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Fromme, R. F., "Loneliness", 22, 1-15, 1973
2 오지은, 이영기, "혈액투석", Korean Journal of Medicine (구 대한내과학회지), 86(2), 131-137, 2014
3 Von Witzleben, H. D., "On loneliness", 21(1), 37-43, 1958
4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2018
5 Dalrymple, T., "The advantages of solitude", 7780, 999, 2010
6 김혜래, 조흥식, 이지수, 우국희, 오승환, 신은주, 성정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학지사, 2010
7 Neugarten, B. L., "Personality and patterns of aging", 13(4), 249-256, 1965
8 박춘희, "노인 고독에 관한 질적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9 고성희, 신미화, "노인의 고독감과 사회적 지지", 정신간호학회지, 5(1), 78-87, 1996
10 대한신장학회, "우리나라 신대체 요법의 현황", 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 2019, 2019
11 대한신장학회, "우리나라 신대체 요법의 현황", 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 2020, 2021
12 구본용, 장성수, 이수원, 류완영, 김재환, "고독의 심리적 속성과 대처양상", 대학생활연구, 8, 133-154, 1990
13 박경엽, "장기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경험",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4 김미영, 김윤수, "혈액투석 환자의 수액관리 경험",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5), 773-782, 2015
15 김효빈, "혈액투석 환자의 적응과정 경험", 재활간호학회, 5(2), 217-225, 2002
16 Ellison, C. W., "Loneliness: A social-developmental analysis", 6(1), 3-17, 1978
17 김송순, 배정이, 방지수, 박현주, "만성신부전환자의 우울관련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0(3), 261-270, 2011
18 민윤기, 이운영, "성인기 고독의 양상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9(1), 259-273, 2018
19 이수진, 홍남수, 이은미, "신장장애인의 자살생각 관련요인", 보건정보통계학회지, 43(3), 184-190, 2018
20 김미영, 박민선, "혈액투석 대상자의 직장 생활 경험", 기본간호학회지, 17(2), 149-158, 2010
21 김미영, 염은이, "혈액투석 환자가 경험한 좋은 간호", 성인간호학회지, 26(3), 275-286, 2014
22 차지은, "혈액투석 환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7(1), 14-24, 2017
23 김인혜, "노인의 고독감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The Korean Nurse, 34(3), 60-62, 1995
24 김일옥, 양은경, "혈액투석 환자의 식사요법 적응 경험", 성인간호학회지, 28(3), 323-333, 2016
25 김성렬, 정종환, 장영준, 박옥례, "혈액투석 환자의 영양장애 영향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8(2), 226-236, 2016
26 Rubenstein, C., Shaver, P., "Childhood attachment experience and adult loneliness", 1, 42-73, 1980
27 장혜경, "중년여성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2(6), 634-643, 2010
28 김서윤, 양진향,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와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3), 340-349, 2015
29 Giorgi, A,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in psychology", 5th Edition, 2014
30 김린아, "만성 질환을 가진 중년 남성의 삶의 경험",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31 김성환, 최병무, 서민효, 박재홍, "만성신체질환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생물치료정신의학, 24(1),40-45, 2018
32 염철기, "노인의 고독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33 김미혜, "노인 혈액투석 환자 주돌봄 가족의 부담감",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34 강창실, 임헌우, 임병우, 김우현, "노인의 고독감이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35, 31-52, 2020
35 이명선, 차지은, "혈액투석 환자의 증상 클러스터와 삶의 질", 임상간호연구, 20(1), 123-133, 2014
36 김진영, 송예리아, "가족 요인에 따른 중년 남성의 음주 및 흡연",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0(1), 13-25, 2013
37 김영혜, 손현미, 박의정, "여성 말기신부전 환자의 혈액투석 적응경험", 성인간호학회지, 27(5), 493-504, 2015
38 노영주, 한경혜, "50대 중년 여성의 모성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1), 1-22, 2000
39 Bourbonnais, F. F., Tousignant, K. F., "The pain experience of patients on maintenance hemodialysis", 39(1), 13, 2012
40 신경림, "유방 절제술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체험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5(2), 295-315, 1995
41 김혜영, 이명하, 이강선, "혈액투석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 영향 요인",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1(1), 38-49, 2019
42 Browne, T., Zimmerman, S., Washington, T., "Factors associated with chronic kidney disease self-management", 31(2), 58-69, 2016
