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택트 시대의 시뮬레이션 간호실습교육 : 혼합방법 사례연구 = Simulated Nursing Practice Education in the Ontact Age: A Mixed Methods Case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50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온라인 시뮬레이션 간호실습을 탐색하는 것이다. 시뮬레이션 간호실습은 대면 교내 실습수업이나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온라인 실습수업으로 변경되어 2020년 1학...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온라인 시뮬레이션 간호실습을 탐색하는 것이다. 시뮬레이션 간호실습은 대면 교내 실습수업이나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온라인 실습수업으로 변경되어 2020년 1학기에 15주 동안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간호학 교과목의 시뮬레이션 간호실습모듈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인식하는 시뮬레이션 수업 설계에 대해 조사하였고,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온라인 시뮬레이션 간호실습을 적용하였다. 학습에 대한 만족도와 자신감, 몰입 정도는 온라인 설문지를 사용하여 정량적 자료를 학습경험은 수업 종료 후 3명으로 구성된 4개의 포커스그룹을 대상으로 ZOOM을 활용한 온라인 면담 내용과 학생들이 기술한 디브리핑 일지 내용을 포함한 정성적 자료를 2020년 7월에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와 포커스그룹 면담을 수행한 질적연구를 혼합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비대면 온라인 시뮬레이션 간호실습을 경험한 간호학과 4학년 학생 12명이다. 연구 결과, 성인간호학 시뮬레이션 간호실습모듈의 설계는 5점 만점에 4.78점으로 높게 나타나 학생들은 시뮬레이션 모듈에 중요한 특성이 반영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비대면 온라인 시뮬레이션 간호실습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83점, 자신감은 4.87점, 몰입은 4.66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습 경험은 2개의 중심주제와 5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으며 학생들은 “온라인 실습으로 실제와 유사한 환자 간호를 학습함”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비대면 온라인 시뮬레이션 간호 실습 중 실시간 화상회의 플랫폼을 통한 수업으로 임상과 유사한 환자 간호 경험을 할 수 있었고, 특히 시나리오 읽기를 통해서 간호사 역할을 체험한 점과 간호 실습 물품으로 간호 술기를 교수자의 시범에 따라 학습한 점이 비대면 간호 실습 방법 중에 가장 유용하였다고 진술하였다. 따라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는 현재, 현실성 있는 비대면 온라인 간호실습모듈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지속적으로 평가해 나가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ew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 has shifted university education to online classes. Ontact is a concept that adds connection to untact, which means non-face-to-face, and denotes communication using online connection while minimizing face-to-fac...

      The new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 has shifted university education to online classes. Ontact is a concept that adds connection to untact, which means non-face-to-face, and denotes communication using online connection while minimizing face-to-face cont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n-face-to-face simulated nursing practice. In this study, simulated nursing practice modules for adult nursing subjects were developed, simulation designs perceived by students were evaluated, and online simulated nursing practice was adopted in nursing training. In July 2020, online surveys were employed in the research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after class, the learning experience was assessed using ZOOM in four focus groups consisting of three people each.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online interviews used, with the contents of the debriefing diary written by the students. This work is a case study that mixes descrip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supplemented with focus group interviews. The participants were 12 senior nursing students who were trained in online simulated nursing practice. In the study, the design for simulated nursing practice module appeared high with 4.78 points out of 5 points. Furthermore,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simulation modules reflected important characteristics.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simulated nursing practice had a high satisfaction level of 4.83, a confidence level of 4.87, and a flow level of 4.66. The learning experience was derived from two core themes and five subthemes, with learning patient nursing similar to the real world through online training proving to be the one that students assimilated. In the online simulation training, the students were familiarized with a nurse’s roles and they were able to have a clinical know-how of patient care through a real-time video conferencing platform. In particular, students stated that scenario readings and nursing skills practicing were the most useful non-face-to-face nursing practice methods. Therefore, realistic online simulated nursing practice modules should be developed and their effectiveness should be continuously evalua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의금, "포스트코로나 뉴노멀 시대의 간호의 전망과 대책" 한국성인간호학회 32 (32): 221-222, 2020

      2 강지영, "통합 시뮬레이션 간호실습모듈 개발 및 적용: 혼합연구방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17-1235, 2020

      3 고은정, "임상실습 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간호지식, 임상실습 불안,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5 (25): 289-299, 2019

      4 네이버, "온택트"

      5 차지은, "온라인 학습을 병행한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교육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22 (22): 433-446, 2020

