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테마공간의 스토리텔링과 이미지텔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32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간형 콘텐츠 개발 방식의 핵심을 스토리텔링과 이미지텔링에 두고, 양자의 관계를 고찰하고 사례를 통해 각각이 어떻게 전개되고, 스토리텔링에서 이미지텔링으로의 원활한 전이는 무엇이며, 결과적으로 양자가 조화된 최적화된 테마공간이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먼저 각각의 개념을 정리한다. 테마/테마공간, 스토리/스토리텔링, 이미지/이미지텔링, 시뮬라시옹/환영 등에 관한 개념을 밝힌다. 학위논문, 학술논문, 단행본, 연구보고서 등의 문헌조사, 그리고 관련 사이트를 통해 두 개념을 접근한다. 다음으로 테마공간을 구현하는 의도적 연출기법을 통해 테마공간의 환경과 어트랙션이 어떤 기법으로 연출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중간중간에 스토리텔링과 이미지텔링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은 테마공간의 텔링 체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을 파악하기에 적합하다. 테마파크, 테마박물관, 테마쇼핑몰 등으로 구분하여 각 분야에서 스토리가 어떻게 이미지로 텔링되었는지를 파악하여 그 전이과정을 고찰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연구를 정리하고,스토리텔링과 이미지텔링이 조화된 테마공간의 방향과 연구의 기여도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주된 내용은 테마공간이 내세우는 핵심주제는 각 조닝과 어트랙션의 구성을 위해 스토리텔링기법이 활용되고, 테마공간은 보여지고 체험되는 곳이므로 시각적인 이미지와 영상으로 텔링된다. 주제에 맞는 조경, 건축물, 조명, 어트랙션, 조형물(쇼, 이벤트, 라이드, 상품, 식음료 및 식음시설)은 핵심주제에 조닝에 맞는 하위주제에 통일성있게 이미지로 표현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는 스토리텔링과 이미지텔링의 비교, 테마공간 미시적 연구의 중요성, 테마공간의 콘텐츠성, 융복합적 문화콘텐츠분야라는 의의를 알리는데 기여하며, 사회적으로는 단순히 놀이기구를 즐기는 곳으로서의 공간이 아닌 관람객 스스로가 주인공이 되어 의미, 심미, 재미를 아우르는 경험콘텐츠로 공간을 이해한다는 점에서 문화사회적으로 이바지할 수 있으며, 테마공간을 건축학적으로 이해하는 대신 인문학적으로 접근했다는 점에서 인문학의 산업적 적용을 꾀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공간형 콘텐츠 개발 방식의 핵심을 스토리텔링과 이미지텔링에 두고, 양자의 관계를 고찰하고 사례를 통해 각각이 어떻게 전개되고, 스토리텔링에서 이미지텔링으로의 원활한 전...

      본 연구는 공간형 콘텐츠 개발 방식의 핵심을 스토리텔링과 이미지텔링에 두고, 양자의 관계를 고찰하고 사례를 통해 각각이 어떻게 전개되고, 스토리텔링에서 이미지텔링으로의 원활한 전이는 무엇이며, 결과적으로 양자가 조화된 최적화된 테마공간이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먼저 각각의 개념을 정리한다. 테마/테마공간, 스토리/스토리텔링, 이미지/이미지텔링, 시뮬라시옹/환영 등에 관한 개념을 밝힌다. 학위논문, 학술논문, 단행본, 연구보고서 등의 문헌조사, 그리고 관련 사이트를 통해 두 개념을 접근한다. 다음으로 테마공간을 구현하는 의도적 연출기법을 통해 테마공간의 환경과 어트랙션이 어떤 기법으로 연출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중간중간에 스토리텔링과 이미지텔링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은 테마공간의 텔링 체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을 파악하기에 적합하다. 테마파크, 테마박물관, 테마쇼핑몰 등으로 구분하여 각 분야에서 스토리가 어떻게 이미지로 텔링되었는지를 파악하여 그 전이과정을 고찰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연구를 정리하고,스토리텔링과 이미지텔링이 조화된 테마공간의 방향과 연구의 기여도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주된 내용은 테마공간이 내세우는 핵심주제는 각 조닝과 어트랙션의 구성을 위해 스토리텔링기법이 활용되고, 테마공간은 보여지고 체험되는 곳이므로 시각적인 이미지와 영상으로 텔링된다. 주제에 맞는 조경, 건축물, 조명, 어트랙션, 조형물(쇼, 이벤트, 라이드, 상품, 식음료 및 식음시설)은 핵심주제에 조닝에 맞는 하위주제에 통일성있게 이미지로 표현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는 스토리텔링과 이미지텔링의 비교, 테마공간 미시적 연구의 중요성, 테마공간의 콘텐츠성, 융복합적 문화콘텐츠분야라는 의의를 알리는데 기여하며, 사회적으로는 단순히 놀이기구를 즐기는 곳으로서의 공간이 아닌 관람객 스스로가 주인공이 되어 의미, 심미, 재미를 아우르는 경험콘텐츠로 공간을 이해한다는 점에서 문화사회적으로 이바지할 수 있으며, 테마공간을 건축학적으로 이해하는 대신 인문학적으로 접근했다는 점에서 인문학의 산업적 적용을 꾀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ory telling and image telling by acknowledging them as a core of space based contents development and to define the smooth transition from story telling to image telling. Ultimately,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ptimized theme space with a harmony of story telling and image telling.
      Firstly, definition of each item was addressed. The definitions of theme/theme space, /story telling, image/image telling, simulation/illusion will be addressed. Also the approach to each definition will be made by analyzing literatures such as thesis, academic essay, book or research and relevant web pages. Nextly, it showed how the surroundings of theme space and attraction were arranged by intentional presentation method to reproduce the theme space. In addition, the cases of story telling and image telling were analyzed. Case analysis is suitable to find out the telling structure of theme space as well as various styles. The cases were categorized into theme park, theme museum or theme shopping mall to present how they were arranged by image telling and the transition process. Lastly, the research was summarized and directions of theme space with a harmony of story telling and image telling as well as the level of research and its utiliza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ory telling and image telling by acknowledging them as a core of space based contents development and to define the smooth transition from story telling to image telling. Ultimately, this study is 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ory telling and image telling by acknowledging them as a core of space based contents development and to define the smooth transition from story telling to image telling. Ultimately,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ptimized theme space with a harmony of story telling and image telling.
      Firstly, definition of each item was addressed. The definitions of theme/theme space, /story telling, image/image telling, simulation/illusion will be addressed. Also the approach to each definition will be made by analyzing literatures such as thesis, academic essay, book or research and relevant web pages. Nextly, it showed how the surroundings of theme space and attraction were arranged by intentional presentation method to reproduce the theme space. In addition, the cases of story telling and image telling were analyzed. Case analysis is suitable to find out the telling structure of theme space as well as various styles. The cases were categorized into theme park, theme museum or theme shopping mall to present how they were arranged by image telling and the transition process. Lastly, the research was summarized and directions of theme space with a harmony of story telling and image telling as well as the level of research and its utiliz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