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대무용 기본 응용 동작 중의 하나인 Turn Leap 동작을 대상으로 실패와 성공 시의 동작 특성을 과학적으로 접근하고, 영상분석법으로 무용 동작의 생체역학적 분석을 시도하여 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342024
춘천 : 강원대학교, 2019
학위논문(박사) --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 체육학과 , 2019
2019
한국어
692 판사항(6)
796 판사항(23)
강원특별자치도
ix, 78장 : 삽화, 도표 ; 30 cm
지도교수: 백진호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무용 기본 응용 동작 중의 하나인 Turn Leap 동작을 대상으로 실패와 성공 시의 동작 특성을 과학적으로 접근하고, 영상분석법으로 무용 동작의 생체역학적 분석을 시도하여 효...
본 연구는 현대무용 기본 응용 동작 중의 하나인 Turn Leap 동작을 대상으로 실패와 성공 시의 동작 특성을 과학적으로 접근하고, 영상분석법으로 무용 동작의 생체역학적 분석을 시도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동작 수행을 위한 학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현대무용 전공생들에게 과학적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현대무용 10년 이상의 무용수를 대상으로 현대무용 기본 응용 동작 중의 하나인 Turn Leap 동작의 운동학적 변인 측정과 하지 근전도 측정을 위한 영상분석시스템, 지면반력 측정기, 근전도 분석 장비가 실험도구 및 분석 장비로 사용되었다. Turn Leap 동작의 실패와 성공 시의 동작 특성과 올바른 동작 제안을 위해 운동학적 변인과 운동역학적 변인으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변인은 시간, 거리, 속도, 각도, 각속도 등 운동학적 변인과 근전도, 지면반력과 같은 운동역학적 변인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시간 요인에서 구간별 소요시간은 실패와 성공 시 P1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소요하였으며, P3에서 가장 짧은 시간을 소요하였다. 또한, P1은 실패 시에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였으며, P2에서는 성공 시에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였다. 또한, 전체 소요시간에서 실패와 성공 시의 체공 시간을 백분율로 나타낸 결과, 실패 시에 34.87%, 성공 시에 34.93%로 실패 시보다 성공 시에 근소하게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공적인 점프 동작을 위해 준비 동작은 정확하고 천천히 이루어져야 하며 빠르게 오른발 차는 동작을 통해 체공 시간을 늘리는 전략이 이루어진 결과로 생각된다.
둘째, 거리요인에서 실패와 성공 시 신체 중심의 좌우 위치변화는 도약의 시점인 E1에서부터 마지막 착지인 E5까지 신체 중심이 우측으로 점차 이동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Turn Leap 동작의 특성이 턴 동작과 립 동작의 연속 동작으로 진행방향인 우측으로의 이동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판단된다. 신체 중심의 전후 위치변화는 도약의 시점인 E1에서부터 마지막 착지인 E5까지 신체 중심이 더 멀리 이동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첫 번째 도약 구간인 E1에서 E2 구간에서 가장 이동의 범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패 시와 성공 시의 차이는 전체적으로 성공 시에 더 멀리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프의 최고 높이는 실패 시는 0.766±0.041 m/ht이며, 성공 시에는 0.775±0.032 m/ht로 나타나 실패 시보다 성공 시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공적인 Turn Leap 동작을 위해 좌우 이동 거리는 전체적으로 우측으로 이동하여야 하며, 더 큰 힘을 이용한 도약을 통해 점프 높이를 높이고 착지 시 멀리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속도요인에서 신체 중심의 좌우 속도는 두 번째 도약을 위한 왼발 착지 이후 오른발 도약부터 착지 시까지 성공 시보다 실패 시에 우측으로의 신체 중심 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이벤트에서 실패 시보다 성공 시에 전후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패와 성공 시 신체 중심의 수직 속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신체 중심의 좌우 이동 거리와 같은 이유인 우측으로의 이동 결과로 판단된다.