43 김은이, "투석환자 가족의 부담감 연구 (Doctoral dissertation", 한양대학교), 2008
44 이준득, 임아영, 이훈진, "자기결정적 고독과 성격 및 심리적 건강의 관계",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1(4), 993-1021, 2012
45 박은아, 천성문, 정은희, "쪽방거주자들의 고독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재활심리연구, 23(3), 527-546, 2016
46 강선미, 한영옥, 추상희, 이미진, 손현숙, 문경희, 김동일, "혈액투석 환자의 운동 신념, 신체활동과 삶의 질", 한국위기관리논집, 11, 55-71, 2013
47 최은희, "혈액투석 환자의 증상경험, 기분장애 및 수면장애", 재활간호학회지, 13(2), 105-113, 2010
48 송대현, 윤가현, "노년기의 고독감 : 한국노인이 느끼는 고독의 특성", 한국노년학, 9, 64-78, 1989
49 Young, J. E., "Loneliness, depression and cognitive therapy: Theory and application", 379-406, 1982
50 곽인숙, "노인과 예비노인의 가정건강성과 행복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1(1), 1-16, 2013
51 박귀서, "정신분열병 환자의 고독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광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52 신학진, 전상남, "노인차별경험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고독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31(4), 925-938, 2011
53 길초롱, 성경미, "혈액투석 환자들이 경험하는 치료지시이행의 어려움", 재활간호학회지, 21(2), 71-82, 2018
54 Kusumota, L., Santos, R., Pilger, C., Marques, S., Lentsck, M. H.,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in hemodialysis", 70(4), 689-696, 2017
55 윤수경, 탁영란, "혈액투석 환자 가족의 부담감,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 임상간호연구, 20(3), 395-405, 2014
56 남석인, 박혜연, "만성콩팥병 환자의 투석 적응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5(3), 5-30, 2021
57 송승연, "중장년층의 사회적 배제, 우울 그리고 자살생각의 관 계.",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4(3), 64-92, 2016
58 구미정, 정순돌, "우울 영향 요인 :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52, 305-324, 2011
59 Knafo, D., "Alone Together: Solitude and the Creative Encounter in Art and Psychoanalysis", 22(1), 1048-1885, 2012
60 이제나, "노인 혈액투석 환자를 위한 근력강화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노인간호학회지 제, 20(3), 2018
61 박경순, 손덕순, 박영란, "사회적 연결감과 우울의 관계: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 667-677, 2020
62 신영희, 조영제, "혈액투석 환자의 우울, 자가간호이행 및 생리적지표의 관계", 계명간호과학, 15(1), 115-122, 2011
63 김미경, 심재연, "노인복지시설 이용노인의 고독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지, 11, 194-213, 2019
64 국민건강보험공단, "2021년「말기신부전」신규 환자 11,480 명, ‘12년 대비 120.3 % 증가", https://www.nhis.or.kr/nhis/together/wbhaea01600m01.do?mode=view&artic leNo=10819828&article.offset=0&articleLimit=10, 2022
65 김형수, "예비노인층과 노인층 자살률의 지역별 현황과 요인 및 정책과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8), 291-298, 2017
66 박현식, 최은희, 이선형, "충청남도 예비노인의 경제적 노후준비 실태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5, 285-315, 2010
67 문치영, 이경규, 박영현, "혈액투석요법을 받는 만성 신부전증 환자의 수면의 질과 삶의 질", 생물치료정신의학, 14(2), 185-193, 2008
68 임정숙, "노인의 고독감: 자아통합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와 성별차이",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69 심옥수, "혈액투석노인의 건강상태 변화인식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30(1), 179-194, 2010
70 김송순, 윤숙희, "우울, 희망과 사회적 지지가 혈액투석 환자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4(3), 209-218, 2012
71 강윤경, 전석균, 박봉길, "중년기 위기감과 자아 정체감이 자살 생각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77- 293, 2010
72 강승자, 서남숙, 김재희, 김세자, "혈액투석 환자의 피로와 수면장애,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우울 관계", 임상간호연구, 19(2), 285-297, 2013
73 차지원, "노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자긍심, 고독감, 무력감, 주관적 안 녕감 의 관계",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74 이성열, 최승일, 이종석, 이은영, "만성신부전 환자의 혈액투석 및 복막투석에 따른 피부 변화에 대한 고찰", 대한피부과학회지, 50(10), 845- 854, 2012
75 Larson, R. W., "The solitary side of life: An examination of the time people spend alone from childhood to old age", 10(2), 155-183, 1990
76 권오정, "예비노인층의 실버타운에 대한 선호경향-서울과 수도권의 50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1(2), 21-30, 2005
