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호안석 간극과 토사유실방지재에 따른 토사유실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oil loss depending upon the void ratio among revetment ripraps and the soil constraints in riv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512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호안석 간극과 토사유실방지재에 따른 토사유실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최근 이상기후에 따른 재해로 피해가 증가하여 하천에서 치수안정성이 강조되는 한편 국민소득 증가의 영향으로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는 등 하천에서 안정성 제고와 하천환경 보전 및 개선의 필요성이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천 호안 공법개발도 호안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바탕으로 식생활착을 통해 하천 생태계를 회복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식생 활착을 위해서는 호안사면에 복토가 필수이나, 초기 식생활착이 이루어지기까지는 복토된 흙의 유실이 빈번하여 많은 시간적 물질적 낭비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안에 식생활착을 위한 복토의 유실을 막아 친환경 호안사면이 되도록 하고, 또한 식생활착의 조기 안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호안석 간극과 토사유실방지재에 따른 토사유실 특성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손곡천 호안에 설치된 스톤매트리스의 복토의 유실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였다. 이를 토대로 토사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토사유실방지재를 개발하였으며, 이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토사유실률 산정을 위해 실시한 실험에서 호안석 간극 비율에 따른 토사유실률과 다양한 하천 경사도에 따른 토사유실률에 중점을 두고 비교 분석하였다. 여기서 두 가지 조건의 호안사면경사에서 토사유실방지재의 설치 유무에 따른 효과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실제 하천에서 대부분인 직경 20 cm의 호안석 간극의 넓이를 바탕으로 하상경사 및 유속 변화에 따른 최소한의 토사유실심도와 호안석 설치 간극에 대해 검토하였다. 즉, 다양한 하상경사에서 호안석 간극의 넓이에 따라 최소한의 호안석 간극의 깊이를 설정할 수 있는 식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하천 공사설계시 반영할 수 있도록 염두에 두었다. 또한 토사유실방지재는 40 % 정도의 토사유실 저감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현장에 기설치된 호안석의 간극에 복토된 토사를 보존하고, 호안석 간극에 복토한 토사가 유실된 경우에 간단하게 보강만 하고, 추가적인 전면 보수공사를 하지 않아도 되는 방법도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국문초록 호안석 간극과 토사유실방지재에 따른 토사유실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최근 이상기후에 따른 재해로 피해가 증가하여 하천에서 치수안정성이 강조되는 한편 국민소득 증가...

      국문초록

      호안석 간극과 토사유실방지재에 따른 토사유실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최근 이상기후에 따른 재해로 피해가 증가하여 하천에서 치수안정성이 강조되는 한편 국민소득 증가의 영향으로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는 등 하천에서 안정성 제고와 하천환경 보전 및 개선의 필요성이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천 호안 공법개발도 호안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바탕으로 식생활착을 통해 하천 생태계를 회복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식생 활착을 위해서는 호안사면에 복토가 필수이나, 초기 식생활착이 이루어지기까지는 복토된 흙의 유실이 빈번하여 많은 시간적 물질적 낭비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안에 식생활착을 위한 복토의 유실을 막아 친환경 호안사면이 되도록 하고, 또한 식생활착의 조기 안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호안석 간극과 토사유실방지재에 따른 토사유실 특성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손곡천 호안에 설치된 스톤매트리스의 복토의 유실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였다. 이를 토대로 토사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토사유실방지재를 개발하였으며, 이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토사유실률 산정을 위해 실시한 실험에서 호안석 간극 비율에 따른 토사유실률과 다양한 하천 경사도에 따른 토사유실률에 중점을 두고 비교 분석하였다. 여기서 두 가지 조건의 호안사면경사에서 토사유실방지재의 설치 유무에 따른 효과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실제 하천에서 대부분인 직경 20 cm의 호안석 간극의 넓이를 바탕으로 하상경사 및 유속 변화에 따른 최소한의 토사유실심도와 호안석 설치 간극에 대해 검토하였다. 즉, 다양한 하상경사에서 호안석 간극의 넓이에 따라 최소한의 호안석 간극의 깊이를 설정할 수 있는 식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하천 공사설계시 반영할 수 있도록 염두에 두었다. 또한 토사유실방지재는 40 % 정도의 토사유실 저감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현장에 기설치된 호안석의 간극에 복토된 토사를 보존하고, 호안석 간극에 복토한 토사가 유실된 경우에 간단하게 보강만 하고, 추가적인 전면 보수공사를 하지 않아도 되는 방법도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oil Loss depending upon the Void Ratio among Revetment Ripraps and the Soil Constraints in River

      Lee, Yonghun
      Department of Civil, Environmental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National University