넷째, 각도 요인에서 이벤트별 하지관절각도는 우측 고관절 각도변화에서 공중동작에서 성공 시 우측 고관절의 굴곡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측 고관절 내외회전각도는 E2에서 실패 시에는 내측회전이 일어났으며, 성공 시에는 외측회전이 일어나 차이를 나타냈다. 좌측 고관절의 내외전각도는 모든 이벤트에서 실패 시보다 성공 시의 외전각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점프 동작에서의 오른쪽과 왼쪽 고관절의 턴 아웃 동작의 유지가 제대로 수행된 결과로 판단된다. 좌측 무릎관절의 내외전각도는 E2에서 실패 시보다 성공 시에 굴곡각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는 더 큰 도약힘을 위해 무릎의 굴곡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좌측 발목관절의 내외전 각도는 E3를 제외한 모든 이벤트에서 외전 되었으며, E2에서 실패 시보다 성공 시가 더 큰 외전 각도를 나타냈다. 준비 동작 시 턴아웃 쁠리에 동작으로 인하여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특히, 도약과 착지를 나타내는 E1, E2, E3에서 실패 시보다 성공 시에 상체전경각이 작게 나타났으며, 공중동작인 E4에서도 실패 시보다 성공 시에 상체전경각이 작게 나타나 지면을 기준으로 상체가 유지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무용의 기본동작인 Pull up과 Turn out이 잘 수행된 결과로 보여 진다.
다섯째, 각속도 요인에서 도약 직전과 착지 지점 E2와 E5에서 실패 시 보다 성공 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스타트인 오른발 착지 후 동체 회전 속도를 빨리하여 회전력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도약 구간의 동체 최대 회전 각속도 비교결과 실패 시에 –723.6±74.7 °/sec, 성공 시에 –752±118.7 °/sec로 성공 시 최대 회전 각속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준비 동작인 도약에서 성공적인 점프를 위해 회전각속도를 높이는 전략의 결과로 판단된다.
여섯째, 지면반력 요인에서 실패 시보다 성공 시 도약 구간의 최대 수직 지면반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위에 언급한 점프 높이와 체공 시간과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Turn Leap 동작에서 성공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곱째, 근전도 요인에서 스타트인 오른발 착지부터 왼발 착지까지의 도약 구간에서 실패 시가 성공 시보다 대퇴사두근의 근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좌측 외측광근 제외). 또한, 오른발 도약에서 우측 대퇴이두근(RT.BF)과 우측 전경골근(RT.TA)이 활성화 되었는데 성공 시가 실패 시보다 더 높은 근활성도를 나타냈다. 왼발 착지에서부터 왼발 도약 시까지 도약 구간은 성공 시가 실패 시보다 좌측 전경골근(LT.TA)과 좌측 외측광근(LT.VLO), 좌측 반건양근(LT.SEM)의 근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왼발의 착지와 도약 시 활용되는 근육이 적절하게 사용되었음을 입증하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왼발 도약에서부터 신체 중심이 최고 높이 시의 공중자세 구간은 성공 시가 실패 시보다 양쪽 대퇴직근(RF), 양쪽 외측광근(VLO), 좌측 내측광근(VMO)과 양쪽 전경골근(TA), 양쪽 대퇴이두근(BF), 양쪽 외측 비복근(LAT.GA)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는 왼발 도약에 대퇴 사두근의 역할과 추진력을 위한 외측 비복근의 사용이 적절하게 이루어진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해 본 결과 Turn Leap의 성공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턴과 립의 연속 동작 시 안정적인 동작 구현을 위해 지지 다리는 높은 수직 점프를 위해서 지면에서 떨어지는 E3에서 수직 속도를 빠르게 하여 체공 시간을 더욱 길게 함으로써 체공높이를 높게 하여 동작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Turn Leap 동작을 수행하는 데 있어, 도약과 체공시간, 착지 시 고관절의 신전은 미적 요소를 충족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공중에서 다리를 들어 올려 180도 스트레치 형태를 유지 시켜 더욱 우아하고 정확한 동작을 보여주는 데 있다. 그러므로 다리를 들어 올려 양쪽 다리를 최대한 펴서 180도를 유지해주는 것이 Turn Leap 동작에서 가장 아름다운 공중 동작을 표현하는 방법이 된다. 또한, 회전 시 다리 동작은 더 높고 빠르게 정확한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며 머리는 동작이 시작된 후 시선을 고정시켜야 한다. 몸통이 돌아갔을 때 원래 방향으로 정확히 머리를 회전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좀 더 깔끔한 동작 선과 착지를 이룰 수 있을 뿐 아니라 Turn Leap 동작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특히 불안정한 Turn 자세는 예술성을 감소시키고 정확한 동작 표현이 불가능함으로 올바른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Turn Leap 단계 직전의 내딛기 동작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Turn Leap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지도하여야 하며, 도약 시 높이 점프하기 위해서는 발을 단계적으로 지면을 밀어 최대 수직 지면반력이 최고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착지 시에는 발끝부터 지면에 내딛고 천천히 쁠리에 하여 무릎을 구부려 착지 시간을 길게 안정적으로 하는 것이 우아한 동작과 충격으로부터 보호 하여 상해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erform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dance movement(turn-leap)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ailures and successes in the movement. Five modern dancers(age: 20.60±0.55 year’s old, height 167.43±5.13cm, weight:55.00±1....
