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明廟는 백제 시조 동명의 장지로 전해지는 곳에 조성된 구조물로서, 넓은 의미에서는 이를 포함한 東明陵 전체를 아우르는 개념이다. 동명묘 제사는 애초 왕실 族祖에 대한 치제였으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東明廟는 백제 시조 동명의 장지로 전해지는 곳에 조성된 구조물로서, 넓은 의미에서는 이를 포함한 東明陵 전체를 아우르는 개념이다. 동명묘 제사는 애초 왕실 族祖에 대한 치제였으나, ...
東明廟는 백제 시조 동명의 장지로 전해지는 곳에 조성된 구조물로서, 넓은 의미에서는 이를 포함한 東明陵 전체를 아우르는 개념이다. 동명묘 제사는 애초 왕실 族祖에 대한 치제였으나, 고이왕~책계왕 대 이후 국가제사로서 행해지게 되었다. 즉위 후 오래지 않아 치러진 동명묘 제사는 즉위의례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해당 의례를 통하여 新王은 정통성을 인정받고 권위를 강화하였다. 이때는 여러 정치행위들도 이루어졌다. 이때도 종묘와 그곳에서의 의례는 존재하였다. 그럼에도 동명묘 제사가 즉위의례로 행해진 것은 무덤 중시 풍조 속에서 墓祭의 위상이 宗廟祭보다 강고하였기 때문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ongmyong Shrine indicates a structure built in the burial site of Dongmyoung, the progenitor of Baekje. It also indicates the entire area of Dongmyong’s tomb in a broader sense. While the ancestral rites of Dongmyong Shrine were originally performe...
Dongmyong Shrine indicates a structure built in the burial site of Dongmyoung, the progenitor of Baekje. It also indicates the entire area of Dongmyong’s tomb in a broader sense. While the ancestral rites of Dongmyong Shrine were originally performed for the ancestors in the royal family, it came to be performed as a national rite since the reign of King Gho-ee and King Chaek-kye. The ancestral rites of Dongmyong Shrine that were performed just after enthronement functioned as enthronement ceremony. Through this ceremony the new king attempted to establish his authenticity as well as reinforcing his authority. Ceremonies were still being performed at the ancestor’s shrines during this time. The reason why the ancestral rites of Dongmyong Shrine were performed as the enthrone-ment ceremony is because the tomb-worshipping culture considered the memorial service held before the grave more important than the rites of the royal ancestor’s shrin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혜경, "한성시기 백제왕의 즉위의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2 金昌錫, "한성기 백제의 유교문화와 그 성립 과정"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65 : 2005
3 金昌錫, "한성기 백제의 국가제사 체계와 변화 양상 - 풍납토성 경당지구 44호, 9호 유구의 성격 검토를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소 (22) : 1-28, 2004
4 이문형, "한성기 백제 횡혈식석실묘의 특징과 성격 -한강유역의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42) : 55-98, 2014
5 김용성, "한대의 무덤과 그 제사의 기원" 학연문화사 2006
6 노태돈, "한국고대사" 경세원 2014
7 박미라, "한국 地神제사의 역사와 구조 ― 중국에 가려진 地神의 정체성 ―" 온지학회 (23) : 265-292, 2009
8 장인성, "중국 역대 陵寢 제도" 서경 2005
9 김택민, "중국 고대 守陵 제도와 율령 -고구려 守墓人 제도의 이해를 위한 참고자료-" 역사연구소 (78) : 111-138, 2013