      Recently, due to the disaster caused by extreme weather events, the damage has increased and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river has been emphasized. Meanwhile,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has been emphasized due to the development of human life, as well as the ne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ability in the river and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the river environment are simultaneously required .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river protection technologies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restore the river ecosystem.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 of stability of ecosystem and structural strength, it is necessary to cover the surface of the lake with the natural friendly material. However, it takes for a while to stabilize the natural friendly bank structures by the vegetation and it is hard to protect the bank.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study was established for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oil loss by the interstice gap and soil erosion prevention material so as to make eco - It is aimed to establish a standard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For this purpose, the cause of the loss of the soil of the stone mattress installed in the Sonok Gwacheon, Yongin - si, Gyeonggi - do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we developed a soil - losing material to prevent the loss of soil. In the experiments conducted to estimate the soil loss rate, the soil loss rate and the soil loss rate according to various river slop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soil erosion prevention material on the inclination of the arc surface of two condi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width of a 20 cm diameter interstice gap, which is the most common in the actual stream, the minimum depth of soil loss and the gap between the seawall according to the slope and flow velocity changes were examined. In other words, we have developed a formula that can set the minimum depth of revetment gap according to the width of revetment gap in various river slop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oil ash loss prevention material exert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oil ash loss by about 40%.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is also effective to save the buried soil in the gap between the revetment bases installed on the site, to simply reinforce the buried soil in the revetment gap, and to avoid the need for additional repair work.
      번역하기

      ABSTRACT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oil Loss depending upon the Void Ratio among Revetment Ripraps and the Soil Constraints in River Lee, Yonghun Department of Civil, Environmental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

      ABSTRACT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oil Loss depending upon the Void Ratio among Revetment Ripraps and the Soil Constraints in River

      Lee, Yonghun
      Department of Civil, Environmental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National University

      Recently, due to the disaster caused by extreme weather events, the damage has increased and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river has been emphasized. Meanwhile,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has been emphasized due to the development of human life, as well as the ne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ability in the river and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the river environment are simultaneously required .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river protection technologies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restore the river ecosystem.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 of stability of ecosystem and structural strength, it is necessary to cover the surface of the lake with the natural friendly material. However, it takes for a while to stabilize the natural friendly bank structures by the vegetation and it is hard to protect the bank.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study was established for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oil loss by the interstice gap and soil erosion prevention material so as to make eco - It is aimed to establish a standard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For this purpose, the cause of the loss of the soil of the stone mattress installed in the Sonok Gwacheon, Yongin - si, Gyeonggi - do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we developed a soil - losing material to prevent the loss of soil. In the experiments conducted to estimate the soil loss rate, the soil loss rate and the soil loss rate according to various river slop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soil erosion prevention material on the inclination of the arc surface of two condi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width of a 20 cm diameter interstice gap, which is the most common in the actual stream, the minimum depth of soil loss and the gap between the seawall according to the slope and flow velocity changes were examined. In other words, we have developed a formula that can set the minimum depth of revetment gap according to the width of revetment gap in various river slop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oil ash loss prevention material exert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oil ash loss by about 40%.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is also effective to save the buried soil in the gap between the revetment bases installed on the site, to simply reinforce the buried soil in the revetment gap, and to avoid the need for additional repair wor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i
      • 목 차 iii
      • 표 목 차 vi
      • 목 차
      • 국문초록 i
      • 목 차 iii
      • 표 목 차 vi
      • 그림목차 x
      • 제 1 장 서 론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 범위 및 내용 3
      • 1.3 연구 동향 4
      • 1.3.1 안정성과 자연성 회복을 위한 호안의 설치 및 효과 4
      • 1.3.2 호안석 간극 내 복토에 따른 식생활착 환경 5
      • 1.3.3 호안 내 토사유실과 토사유실방지재의 활용 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 2.1 하천에서의 토사의 이동 8
      • 2.2 하천 호안의 설치와 안정성 강화 12
      • 2.3 하천 호안의 설치와 자연성 회복 16
      • 2.4 호안의 역학적 안정성 및 자연성 강화를 위한 호안공법의 선정 17
      • 제 3 장 실험장치의 제작 및 설치
      • 3.1 실험하천의 선정 19
      • 3.2 실험장치의 축척 결정 22
      • 3.2.1 토사유실 검토를 위한 수리학적 상사 22
      • 3.2.2 호안석 간극 모형실험장치의 축척 25
      • 3.2.3 토사유실방지재 모형실험을 위한 축척 25
      • 3.3 개수로 실험장치 및 측정장비 선정 27
      • 3.3.1 개수로 실험장치 27
      • 3.3.2 유량공급 및 수위조절 장치 30
      • 3.3.3 수리 조건 및 하상 측정장비 30
      • 3.4 실험장치의 제작 및 설치 34
      • 3.4.1 개수로 내 하상경사 변화를 위한 실험장치 34
      • 3.4.2 호안석 간극 실험장치 39
      • 3.4.3 하천 호안사면 실험모형 41
      • 3.5 실험 토사의 선정 47
      • 제 4 장 토사유실률 산정 실험
      • 4.1 토사유실률 실험 개요 50
      • 4.1.1 호안석 간극 실험 개요 50
      • 4.1.2 토사유실방지재에 따른 효과 분석 실험 개요 52
      • 4.2 통수시간의 결정을 위한 토사유실 실험 53
      • 4.2.1 호안석 간극 실험의 통수시간 결정 53
      • 4.2.2 토사유실방지재 실험의 통수시간 결정 55
      • 4.3 호안석 간극에 따른 토사유실 깊이 실험 결과 56
      • 4.3.1 평형 하상경사에서 토사유실 실험 57
      • 4.3.2 0.0233 하상경사에서 토사유실 실험 58
      • 4.3.3 0.0466 하상경사에서 토사유실 실험 59
      • 4.3.4 0.0933 하상경사에서 토사유실 실험 60
      • 4.3.5 실험결과의 비교 및 분석 61
      • 4.4 1:2 호안사면경사에서 호안석 간극률에 따른 토사유실률 실험 63
      • 4.4.1 20 % 간극률 조건에서 토사유실 실험 63
      • 4.4.2 40 % 간극률 조건에서 토사유실 실험 70
      • 4.4.3 60 % 간극률 조건에서 토사유실 실험 76
      • 4.4.4 실험결과의 비교 및 분석 83
      • 4.5 1:3 호안사면경사에서 호안석 간극률에 따른 토사유실률 실험 90
      • 4.5.1 20 % 간극률 조건에서 토사유실 실험 90
      • 4.5.2 40 % 간극률 조건에서 토사유실 실험 97
      • 4.5.3 60 % 간극률 조건에서 토사유실 실험 104
      • 4.5.4 실험결과의 비교 및 분석 110
      • 4.6 토사유실방지재에 따른 토사유실 저감 효과 분석 117
      • 제 5 장 호안석 간극 및 토사유실방지재에 따른 효과 분석
      • 5.1 호안석 간극에 따른 토사유실 효과 분석 125
      • 5.1.1 호안석 간극의 표준직경(20 cm) 내 Fr 수에 따른 토사유실 125
      • 5.1.2 호안석 간극 직경 변화에 따른 토사유실 변화 128
      • 5.2 토사유실방지재 실험을 위한 호안석 간극률 및 유실심도 산정 132
      • 5.2.1 호안석 간극토사체적비 산출 132
      • 5.2.2 토사 간극 직경 산출 135
      • 5.2.3 토사유실심도 산정 138
      • 5.2.4 간극의 직경과 토양심도에 관한 무차원 계수 산정 140
      • 5.3 토사유실방지재 효과 분석 141
      • 5.3.1 민감도 분석을 위한 회귀분석 방법 선정 141
      • 5.3.2 회귀분석을 통한 민감도 분석 142
      • 제 6 장 결 론
      • 6.1 결론 151
      • 6.2 향후 연구 방향 153
      • 참고문헌 154
      • ABSTRACT 159
      • 감사의 글 16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재수, "수리학", 양서각, 구미서관, 2007