This study aims to perform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dance movement(turn-leap)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ailures and successes in the movement. Five modern dancers(age: 20.60±0.55 year’s old, height 167.43±5.13cm, weight:55.00±1.58kg, experience: 11.00±1.00years) were recrui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ree 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Force plate and electromyography(EMG) system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kinematical and biomechanical variables computed were the time, distance, velocity, angle, and angular velocity, muscular activation and ground reaction force(GRF).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Regarding the time factor taken for each phase, P1 had the longest time and the shortest at P3 in both failures and successes trials. In case of the hang time out of total time, failure trials were 34.87% and 34.93% in success trials, which shows that successful trials were slightly longer than in failure trials. Therefore, the preparation processes must be done accurately and slowly for a successful jump. The duration of flight can be lengthen by kicking the right foot quickly when jumping.
2. In terms of the distance factor in both the failure and success trials, the change the center of the mass(COM) i.e. medial/lateral and anterior/posterior - showed the COM moved gradually to the medial direction from the take-off(E1) to the final landing(E5). This seems to result from the fact the turn-leap movement is continuous sequence of a turn and a leap, moving to the medial direction.
3. From the take-off on the right foot after landing on the left foot to the final landing for the second leap, the velocity of the COM increased more in failure trials than in successes. Also, in all events, the velocity of the COM moving towards the anterior and posterior direction increased in successes than in failure trials. Whereas, the difference in the vertical velocity of COM between two conditions were not significant. The result obtained is considered due to the nature of the movement starting from the medial direction, which is the same reason as the moving distance of the center of the mass.
4. In case of the angle of lower limb joints for each event, the right hip flexion angle during the aerial movement was larger in success trials than in failures. The abduction angle was larger in successes than in failures in all events, which meant the turn-out motion of the right and left hip joints in the jump movement was performed successfully. The left knee flexion angle was larger in successes than in failures in order to obtain a larger jump force. In all events except for E3, the angles of the left ankle joint were abducted, and the abduction angle at E2 was larger in successes than in failures. It is considered as the result of turn-out and plié movements during the preparatory stage. In all events except for E5, the anterior angles of the upper body was obsereved to be smaller in successes than in failure trials, indicating that the upper body was standing upon the ground. This shows that the pull-up and the turn-out which are the basic movements of dance were well performed.
