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청자와 송대 청자의 조형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ve Analysis of Koryo Celadon and Song Dynasty Celad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512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 and China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development of celadon. Also, celadon is working as an important foothold to correctly understand the history of both countries, and also to recognize the value of culture. Celadon has expressed...

      Korea and China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development of celadon. Also, celadon is working as an important foothold to correctly understand the history of both countries, and also to recognize the value of culture. Celadon has expressed the modern ceramic with plural characteristics, as applied fine arts accepting the traditional formative elements and new concepts. Like this, the creation of modern celadon not only shows the ethnic characteristics of succeed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eladon, but also uses the modern elements, which is significant to largely contribute to celadon of both countries.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in-depth researches to promote the cultural exchange for celadon between Korea and China by seeking for design elements of celadon, show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eladon in the Goryeo and Song Dynasty fully reflecting the past history, and looking for the future direction of modern celad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functional strengths.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works for the creation of modern celadon based on Korea-China traditional celadon, and also to concretely research the decorative expressing method by maintaining/succeeding the traditional production techniques shown in works by focusing on the use of modern elements and traditional formative elements. Based on the general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status of celadon in the Goryeo and Song Dynasty which were the glory days of celadon, it was recognized that the development of celadon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expanded exchange of ceramic culture and diverse cultures between the Goryeo and Song Dynasty in the same period of time. Through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on changes in formativeness of celadon in the Goryeo and Song Dynasty, the unique color, pattern, and shape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s a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 this researcher received a clue of important formative aesthetic sense to deeply study celadon and also to teach inlaid technique to younger students in China, by research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Goryeo celadon focusing on inlaid technique. Furthermore,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cultural exchange and development of celadon of both countries by creatively developing the historicity of ethnic culture with modern elements through the combination of inlaid technique with works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celadon. And also to large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eramic culture in Korea, China, and Asia, by extensive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과 중국은 유구한 도자기 역사와 문화를 가진 국가로 청자의 발전에서 서로 밀접한 관 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청자는 양국의 역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문화의 가치를 인정받는데 중요...

      한국과 중국은 유구한 도자기 역사와 문화를 가진 국가로 청자의 발전에서 서로 밀접한 관 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청자는 양국의 역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문화의 가치를 인정받는데 중요한 발판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청자의 전통적인 조형과 장식요소 등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전통 청자의 조형적 특 징을 계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는 한·중 양국 현대 청자의 발전에도 기여한다는 의미 가 있다. 또한 현대 도예가들은 청자의 디자인적 요소 등을 모색하고 개발하는데 있어서, 과거의 역 사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고려청자와 송대 청자의 조형적 특징을 모태로 하여 활용하는 동 시에 기능적 장점 등을 접목시켜 앞으로 현대 청자의 발전적 방향을 찾아 양국 청자의 문화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서 깊이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중 전통청자를 바탕으로 전통적인 조형요소 및 조형성에 주안점을 두고 전통적 제작기법과 장식 표현기법 등을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청자의 발전에 있어 전성기를 맞았던 고려와 송대 청자의 생성과 변천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기초로 하여, 동 시대 속에서 고려와 송대가 다양한 문화와 함께 도자문화 교류가 확대됨으로 서 청자 발전에 미친 영향이 지대함을 인식하고 이에 대해 조사 자료를 통해 연구하고자 하 였다. 또한 고려청자와 송대 청자의 조형성 변천에 관한 사례 분석을 통해 독특한 유색, 문양, 형태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일인이자 중국인 연구자으로서, 특히 한국 고려청자의 조형적 특징을 연 구함으로써 중국으로 돌아가서 전통청자와 상감기법 등을 후학에게 알려주고, 더불어 앞으로 도 청자를 더욱 깊이 있게 연구할 중요한 조형적 미감의 한 단서를 제공받았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양국 전통 청자가 갖고 있는 역사성과 조형적 특징 등을 현대적 요소로 창작 발전 시켜 한·중 양국 청자 문화와 도자예술의 교류와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앞으로 한국과 중국 도자기가 서로에 영향을 미친 사례들을 보다 많은 영역으로 확장 해서 연구함으로써 한국과 중국, 그리고 아시아 지역은 물론 인류 도자기 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경숙, "한국도자사" 일지사 1989