      2 윤용남, "수문학", 문운당, 청문각, 2007

      3 우효섭, "하천수리학", 대한토목학회, 청문각, 2001

      4 이삼희, "하천설계 및 기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6

      5 야마모토, "호안의 역학설계법", 일본국토개발기술연구센터, 1998

      6 강병서, "SPSS를 활용한 다변량 통계학", 한경사, 한경사, 2005

      7 윤용진, "다목적댐의 비퇴사량 추정식 개발", 인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8 후쿠오카, "이삼희 역). 홍수수리와 하도설계법", 형설출판사, 2013

      9 신승호, 임학수, 유동훈, "“Einstein 부유사량 산정식의 개선.”",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 회지, 한국수자원학회, Vol. 33, No. 6, pp. 815-825, 2000

      10 최홍식, "“호안블록의 수리적 안정성 분석.”", 공주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Journal of Production Technology, Vol. 10, pp. 59-74, 2001

      1 이재수, "수리학", 양서각, 구미서관, 2007

      2 윤용남, "수문학", 문운당, 청문각, 2007

      3 우효섭, "하천수리학", 대한토목학회, 청문각, 2001

      4 이삼희, "하천설계 및 기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6

      5 야마모토, "호안의 역학설계법", 일본국토개발기술연구센터, 1998

      6 강병서, "SPSS를 활용한 다변량 통계학", 한경사, 한경사, 2005

      7 윤용진, "다목적댐의 비퇴사량 추정식 개발", 인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8 후쿠오카, "이삼희 역). 홍수수리와 하도설계법", 형설출판사, 2013

      9 신승호, 임학수, 유동훈, "“Einstein 부유사량 산정식의 개선.”",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 회지, 한국수자원학회, Vol. 33, No. 6, pp. 815-825, 2000

