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lberto Ginastera의 (Danzas Argentinas Op. 2)의 분석.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10366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 음악학과 피아노 전공 , 2008. 2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86.2026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n Analytic Study on the <Danzas Argentinas Op. 2> by Alberto Ginastera

      • 형태사항

        x,83장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이동훈
        참고문헌:79-81장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berto Ginastera(1916-1983), a representative of Argentine composers of the 20th century, achieved his own unique style by combining the folk music elements of Argentina with modern composing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search and analysis of <Danzas Argentinas Op. 2>is to understand his musical characteristics properly and to assist with performance a based on academic theory.
      First, from theoretical point of view researched Argentine folk music, Ginastera's life, work style and the background of composing this work. I analyzed his composing style in four features - form, melody, harmony, and rhythm. This paper also suggests points to pay attention when performing. The resulty my study is as follows:
      Composed of three dance music, the work consists of three forms: small rondo form, three-piece form and two-piece form.
      Regarding melody and harmony, a pentatonic scale and a half scale are utilized for melody and bitonality, polytonality, tritone, and guitar code consisting of an open string sound(E-A-D-G-B) are used.
      Ginastera uses folksy rhythm-Zamba and Malambo.
      <Danzas Argentinas Op. 2>is one of the works that integrate the modern composing techniques with Argentina's folk music elements, and it is a useful work to understand his other works.
      번역하기

      Alberto Ginastera(1916-1983), a representative of Argentine composers of the 20th century, achieved his own unique style by combining the folk music elements of Argentina with modern composing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search and anal...

      Alberto Ginastera(1916-1983), a representative of Argentine composers of the 20th century, achieved his own unique style by combining the folk music elements of Argentina with modern composing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search and analysis of <Danzas Argentinas Op. 2>is to understand his musical characteristics properly and to assist with performance a based on academic theory.
      First, from theoretical point of view researched Argentine folk music, Ginastera's life, work style and the background of composing this work. I analyzed his composing style in four features - form, melody, harmony, and rhythm. This paper also suggests points to pay attention when performing. The resulty my study is as follows:
      Composed of three dance music, the work consists of three forms: small rondo form, three-piece form and two-piece form.
      Regarding melody and harmony, a pentatonic scale and a half scale are utilized for melody and bitonality, polytonality, tritone, and guitar code consisting of an open string sound(E-A-D-G-B) are used.
      Ginastera uses folksy rhythm-Zamba and Malambo.
      <Danzas Argentinas Op. 2>is one of the works that integrate the modern composing techniques with Argentina's folk music elements, and it is a useful work to understand his other wor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세기 아르헨티나를 대표하는 작곡가인 알베르토 히나스테라(Alberto Ginastera: 1916-1983)는 아르헨티나 음악의 민속요소들을 현대적인 작곡기법과 조화시켜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표현하였다.
      이 논문은 1937년에 작곡된 <Danzas Argentinas Op. 2>를 분석 연구한 것으로서 그의 음악적 특징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학문적 바탕이 있는 연주를 하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아르헨티나의 민속음악과 히나스테라의 생애 및 작품양식 그리고 작곡배경을 알아보고 형식, 선율 및 화성, 리듬 등의 면에서 분석하였으며 연주상의 유의점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충실한 연주를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3개의 춤곡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작품은 형식은 작은 론도형식과 3부분 형식, 2부분 형식을 취하고 있다.
      선율 및 화성에서 선율은 5음음계와 반음계가 사용되었으며 화성은 복조성, 다조성, 3온음, 기타의 개방현이 내는 음(E-A-D-G-B)들로 이루어진 기타코드(giutar chord) 등이 사용되었다.
      리듬은 춤곡인 잠바(Zamba)와 말람보(Malambo)의 민속적인 리듬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이 <Danzas Argentinas Op. 2>는 아르헨티나의 전통적 요소위에 현대적인 기법을 접목시킨 작품 중 하나로서 그의 다른 음악을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될 만한 작품이다.
      번역하기

      20세기 아르헨티나를 대표하는 작곡가인 알베르토 히나스테라(Alberto Ginastera: 1916-1983)는 아르헨티나 음악의 민속요소들을 현대적인 작곡기법과 조화시켜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표현하였다. ...

      20세기 아르헨티나를 대표하는 작곡가인 알베르토 히나스테라(Alberto Ginastera: 1916-1983)는 아르헨티나 음악의 민속요소들을 현대적인 작곡기법과 조화시켜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표현하였다.
      이 논문은 1937년에 작곡된 <Danzas Argentinas Op. 2>를 분석 연구한 것으로서 그의 음악적 특징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학문적 바탕이 있는 연주를 하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아르헨티나의 민속음악과 히나스테라의 생애 및 작품양식 그리고 작곡배경을 알아보고 형식, 선율 및 화성, 리듬 등의 면에서 분석하였으며 연주상의 유의점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충실한 연주를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3개의 춤곡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작품은 형식은 작은 론도형식과 3부분 형식, 2부분 형식을 취하고 있다.
      선율 및 화성에서 선율은 5음음계와 반음계가 사용되었으며 화성은 복조성, 다조성, 3온음, 기타의 개방현이 내는 음(E-A-D-G-B)들로 이루어진 기타코드(giutar chord) 등이 사용되었다.
      리듬은 춤곡인 잠바(Zamba)와 말람보(Malambo)의 민속적인 리듬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이 <Danzas Argentinas Op. 2>는 아르헨티나의 전통적 요소위에 현대적인 기법을 접목시킨 작품 중 하나로서 그의 다른 음악을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될 만한 작품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2
      • Ⅱ. 이론적 배경 = 3
      • 1. 아르헨티나의 민속음악 = 3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2
      • Ⅱ. 이론적 배경 = 3
      • 1. 아르헨티나의 민속음악 = 3
      • 2. 히나스테라의 생애 = 8
      • 3. 히나스테라의 작품양식 = 12
      • 1) 객관적 민족주의(1937-1947) = 13
      • 2) 주관적 민족주의(1948-1954) = 14
      • 3) 신표현주의(1958-1983) = 17
      • 4. Danzas Argentinas Op.2의 작곡배경 = 20
      • Ⅲ. Danzas Argentina Op.2의 분석 = 23
      • 1. Danzas del viejo boyero (늙은 소몰이꾼의 춤) = 23
      • 1) 형식 = 23
      • 2) 선율 및 화성 = 25
      • 3) 리듬 = 29
      • 4) 연주상의 유의점 = 32
      • 2. Danza de la moza donosa(매력적인 아가씨의 춤) = 36
      • 1) 형식 = 36
      • 2) 선율 및 화성 = 37
      • 3) 리듬 = 44
      • 4) 연주상의 유의점 = 46
      • 3. Danza del gaucho matrero(교활한 목동의 춤) = 51
      • 1) 형식 = 51
      • 2) 선율 및 화성 = 53
      • 3) 리듬 = 64
      • 4) 연주상의 유의점 = 68
      • Ⅳ. 결론 = 77
      • 참고문헌 = 79
      • Abstract = 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