10 박미라, "중국 祭地儀禮에 나타난 地神의 이중적 성격" 한국도교문화학회 (25) : 43-67, 2006
1 장혜경, "한성시기 백제왕의 즉위의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2 金昌錫, "한성기 백제의 유교문화와 그 성립 과정"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65 : 2005
3 金昌錫, "한성기 백제의 국가제사 체계와 변화 양상 - 풍납토성 경당지구 44호, 9호 유구의 성격 검토를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소 (22) : 1-28, 2004
4 이문형, "한성기 백제 횡혈식석실묘의 특징과 성격 -한강유역의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42) : 55-98, 2014
5 김용성, "한대의 무덤과 그 제사의 기원" 학연문화사 2006
6 노태돈, "한국고대사" 경세원 2014
7 박미라, "한국 地神제사의 역사와 구조 ― 중국에 가려진 地神의 정체성 ―" 온지학회 (23) : 265-292, 2009
8 장인성, "중국 역대 陵寢 제도" 서경 2005
9 김택민, "중국 고대 守陵 제도와 율령 -고구려 守墓人 제도의 이해를 위한 참고자료-" 역사연구소 (78) : 111-138, 2013
10 박미라, "중국 祭地儀禮에 나타난 地神의 이중적 성격" 한국도교문화학회 (25) : 43-67, 2006
11 한경구, "정치인류학" 一潮閣 1998
12 김용천, "전한후기 예제담론" 선인 2007
13 李澈, "신화·미술·제사" 東文選 1990
14 나희라, "신라의 국가제사" 지식산업사 2003
15 채미하, "신라 국가제사와 왕권" 도서출판 혜안 2008
16 김창석, "신라 始祖廟의 성립과 그 祭祀의 성격" 역사문화연구소 (26) : 189-222, 2007
17 김병준, "순간과 영원-중국고대의 미술과 건축-" 아카넷 2001
18 이선복, "석촌동고분군Ⅰ"
19 조가영, "석촌동 고분군의 축조 양상 검토 – 고분 분포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75 (75): 252-275, 2012
20 박승범, "삼국의 국가제의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2
21 박미라, "삼국ㆍ고려시대의 제천의례와 문제" 국학연구원 8 : 7-30, 2010
22 구중희, "백제인의 토착 신앙 연구"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27 : 1998
23 김기흥, "백제의 정체성(正體性)에 관한 일 연구" 한국역사연구회 (54) : 197-222, 2004
24 최광식, "백제의 신화와 제의" 주류성 2006
25 배재영, "백제의 부여 인식" 백제문화연구소 2 (2): 131-172, 2009
26 김두진, "백제의 건국신화를 통해 본 조상숭배신앙" 65 : 2005
27 노중국, "백제사회사상사" 지식산업사 2010
28 권오영, "백제 전기 기와에 대한 신지견-화성 화산 고분군 채집 기와를 중심으로-"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33 : 2001
29 소재윤, "백제 도로를 통해 본 풍납토성의 도성구조 이해" 2010
30 최범호, "백제 건국문제의 재검토-건국시조와 건국지를 중심으로-" 19·20 : 1997
31 중앙문화재연구원, "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서경문화사 2011
32 권오영, "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서경문화사 2011
33 최광식, "고대한국의 국가와 제사" 한길사 1994
34 나희라, "고대 한국인의 생사관" 지식산업사 2008
35 權五榮, "고대 한국의 喪葬儀禮" 20 : 2000
36 임기환, "고구려본기 전거 자료의 계통과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42) : 21-78, 2006
37 강진원, "고구려 陵園制의 정비와 그 배경" 동북아역사재단 (39) : 7-52, 2013
38 강현숙, "고구려 왕릉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9
39 정호섭, "고구려 고분의 조영과 제의" 서경문화사 2011
40 강진원, "고구려 墓祭의 전통과 그 배경 - 「집안고구려비문」의 이해를 덧붙여 -" 진단학회 (122) : 1-24, 2014
41 徐永大, "강좌 한국고대사 8 : 고대인의정신세계"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2
42 권오영, "강좌 한국고대사 4 : 고대국가의 대외관계"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3
43 李亨求, "高句麗의 享堂制度硏究" 延世大學校 32 : 1982
44 李基白, "高句麗王妃族考" 震檀學會 20 : 1959
45 姜辰垣, "高句麗 國家祭祀 硏究" 서울大學校博士學位論文 2015
