치를 도출하고자 했다. 우선 보현당 정씨와 임상궁에 대한 접근은 이를 뒷받침해 줄 사료가 부족하여 묵담유 물관 소장품을 기반으로 역추적하는 방법을 선택했다. 그 결과 담양 용화사에 ‘정씨마마’로 전하던 인물이 고종의 후궁인 보현당 정씨임을 밝히고, 생몰년 추정, 당호와 귀인 봉작시기, 거처했던 보현당이 원래는 덕수궁 養心堂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임상 궁은 보현당 정씨와 동갑내기 궁인으로 천주교 집안 출신이었던 보현당 정씨와 묵담대사 를 연결해준 매개자 역할을 하였으며, 1954년경 보현당 정씨 사후에도 보현당 정씨의 私家와 계속 왕래할 정도로 각별한 사이였다. 이들의 시주품은 수준 높은 왕실 공예품으로 南無當來佛敎主彌勒尊佛幡, 佛名刺繡 簇子, 牧丹紋奉獻三寶前刺繡, 佛輦裝飾, 觀音聖母佛龕 등이다. 자수품에서 萬行華, 萬 德華라는 보현당 정씨와 임상궁의 법명이 확인되고 전통적인 특징을 보인다. 반면에 임상궁이 시주한 관음성모불감은 조선식과 일본식 기법이 공존하고 있어 일제강점기 불교 공예품에도 일본의 영향이 투영되었음을 알려준다. 이밖에 일본식 공예품으로는 학구형촛대, 조등롱, 보상화문투각향로 뚜껑, 경상 등이 있다. 그러므로 묵담유물관 왕실 시주 공예품은 묵담대사와 왕실과의 관계, 보현당 정씨와 임상궁이란 인물에 대한 조명, 당시 불교계 동향이 반영된 일본 공예품의 영향 등 여러 측면에서 공예사적 의의가 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전국사찰문화재 일제조사 전라남도 Ⅱ" 2006

      2 김정희, "한국근대불교의 결사운동과 승풍의 정립" 원불교사상연구원 (41) : 223-248, 2009

      3 조성택, "한국근대불교 연구의 과제와 전망" 한국불교학회 (64) : 79-101, 2012

      4 김상현, "한국 근대사의 전개와 불교" 불교문화연구원 (60) : 263-289, 2011

      5 정창조, "한국 근대불교 연구에서의 ‘근대성’에 대한비판적 고찰" 한국철학사연구회 (50) : 305-331, 2016

      6 이병욱, "한국 근대 불교사상의 세가지 유형 -근대적 종교상황에 대응하는 새로운 종교활동이라는 관점에서-" 한국신종교학회 20 (20): 163-194, 2009

      7 "조선왕조실록"

      8 이미선, "조선시대 後宮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2

      9 송현주, "조계종 전통의 창조와 혼종적 근대성: 서구 근대불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학회 30 (30): 15-49, 2016

      10 "조계사 홈페이지"

      1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전국사찰문화재 일제조사 전라남도 Ⅱ" 2006

      2 김정희, "한국근대불교의 결사운동과 승풍의 정립" 원불교사상연구원 (41) : 223-248, 2009

      3 조성택, "한국근대불교 연구의 과제와 전망" 한국불교학회 (64) : 79-101, 2012

      4 김상현, "한국 근대사의 전개와 불교" 불교문화연구원 (60) : 263-289, 2011

      5 정창조, "한국 근대불교 연구에서의 ‘근대성’에 대한비판적 고찰" 한국철학사연구회 (50) : 305-331, 2016

      6 이병욱, "한국 근대 불교사상의 세가지 유형 -근대적 종교상황에 대응하는 새로운 종교활동이라는 관점에서-" 한국신종교학회 20 (20): 163-194, 2009

      7 "조선왕조실록"

      8 이미선, "조선시대 後宮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2

      9 송현주, "조계종 전통의 창조와 혼종적 근대성: 서구 근대불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학회 30 (30): 15-49, 2016

      10 "조계사 홈페이지"

      11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12 오경후, "일제 식민정책과 조선불교의 일본화에 대한 재검토" 한국역사민속학회 (49) : 38-58, 2015

      13 원영상, "일본 근대 군국주의 정책과 불교계의 수용" 한국선학회 (24) : 455-492, 2009

      14 윤동원, "용화사(龍華寺) 묵담유물관(默潭遺物館) 소장(所藏) 고전적(古典籍) 고찰(考察)"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84 : 2016

      15 "빅카인즈"

      16 "범어사 성보박물관 홈페이지"

      17 묵담대종사문도회, "묵담대종사, 그의 선·교·율"

      18 김광식, "대한불교조계종의 성립과 성격 ; 1941~1962년의 조계종" 한국선학회 (34) : 198-239, 2013

      19 이종수, "담양 용화사 소장 불서의 종류와 가치" 한국서지학회 (75) : 129-144, 2018

      20 김순석, "근대 일본 불교 세력의 침투와 불교계의 동향" 한국학연구소 (18) : 65-91, 2008

      21 성보문화재연구원, "韓國의 佛畵-27 修德寺本末寺篇"

      22 "朝鮮總督府官報"

      23 德壽宮贊侍室, "德壽宮贊侍室日記"

      24 小田省吾, "德壽宮史" 李王職 1938

      25 朝鮮總督府, "京城府史"

      26 京城商工會議所, "京城商工名錄"

      27 一宮市教育委員会, "一宮の文化財めぐり"

      28 제점숙, "「近代仏教」としての日本仏教の語り方 –近年の研究動向をふまえて–" 일본연구소 (65) : 65-91, 2015

      29 Griffis William Elliot, "A Modern pioneer In Korea-The Life Story Of Henry G" Fleming H. Revell co 1912

      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2013년 국립고궁박물관 학술연구용역보고서 조선왕실 왕비와 후궁의 생활" 국립고궁박물관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2 0.64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