5. The angular velocity at E2 and E5 was higher in successes than in failures, which means the rotational force became greater due to the higher rotational velocity after the right foot landing. The maximum rotational angular velocity was found to be higher in successes(-752±118.7°/sec) than in failures(-723.6±74.7°/sec). This is judged to be the result of a strategy of increasing the angular velocity of rotation for a successful jump during the preparatory take-off phase.
6. The maximum vertical GRF of the jump was higher in successes than in failures. This result seems to be correlated with the jump height and the duration of flight, and it is considered to be a successful factor in the turn-leap movement.
7. The EMG activity of the quadriceps femoris muscles was higher in successes than in failures in the start phase which is from the right leg landing to the left leg landing(except for the left vastus lateralis). Also, the right femoral biceps(RT. BF) and the right tibialis anterior muscle(RT. TA) were activated in the right foot jump, and they showed higher muscle activity in successes than in failures. In the jump phase which covers from the left foot landing to the left foot take-off, the left tibialis anterior(LT. TA), the left vastus lateralis (LT. VLO), and left semitendinosus muscle(LT. SEM) showed higher muscle activity in successes than in failure trials. This seems to be a result of demonstrating that the muscles activated for landing and jumping of the left foot were appropriately used. In the flight movement phase, from the left foot jump to the highest point of body axis, EMG activity was higher in successes than in failures in all cases of the rectus femoris(RF), the vastus lateralis(VL), the left vastus medialis(VM), the tibialis anterior(TA), the biceps femoris(BF), and the lateral gastrocnemius(LAT. GA).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that the quadriceps femoris muscle and the lLAT. GA muscle were used properly in the left foot jump for the propulsive force.
From the results stated above, it can be drawn that during the continuous sequence of a turn and a leap, the vertical rise velocity of the supporting leg should be increased at E3 to stay longer and higher the air. In addition, in performing the turn-leap movement, the duration of take-off and flight and the extension of the hip joint in landing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meet the aesthetic elements in order to display the more appealing and correct movement. Specifically, lifting the legs and maintaining both legs at the maximum angle of 180 degrees is the way to express the most beautiful aerial motion in turn-leap movement. Unstable turning movement, especially, not only reduces the artistry but also makes it impossible to express the movement accurately.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ush the foot stepwise to the ground so that the vertical GRF becomes the maximum in order to increase the jump height. As well, instructors should provide students information about the stepping movement before the stage of taking a turn and leap for them to perform the turn-leap movement efficiently.
목차 (Table of Contents)
1 박금자, "무용론", 서울: 금광, 1995
2 정소영, "무용개론", 서울: 금광출판사, 1986
3 김정자, "무용개론", 서울: 형성출판사, 1992
4 이긍세, "생체역학", 서울: 교학사, 1986
5 박성순, "운동역학", 서울: 도서출판 대경북스, 2005
6 마순자, "표현주의", 서울: 열화당, 1988