46 邊太燮, "韓國古代의 繼世思想과 祖上崇拜信仰(下)" 歷史敎育硏究會 4 : 1959
47 邊太燮, "韓國古代의 繼世思想과 祖上崇拜信仰" 歷史敎育硏究會 3 : 1958
48 金杜珍, "韓國古代의 建國神話와 祭儀" 一潮閣 1999
49 李基白, "韓國 古代의 祝祭와 裁判" 歷史學會 154 : 1997
50 김병곤, "記錄에 나타난 百濟 始祖 및 建國者의 史的 位相과 實態" 백제연구소 (47) : 99-126, 2008
51 "續日本紀"
52 田中眞砂子, "祖先崇拜の論理" ぺりカん社 51-52, 1980
53 서울大學校博物館, "石村洞 積石塚 發掘調査報告" 서울大學校博物館 1975
54 노중국, "百濟의 祭儀체계 정비와 그 변화" 啓明史學會 15 : 2004
55 盧明鎬, "百濟의 東明神話와 東明廟-東明神話의 再生成 現象과 관련하여-" 全南大學校 史學會 10 : 1981
56 車勇杰, "百濟의 宗敎와 思想" 忠淸南道 1994
57 朴承範, "百濟의 始祖傳承과 始祖廟儀禮" 東洋古典學會 13 : 2000
58 兪起濬, "百濟社會의 固有信仰考" 忠南大學校 4 : 1989
59 임영진, "百濟式積石塚의 發生 背景과 意味" 한국상고사학회 57 (57): 77-104, 2007
60 成周鐸, "百濟儀式考-祭儀·田獵·巡撫·閱兵·習射儀式에 關한檢討-"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2 : 1981
61 정치영, "百濟 漢城의 瓦當과 瓦葺景觀" 호서고고학회 (23) : 4-43, 2010
62 盧明鎬, "百濟 建國神話의 原形과 成立背景"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0 : 1989
63 林起煥, "百濟 始祖傳承의 형성과 변천에 관한 고찰"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8 : 1998
64 李鍾泰, "百濟 始祖仇台廟의 成立과 繼承" 韓國古代史學會 13 : 1998
65 權五榮, "漢城期 百濟의 물류시스템과 對外交涉" 학연문화사 2003
66 朴承範, "漢城時代 百濟의 國家祭祀" 韓國古代學會 19 : 2003
67 구성희, "漢代의 靈魂不滅觀" 중국사학회 (28) : 37-64, 2004
68 具聖姬, "漢代 喪葬禮俗에 표현된 靈魂觀과 鬼神觀" 東國史學會 35·36 : 2001
69 이병호, "日帝强占期 百濟 故地에 대한 古蹟調査事業" 한국고대사학회 (61) : 113-155, 2011
70 "新撰姓氏錄"
71 黃善明, "宗敎學槪論" 종로서적 1982
72 來村多加史, "唐代皇帝陵の硏究" 學生社 2001
73 金基雄, "古墳에서 엿볼 수 있는 신라의 葬送儀禮" 新羅文化宣揚會 5 : 1991
74 井上秀雄, "古代朝鮮史序說-王者と宗敎-" 寧樂社 1978
75 이성규, "古代 中國人의 生死觀" 지식산업사 1987
76 김병곤, "古代 三國의 始祖觀 成立과 變遷" 한국역사민속학회 (29) : 7-36, 2009
77 來村多加史, "前漢皇帝陵の硏究" 學生社 1991
78 박미라, "儒敎 祭地儀禮의 역사와 구조 - 祭天儀禮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온지학회 (14) : 337-366, 2006
79 盧仁淑, "中國에서의 喪禮文化의 展開" 韓國儒敎學會 15 : 2001
80 池田末利, "中國古代宗敎史硏究-制度と思想-" 東海大學出版會 1981
81 선정규, "中國人의 靈魂觀" 중국학연구소 (20) : 1-36, 2006
82 신용민, "中國 古代 帝陵과 三國時代 大形古墳비교 검토" 석당학술원 (40) : 1-31, 2008
83 "三國遺事"
84 李鍾泰, "三國時代의 「始祖」 認識과 그 變遷" 國民大學校 大學院 1997
85 朴賢淑, "三國時代 祖上神 觀念의 形成과 그 特徵" 韓國史學會 48·49 : 1999
86 "三國史記"
87 K. Oberg, "African political systems" Published for the International African Institute by the Oxford University Press 1940
88 Meyer Fortes, "African Systems of Thought : Studies presented and discussed at the Third International African Seminar in Salisbury, December 1960" Oxford University Press 1965
89 나희라, "7~8세기 唐, 新羅, 日本의 國家祭祀體系 비교" 한국고대사학회 33 : 291-324, 2004
조선 후기 한양 동부(東部) 관동(館洞)의 인문지리와 연안이씨(延安李氏) 관동파(館洞派)
18세기 이후 한성부 북부 6방(坊)(현 북촌)의 주거 정체적(停滯的) 구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10-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서울학연구 -> 서울학연구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1 | 0.62 | 1.483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