      2 방병선, "토기·청자Ⅰ" 예경 2000

      3 방병선, "중국도자사 연구" 경인문화사 2012

      4 김인규, "월주요청자와 한국 초기청자" 일지사 2007

      5 윤용이, "우리 옛 도자기의 아름다움" 돌베개 2008

      6 김종운, "부안청자" 학연문화사 2008

      7 정양모, "고려청자의 翡色" 한국학중앙연구원 1983

      8 노형구, "고려청자와 중국청자의 유약의 특성과 색도 비교 연구" 한국도자학회 10 (10): 71-84, 2013

      9 정양모, "고려청자" 대원사 2006

      10 장남원, "고려중기 청자 연구" 혜안 2006

      1 강경숙, "한국도자사" 일지사 1989

      2 방병선, "토기·청자Ⅰ" 예경 2000

      3 방병선, "중국도자사 연구" 경인문화사 2012

      4 김인규, "월주요청자와 한국 초기청자" 일지사 2007

      5 윤용이, "우리 옛 도자기의 아름다움" 돌베개 2008

      6 김종운, "부안청자" 학연문화사 2008

      7 정양모, "고려청자의 翡色" 한국학중앙연구원 1983

      8 노형구, "고려청자와 중국청자의 유약의 특성과 색도 비교 연구" 한국도자학회 10 (10): 71-84, 2013

      9 정양모, "고려청자" 대원사 2006

      10 장남원, "고려중기 청자 연구" 혜안 2006

      11 이강한, "고려의 자기, 원제국과 만나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

      12 임헌자, "고려시대청자와 현대청자의 발색에 관한 비교분석연구" 한국도자학회 10 (10): 123-136, 2013

      13 백은경, "고려 상형청자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14 임헌자, "강진 고려 청자 발색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도자학회 11 (11): 129-147, 2014

      15 金慶鎮, "강진 高麗青瓷의 특성 분석 및 再現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4

      16 楊寒橋, "龍泉窯" 上海大學出版社 2012

      17 趙征, "高麗青瓷的藝術魅力"

      18 임헌자, "高麗靑瓷와 근현대 靑瓷의 색차 분석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나노IT 디자인융합대학원 2016

      19 강경인, "高麗陶瓷新論" 학연문화사 2009

      20 김윤정, "高麗後期 象嵌靑瓷에 보이는 元代 磁器의 영향" 한국미술사학회 (249) : 163-205, 2006

      21 李基白, "高麗初期 五代와의 關係, 高麗貴族 社會의 形成" 一潮閣 1990

      22 강경숙, "韓國陶磁史" 예경 2012

      23 王曉研, "越窯青瓷的美學特征研究" 西北大學 2015

      24 劉才誌, "宋代青瓷刻花之冠" 江西景德鎮 2015

      25 劉瑩, "宋代耀州青瓷藝術特征及其成因研究" 中國藝術研究院 2008

      26 曾肅良, "宋代耀州青瓷研究" 三藝文化事業有限公司 2005

      27 李輝柄, "宋代官窯瓷器" 故宮出版社 2013

      28 鄧櫻, "南宋龍泉青瓷的審美" 景德鎮陶瓷學院 대학원. 2008

      29 李知宴, "中國陶瓷艺术" 外文出版社. 耶魯大學出版社 2010

      30 마가렛 메들리, "中國陶瓷史" 悅話堂 1986

      31 叶喆民, "中國陶瓷史" 生活·讀書·新知三聯書店 2011

      32 中國硅酸盐协会, "中國陶瓷史" 文物出版社 2011

      33 馮先銘, "中國古陶瓷圖典" 文物出版社 2013

      34 劉蘭華, "中國古代陶瓷紋样" 故宮出版社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7 0.07 0.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3 0.13 0.28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