      10 최홍식, "“호안블록의 수리적 안정성 분석.”", 공주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Journal of Production Technology, Vol. 10, pp. 59-74, 2001

      11 김경준, 이지호, 유철상, 박현근, 박창열, 박용희, 박상형, 김현준, 김병수, 김대하, 김기욱, "“청계천 홍수량, 유사량 특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 자원학회, pp. 1849-1853, 2007

      12 박광호, 최홍식, "“호안석의 수리적 안정성 실험식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지, 한국수자원학회, Vol. 44, No, 6, pp. 449-459, 2011

      13 한만신, "제방사면 구간내 소류력 산정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4 이원호, 한재원, "“중소하천 수계의 유사량 측정 및 분석.”", 한국지반환경공학회, 한국지반환경공 학회지, 한국지반환경공학회, pp. 101-102, 2017

      15 장동우, "낙동강 구미보의 수문운영에 따른 영향 분석", 인천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6 이성호, "수위 및 강우 계측 자료를 이용한 수위의 예측",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인천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7 김선화, "숲유형 데이터를 이용한 분류모형 간 비교 연구", 중앙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8 이종필,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호안의 수리적 안정성 분석", 호 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9 김기형, "수중구조물 상태에 따른 하도흐름의 실험적 연구", 인 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0 이용헌, "통복천에서 총유사량 공식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한 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1 박종화, 이강석, 연규방, 박진기, "“자연형 소하천의 호안공법별 식생분포 조 사.”",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농업과학연구, Vol. 38, No. 2, pp. 315-324, 2011

      22 오정선, 최성욱, "“개수로 내 난류와 유사입자 이동에 관한 연구.”", 대한토 목학회학술지, 대한토목학회, pp. 199-200., 2014

      23 이종석,김치곤, "논산유역 중소하천의 유량-부유사량 현장측정 분석", 한국방재학회, 한 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Vol. 15, No. 1, pp. 291-296, 2015

      24 김광남, "국내 다목적 댐의 저사댐 설치에 따른 퇴사저감 효과",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5 김동필, "“설마천 시험유역의 유량-부유사량 관계곡선 개발.”",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 학술지, 대한토목학회, pp. 3370-3373, 2009

      26 김철, 최경환, 이종필, 박의정,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호안의 수리적 안정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pp. 1867-1873, 2008

      27 박성범, "자연형 식생 호안공법의 수리모형실험 및 수치해석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8 김영규, "하단방류형 가동보 직하류부 구간의 에너지 감세효과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9 임채만, "중 소규모 하천에서의 제방 비탈 경사에 따른 수리특성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0 장석환, "“일체형 식생호안블록 시스템 개발 및 수리특성 연구(Ⅱ).”", 한국습 지학회지, 한국습지학회, Vol. 10, No, 3, pp. 99-109, 2007

      31 구영민, 박재현, 김영도, 김상우, "“무독성 호안블록의 수리학적 안정성에 관 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학술지, 대한토목학회, Vol. 33, No. 3, pp. 987-995, 2013

      32 박성용, 허형우, 박종식,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콘크리트 인공호안 대체공 법 개발.”", 한국물환경학회(구 한국수질보전학회), 공동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물환경학회, 대한상하수도학회, pp. 926-927, 2012

      33 김윤환, 진영훈, 박남희, 김철, "“자연 친화적 하천정비를 위한 호안평가기법 의 개발 및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Vol. 40, No. 12, pp. 1007-1014, 2007

      34 강형식, 최성욱, "“식생된 개수로에서 난류 구조와 부유사 이동 현상의 수치 해석.”",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Vol. 33, No. 5, pp. 581-592, 2000

      35 박상우, 장석환, 박성범, "“자연형 호안공법의 그라스콘의 수리모형실험 및 수치해석 연구.”",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pp. 1244-1248, 2007

      36 김성율, 양전영, 김진홍, "“식생활착과 토사유출방지에 관한 식생호안블럭의 수리적 안정성 검토.”",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학술지, 대한토목학회, pp. 2007-2010, 2006

      37 권보애, 이동섭, 우효섭, 안홍규, "“치수 안전성과 환경성을 고려한 새로운 식생호안 공법의 적용 및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Vol. 40, No, 2, pp. 125-134, 2007

      38 강남식, "음성을 활용한 사상체질 분류 시 로지스틱회귀분석과 반별분석의 성 능 비교",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9 김홍기, "음성을 활용한 사상체질 분류 시 로지스틱회귀분석과 판별분석을 성 능 비교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40 지운, 여운광, 한승원, "낙동강하구둑 상류 접근수로에서의 유사량 공식 및 유사 이송형태에 따른 하상변동 수치모의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 수자원학회, Vol. 43, No. 6, pp. 543-557.,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