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온소성 TiO2 페이스트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특성 연구 =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Low-Temperature Prepared TiO2 Past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075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TiO2 입자간의 우수한 네트워크와 TiO2 박막과 FTO 기판과의 접착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TiO2 페이스트 제작시 TTIP를 첨가하여 저온 소성용 TiO2 페이스트를 제조 및 광전극에 ...

      본 연구에서는 TiO2 입자간의 우수한 네트워크와 TiO2 박막과 FTO 기판과의 접착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TiO2 페이스트 제작시 TTIP를 첨가하여 저온 소성용 TiO2 페이스트를 제조 및 광전극에 이용함으로써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켰다. TiO2 페이스트에 TTIP를 첨가하여 TiO2 입자간의 네트워크와 기판과의 접착특성을 향상시켜 빛에 의해 여기된 전자가 염료의 기저상태 또는 전해질의 산화/환원 준위로의 재결합을 방지하여 전자가 투명 전도성 FTO 기판까지의 이동이 용이하여 전류밀도 및 광전변환효율 특성을 향상시켰다. TTIP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자전달시간은 4.3×10-3 s로 빠르고 전자재결합시간을 3.0×10-2 s로 느려 free-binder 샘플에 비해 높은 전류밀도 및 광전변환효율을 나타내었다. TTIP를 첨가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Voc, Jsc, FF 및 η은 각각 0.72 V, 7.66 mA cm-2, 64.11% 및 3.54%로 FP2의 광전변환효율의 약 1.3배 향상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 low temperature process to make two type of paste by using TiO2 nanoparticles(P25).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substrate and TiO2 films or link between particles of free-binder paste(FP1, FP2, FP3) is very poor. Th...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 low temperature process to make two type of paste by using TiO2 nanoparticles(P25).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substrate and TiO2 films or link between particles of free-binder paste(FP1, FP2, FP3) is very poor. Therefore, the Titanium(Ⅳ) isopropoxide was added to the TP paste to improve the interconnection. Electron transport time (τt) and recombination time (τr) are analyzed by IMPS (intensity-modulated photocurrent spectroscopy) and IMVS(Intensity-modulated photovoltage spectroscopy). In the results, τt of TP paste based DSSCs (about 4.3×10-3) is faster than other samples. τr is longer from 2.7×10-2 s of FP2 to 3.0×10-2 s of TP. A solar conversion efficiency (DSSCs) of TP is 3.54% for an incident solar energy of 100 mW cm-2 (meanwhile, 2.70% for DSSCs with FP2). The conversion efficiency is increased by 1.3 tim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Y. Wang, 93 : 1167-, 2009

      2 D. Matthews, 47 : 1869-, 1994

      3 D. Zhang, 15 : 814-, 2003

      4 E. M. Jin, 7 : 97-, 2012

      5 K. K. Kim, 204 : 144-, 2009

      6 T. Miyasaka, 151 : 1767-, 2004

      7 H. Zhu, 93 : 1461-, 2009

      8 F. Pichot, 16 : 5626-, 2000

      9 박아름, "졸겔법에 의한 DSSC 광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5 (25): 315-320, 2012

      10 Xing Guan Zha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유리분말이 함유된 고효율 광전극 페이스트 개발"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4 (24): 427-431, 2011

      1 Y. Wang, 93 : 1167-, 2009

      2 D. Matthews, 47 : 1869-, 1994

      3 D. Zhang, 15 : 814-, 2003

      4 E. M. Jin, 7 : 97-, 2012

      5 K. K. Kim, 204 : 144-, 2009

      6 T. Miyasaka, 151 : 1767-, 2004

      7 H. Zhu, 93 : 1461-, 2009

      8 F. Pichot, 16 : 5626-, 2000

      9 박아름, "졸겔법에 의한 DSSC 광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5 (25): 315-320, 2012

      10 Xing Guan Zha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유리분말이 함유된 고효율 광전극 페이스트 개발"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4 (24): 427-431, 2011

      11 Gyeong-Ok Kim, "Dynamic Response of Charge Transfer and Recombination at Various Electrodes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Investigated Using Intensity Modulated Photocurrent and Photovoltage Spectroscopy" 대한화학회 33 (33): 469-472,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4 0.247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