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국 귀족계급의 정체성을 반영한 애프터눈 티(Afternoon Tea) 문화 고찰 = A Study on the Afternoon Tea Culture reflecting the identity of the British aristocracy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807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귀족계급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애프터눈 티 문화를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유한 계급인 귀족계급이 산업혁명 이후 등장한 신흥 부르주아 계급의 도전을 받으며 자신들의 입지를 공고히 하기 위해 문화자본인 차문화로써 계급적 구분짓기에 철저하였다. 이로 인해 산출된 애프터눈 티의 여러 요소들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드러냈다. 신흥 부르주아 계급이 갖지 못한 오랜 시간 체득된 그들만의 문화자본인 차문화로 그들의 고급진 취향을 드러내며 계급적 입지를 공고히 하고 차별화에 나섰다. 이처럼 영국의 차문화는 단순히 음료의 섭취를 넘어 계급적 상호작용에 의해 발전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애프터눈 티의 가치를 당시의 계급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좀 더 다양한 시각으로 애프터눈 티 문화를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귀족계급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애프터눈 티 문화를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유한 계급인 귀족계급이 산업혁명 이후 등장한 신흥 부르주아 계급의 도전을 받으며 자신들의 ...

      본고에서는 귀족계급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애프터눈 티 문화를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유한 계급인 귀족계급이 산업혁명 이후 등장한 신흥 부르주아 계급의 도전을 받으며 자신들의 입지를 공고히 하기 위해 문화자본인 차문화로써 계급적 구분짓기에 철저하였다. 이로 인해 산출된 애프터눈 티의 여러 요소들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드러냈다. 신흥 부르주아 계급이 갖지 못한 오랜 시간 체득된 그들만의 문화자본인 차문화로 그들의 고급진 취향을 드러내며 계급적 입지를 공고히 하고 차별화에 나섰다. 이처럼 영국의 차문화는 단순히 음료의 섭취를 넘어 계급적 상호작용에 의해 발전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애프터눈 티의 가치를 당시의 계급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좀 더 다양한 시각으로 애프터눈 티 문화를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ed to understand the afternoon tea culture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aristocracy class. In addition, the aristocratic class, which is the finite class, was challenged by the emerging bourgeois class that emerged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in order to solidify their position, they thoroughly classified themselves as tea culture, which is a cultural capital.
      They revealed their identity through various elements of afternoon tea produced. By revealing their high-end tastes through tea culture, their own cultural capital that the emerging bourgeois class did not have for a long time, they solidified their class position and sought to differentiate themselves. As such, it shows that the British tea culture went beyond simply consuming beverages and developed through class interactions.
      By examining the value of afternoon tea from the class perspective of the time, I tried to understand the afternoon tea culture from a more diverse perspective.
      번역하기

      This paper attempted to understand the afternoon tea culture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aristocracy class. In addition, the aristocratic class, which is the finite class, was challenged by the emerging bourgeois class that emerged after the Industri...

      This paper attempted to understand the afternoon tea culture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aristocracy class. In addition, the aristocratic class, which is the finite class, was challenged by the emerging bourgeois class that emerged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in order to solidify their position, they thoroughly classified themselves as tea culture, which is a cultural capital.
      They revealed their identity through various elements of afternoon tea produced. By revealing their high-end tastes through tea culture, their own cultural capital that the emerging bourgeois class did not have for a long time, they solidified their class position and sought to differentiate themselves. As such, it shows that the British tea culture went beyond simply consuming beverages and developed through class interactions.
      By examining the value of afternoon tea from the class perspective of the time, I tried to understand the afternoon tea culture from a more diverse perspectiv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