      6 최순희, "온라인 콘텐츠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Lab실-임상실습 혼합실습교육 연계가 학습성취에 미치는 효과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340-348, 2014

      7 민혜리, "온라인 수업·강의 A2Z" 학이시습 2020

      8 서연희, "온라인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임상실습간호교육의 효과: 특수부서 임상실습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539-556, 2017

      9 네이버, "에듀테크"

      10 채민정, "심정지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28 (28): 447-458, 2016

      1 오의금, "포스트코로나 뉴노멀 시대의 간호의 전망과 대책" 한국성인간호학회 32 (32): 221-222, 2020

      2 강지영, "통합 시뮬레이션 간호실습모듈 개발 및 적용: 혼합연구방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17-1235, 2020

      3 고은정, "임상실습 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간호지식, 임상실습 불안,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5 (25): 289-299, 2019

      4 네이버, "온택트"

      5 차지은, "온라인 학습을 병행한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교육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22 (22): 433-446, 2020

      6 최순희, "온라인 콘텐츠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Lab실-임상실습 혼합실습교육 연계가 학습성취에 미치는 효과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340-348, 2014

      7 민혜리, "온라인 수업·강의 A2Z" 학이시습 2020

      8 서연희, "온라인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임상실습간호교육의 효과: 특수부서 임상실습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539-556, 2017

      9 네이버, "에듀테크"

      10 채민정, "심정지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28 (28): 447-458, 2016

      11 서은영, "시뮬레이터와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이론적 기틀 개발" 한국간호교육학회 18 (18): 206-219, 2012

      12 유지혜, "시뮬레이션기반 실습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실습몰입과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Jeffries의 Simulation Model에 근거하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13 김신향,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국내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간호교육학회 21 (21): 308-319, 2015

      14 정은이, "대학생의 수업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355-378, 2012

      15 "국가암정보센터"

      16 김석우, "교육연구방법론" 학지사 2015

      17 박수진, "간호시뮬레이션 학습자의 간호역량에 관한 구조모형" 한국간호과학회 48 (48): 588-600, 2018

      18 오윤정, "간호시뮬레이션 학습에서 메타인지, 학습몰입 및 문제해결력" 기본간호학회 20 (20): 239-247, 2013

      19 이지애,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합성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 25 (25): 300-311, 2019

      20 김윤정, "간호대학생의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 26 (26): 198-207, 2020

      21 김경아, "가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급성 심장질환자 간호 적용"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 6 (6): 1-13, 2018

      22 Hsieh, H. F.,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15 (15): 1277-1288, 2005

      23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8 (8): 27-37, 1986

      24 Oh, P. J.,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using standardized patients in nursing students: A meta-analysis" 35 (35): e6-e15, 2015

      25 Cant, R. P., "Simulation in the internet age : The place of web-based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n integrative review" 34 (34): 1435-1442, 2014

      26 Moran, V., "Simulation : Best practices in nursing education" Springer 2018

      27 김성광, "PAS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인수인계 자기효능감, 인수인계 수행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309-330, 2020

      28 Koivisto, J. M., "Nursing students’ experiential learning processes using an online 3D simulation game" 22 (22): 383-398, 2017

      29 Nehring, W. M., "Nursing simulation : A review of the past 40 years" 40 (40): 528-552, 2009

      30 Broussard, L., "Nursing faculty attitudes and practices related to online teaching" 39 (39): 40-42, 2018

      31 "Nursing Skills"

      32 Stanley, M. J., "Integrating video simulation scenarios into online nursing instruction" 57 (57): 245-249, 2018

      33 INACSL Standards Committee, "INACSL standards of best practice: SimulationSM simulation glossary" 12 : S39-S47, 2016

      34 Engeser, S., "Flow, performance and moderators of challenge-skill balance" 32 (32): 158-172, 2008

      35 김은지, "Flipped Learning 기반 대학 수업에서 학습몰입과 학습성과 영향 요인간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51-469, 2018

      36 Shin, S., "Effectiveness of patient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Meta-analysis" 35 (35): 176-182, 2015

      37 National League for Nursing, "Designing and implementing models for the innovative use of simulation to teach nursing care of ill adults and children: A national, multi-site, multi-method study"

      38 Gordon, R. M., "Debriefing virtual simulation using an online conferencing platform : Lessons learned" 13 (13): 668-674, 2017

      39 한국간호교육평가원, "2020년도 상반기 간호교육인증평가 대학용 편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