7 도정임, "발레클라스", 서울: 삼신각, 1991
8 김종훈, "체육생리학", 서울: 형설출판사, 1982
9 김정수, 황규자, 조승미, "무용사 연구", 서울: 금광, 2001
10 김말복, "무용의 이해", 서울: 예전사, 1999
1 박금자, "무용론", 서울: 금광, 1995
2 정소영, "무용개론", 서울: 금광출판사, 1986
3 김정자, "무용개론", 서울: 형성출판사, 1992
4 이긍세, "생체역학", 서울: 교학사, 1986
5 박성순, "운동역학", 서울: 도서출판 대경북스, 2005
6 마순자, "표현주의", 서울: 열화당, 1988
7 도정임, "발레클라스", 서울: 삼신각, 1991
8 김종훈, "체육생리학", 서울: 형설출판사, 1982
9 김정수, 황규자, 조승미, "무용사 연구", 서울: 금광, 2001
10 김말복, "무용의 이해", 서울: 예전사, 1999
11 안제승, "무용학 개론", 서울: 신원, 1992
12 한혜리, "20세기의 무용", 국제문화학회, 1992
13 Jack Anderson, 허영일, 서진은, "발레 현대무용", 서울: 금광, 1996
14 양정수, "한국현대무용사", 서울: 대한미디어, 1999
15 이덕희, "불멸의 무용가들", 서울: 문예출판사, 1989
16 김복희, 김화숙, "현대무용 테크닉", 서울: 보진재 출판사, 1981
17 김채현, "서양 춤, 예술의 역사", 서울: 이론과 실천, 1990
18 장정윤, "현대무용의 철학사조", 대한무용학회, 제18집, 1994
19 심정민, "서양 무용비평의 역사", 서울: 삼신각, 2001
20 도정임, "역 과학적인 무용훈련", 서울: 도서출판 삼신각, 1995
21 정의숙, "반주은 현대무용인물론", 서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출판부, 2000
22 김은혜, "현대무용 Leap 동작 분석", 체육연구소논집, 15(1), 43-52, 1994
23 김태원, "John Martin 무용이론 입문", 서울: 현대미학사, 1994
24 김태원, "John Martin 현대 춤의 인식", 서울: 현대미학사, 1993
25 김기인, "머스 커닝햄의 무용사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26 최청자, "무용교육과 안무의 이해", 서울: 현대미학사, 1993
27 김옥동, "포스트 모더니즘의 이해",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0
28 박명숙, "Sally Banes 포스트 모던댄스", 서울: 삼신각, 1991
29 이혜숙, "발레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7(1),139-161, 1997
30 김혜영, "현대무용 Turn Leap 동작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2
31 김태원, "후기 현대춤의 미학과 동향", 서울: 현대미학사, 1991
32 Wallter Sorell, "신길수 역, 서양무용사상사", 서울: 예전사, 1999
33 안재선, "Saute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34 오문자, "한국적 현대무용의 특성분석", 대한무용학회, 제18집, 1995
35 김정수, "발레 Jet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무용학회 논문집, 12. 112-131, 1992
36 김정화, "Gr and Jete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37 오혜순, "무용동작 학습과정의 개념적 모델", 한양대학교 체육과학 연구소 체육과학 제 13: 93-113, 1993
38 이금용, "무용에 대한 운동역학의 연구 동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2, 1-18, 2010
39 이정은, "현대무용 Leap 동작의 운동학적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1992
40 김경신, "아라베스크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체육연구소논집, 8(2), 31-42, 1987
41 최은순, "현대무용 Leg Twist 동작의 역학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1984
42 문애령, "서양무용사 - 신 표현주의를 중심으로", 서울: 눈빛, 1995
43 장정윤, "머스커닝햄의 무용기법에 관한 연구(2)", 무용예술학 연구, 제3집, 봄, 1999
44 구인자, "Martha Graham 창작기법 특이성에 관한연구", 대한무용학회, 제26집, 1999
45 양선숙, "현대무용 side kick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1999
46 강윤경, "한국현대무용에 나타난 표현주의적 요소",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47 강정순, "한국무용 뛰기동작의 충격력에 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1996
48 송종건, "포스트 모던 사상과 포스트 모더니즘 댄스", 몸 3월호, 1998
49 나경아, "포스트 모던댄스의 ‘탈 형식’ 양상 연구", 대한무용학회, 제32집, 2002
50 백종우, "신장차이가 수직점프의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96
51 황서연, "현대무용 Back-Hop 동작의 운동 역학적 특성 분석", 성균관 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2 김남영, "현대무용 Side Leg Exten sion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8
53 문영, 오레지나, "무용 수행능력 평가도구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무용교육 학회지, 23(2), 199-215, 2012
54 강하나, "발레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파드샤를 중심으로", 수원대 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2007
55 문태영, "체육사상과 그 교육의 현대적 구현에 관한 고찰",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3
