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예비교사들의 영어 및 영어 지도 능력 자기 평가와 초등영어교육 제고에 대한 인식 =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 evaluation on their English proficiency and teaching skills and suggestions for better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649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self-evaluation on their English proficiency and teaching skills. It alsoproposes suggestions for better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provided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

      This study aims to examin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self-evaluation on their English proficiency and teaching skills. It alsoproposes suggestions for better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provided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questionnaire wasadministered to 136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atexamined the following five domains; background information, Englishproficiency, English teaching skills, Teaching English throughEnglish(TETE), and suggestions for better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schoo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ubjects showed thehighest level of self-confidence in reading whereas they reported thelowest level of self-confidence in listening to authentic materials. Pertaining to English teaching skills, the area in which they showed thehighest level of self-confidence was teaching reading, followed by teachinggrammar. Teaching speaking and teaching pronunciation were thevulnerable areas in term of teaching according to their self-evaluation. Next, they had a relatively positive perception of TETE in elementaryschools. Finally, ``teacher factor``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thedomain of TETE and for better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Several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of the stud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원, "한국인 영어교사의 효과적인 TEE 방안 연구"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3 (3): 3-23, 2010

      2 교육과학기술부, "외국어과 교육과정(I).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8-160호 [별책 14]"

      3 김규리,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서의 교재와 멀티미디어 사용실태 및 활용방안 연구"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2 (2): 81-108, 2009

      4 박광균,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E)에서의 학습자 불안감 및 동기 분석"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2 (2): 59-76, 2009

      5 교육과학기술부, "영어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별책 14]"

      6 김미숙, "성인 학습에서 자기 평가의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탐구" 9 : 307-335, 1997

      7 최지현, "놀이에 대한 교사의 자기 평가와 교수 효능감의 관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8 이진경, "교육실습생들의 교실영어 사용에 대한 자기평가"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8 (18): 185-208, 2011

      9 김승옥, "교사자질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에 관한 인식" 11 (11): 101-120, 2007

      10 이선, "TEE 수업능력 신장을 위한 예비 초등영어교사교육에서 효과적인 모의수업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9 (19): 157-185, 2012

      1 이정원, "한국인 영어교사의 효과적인 TEE 방안 연구"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3 (3): 3-23, 2010

      2 교육과학기술부, "외국어과 교육과정(I).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8-160호 [별책 14]"

      3 김규리,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서의 교재와 멀티미디어 사용실태 및 활용방안 연구"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2 (2): 81-108, 2009

      4 박광균,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E)에서의 학습자 불안감 및 동기 분석"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2 (2): 59-76, 2009

      5 교육과학기술부, "영어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별책 14]"

      6 김미숙, "성인 학습에서 자기 평가의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탐구" 9 : 307-335, 1997

      7 최지현, "놀이에 대한 교사의 자기 평가와 교수 효능감의 관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8 이진경, "교육실습생들의 교실영어 사용에 대한 자기평가"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8 (18): 185-208, 2011

      9 김승옥, "교사자질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에 관한 인식" 11 (11): 101-120, 2007

      10 이선, "TEE 수업능력 신장을 위한 예비 초등영어교사교육에서 효과적인 모의수업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9 (19): 157-185, 2012

      11 Glatthorn, A., "Differentiated supervision. Alexandri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3 1.01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