77 안설아, "독거노인들의 고독감이 자살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및 정서문제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78 Dobronravov, V. A., Vasilieva, I. A.,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long-term mortality in young and middle-aged hemodialysis patients", 53(11), 2377-2384, 2021
79 김은정, "독거노인의 고독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44(1), 171-197, 2018
80 Akiba, T., Tsuchiya, K., Nitta, K., Kimata, N.,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dialysis patients in Japan compared with those in other countries", 40(4), 275-279, 2015
81 Forouzi, M. A., Razban, F., Rayyani, M., Malekyan, L., Haghdoost, A., "Self-care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receiving hemodialysis in South-East of Iran", 4(2), 165-171, 2014
82 이지현, 한경혜, "예비노인의 친구관계망 특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2(2). 170-205, 2012
83 신진희, 조은희, 심혜빈, "노인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의미, 우울,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31(3), 279-289, 2020
84 서순림, 조인희,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와 수용이 사회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1), 829-837, 2014
85 Al-Ghabeesh, S., Suleiman, K., "The lived experience of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on hemodialysis: A phenomenological study", 47(1), 1423- 1429, 2014
86 강미경,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과 공적 서비스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277, 2013
87 김현미, "독거노인의 자기 통제감이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 지의 조절효과 연구", 목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88 김경배, "노인의 고독감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여가활동 만족의 매개효과",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89 박지현, 최현경, "혈액투석환자의 가족참여교육이 자가간호수행과 혈액생화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7(2), 487-498, 2016
90 Ostrove, J. M., Vandewater, E. A., Stewart, A. J., "Predicting women’s well-being in midlife: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development and social role involvements", 72, 1147-1160, 1997
91 Chiaranai, C., "The lived experience of patients receiving hemodialysis treatment for end-stage renal disease: a qualitative study", 24(2), 101-108, 2016
92 김수린, 정순둘, 김주현, "고령층의 주관적 건강상태, 고독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령친화환경의 조절된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73(2), 9-47, 2018
93 Guo, Q., Liu, L. J., "Lonelines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the empty nest elderly in the rural area of a mountainous county in China", 16(8), 1275-1280, 2007
94 Iyasere, O. U., Brown, E. A., Johansson, L., Huson, L., Smee, J., Maxwell, A. P., Davenport, A,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Function in Older Patients on Dialysis: A Comparison of Assisted Peritoneal Dialysis with Hemodialysis", 11(3), 423-430., 2016
95 박해임, 천성문, 전혜정, 박은아, 김아영, "중년후기의 고독감, 자기 자비, 사회적자본과 사회적자기효능감 및 심리적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3), 1455-1479, 2021
96 이혜경, 정준수, "생애주기별 우울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년, 중년, 노년층의 3 세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9(2), 117-141, 2017
97 박미정, 조영문, 서연희,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에 따른 질병불확실성, 주관적 건강상태 및 환자역할행위 이행과의 관계",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0(4), 437-446, 2018
98 박세윤, "신체활동과 만성질환 우울증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성: 제 5 기 1, 2 차년도 (2010~ 2011)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분석",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5(2), 249-258, 2014
99 이우경,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 정서적 안녕감 간의 관계 구조 분석과 마음챙김 증진 프로그램의 효 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00 이은영, "외로움과 관계단절로부터 야기되는 자살은 고독사로 지정될 수 있는가?: 고독사의 개념과 대상에 관한 새로운 정립을 중심으로", 인간 환경 미래(21), 71-102,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