56 박혜란, "현대무용의 예술적 형식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움직임의 철학, 제10권, 2002
57 이양출, "En dehor s의 근전도 측정에 의한 생체 역학적 분석", 이화여자 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1980
58 정옥조, "미국현대무용가들, 이야기로 풀어 쓴 현대무용사", 서울: 솔 출판사, 1996
59 문곤성, "수직점프유형에 따른 지면반력 형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60 임미영, "현대무용 Fifth Position Jump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전북 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0
61 허영일, "포스트 모던 댄스의 미학-그 한국적수용을 위하여", 서울: 정문사, 1989
62 배성제, 조영숙, 정철수, "한국무용 춤사위 중 외발서기 동작의 안정성 분석", 체육연구소 논집 5(2),75-90, 1994
63 김미숙, "표현주의 무용의 시대적, 민족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04
64 김창림, "여자 고등학생들의 수직뛰기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992
65 민현선, "발의 기본 포지션에 따른 쏘떼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996
66 박기자, "아라베스크 토 밸런스 동작의 운동역학적 특성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1999
67 양정수, "Martha Graham의 20C 현대무용 수용가치와
68 최정윤, "사이드 킥과 사이드 바운스 킥 동작의 운동학적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69 유경옥, "미국현대무용의 작품에서 표현주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5권, 제 2호, 1996
70 김원, "현대무용 Contraction 동작들의 근전도 분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988
71 황문숙, "Paulette Shafranski 현대무용-12가지 창조적 문제와 해결실험", 서울: 금광, 2009
72 송인아, "발레 Turn-out 수직점프의 미적특성에 대한 무용역학적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73 김정희, "발레와 한국무용 전공자의 슬관절 등속성 근력 비교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4 임숭희, "발레의 데벨로빼에까르떼데리에르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998
75 심재희, "발레 아라베스크 동작의 역학적 분석, 미간행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4
76 문동안, "Depth Jump시 도약 방향 및 연령차이가 역학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 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77 류수원, "EMG분석에 의한 발레기본동작의 하지근육 사용 방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78 황규자, "고관절의 turn-out에 관한 해부학적 분석 및 가동범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1995
79 김복영, 현무성, 정철수, 이기청, 신인식, 배성제, "에어로빅스 운동 시 부상 유발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한국운동역학회, 1995
80 이진, "발레 무용수의 Fouette en dehors 동작 시 신체분절에 대한 생체역학적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2
81 김지혜, "상지이용유무에 따른 현대무용 아라베스크 턴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한양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82 이경식, "점프유형과 점프높이에 따른 바운스 반동 점프의 협응 및 제어 형태분석", 미 간행 박사학위 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0
83 김광진, "발레동작 Grand Jet en Tournant의 분절별 위치변화 및 각속도 분석에 관 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84 정유진, "도리스 험프리의 무용이론 ‘낙하와 회복’에 관한 연구, 무용예술학연구, 제4집", 가을, 1999
85 정정은, "발레 Grand pas de chat 동작 시 운동역학적 변인과 미학적 예술성과의 상 관관계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86 이종경, "배구 블로킹 착지시 이동속도와 착지유형이 충격흡수와 후족의 안정에 미치 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87 권안숙, "발레 아라베스크 회전동작의 주요요인에 관한 운동역학적 분석, 미간행박사학 위논문", 동덕여지대학교 대학원, 2005
88 박현옥, "Afro-Americans의 춤 문화가 20C 미국현대무용에 미친 영향, 한국무용교육학 회지, 제12집, 제1호", 통권15호, 2001
89 정현주, "모션캡처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Fouett en tournant의 무용역학적 분석과 3D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90 박혜리, "발레 Point동작시 운동역학적 요인과 전문가 수행평가와의 관계, 미간행석사 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4
91 양승민, "퇴행성슬관절염 환자의 수중운동과 노르딕워킹운동 후 하지의 근활성도와 보 행형태에 및 통증변인 분석,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