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직 내 구성원의 직무과부하와 나르시시즘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직무자율성 및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 The Effects of Work overload and Narcissism on Work engagement of Organizational employees: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Job autonomy and Gri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543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narcissism on work engagement through job stress, targeting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onstructed a research model by introducing job autonomy, work overload, grit, narcissism, job stress, and work engagement based on the JD-R model.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selected as employees 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was conducted online using a Google questionnaire for a total of 8 days from October 18 to October 26, 2022. Of the 547 responses collected, a total of 528 copies (96.5% valid data rat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2.0 programs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norma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 variables and basic statistics,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4.1 program.
      As for the main research results, fir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present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appropriate. Second, job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narcissism and work engegement.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work engagement as a mediator of job stres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employees who recognized work overload and employees with a high level of narcissism strengthened job stress, resulting in a decrease in work engageme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work engagement via job stress, when job autonomy is low, all groups (low, medium, and high) of grit show that their relationship is further strengthened.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and work engagement via job stress, it was found that job autonomy and grit did not control their relationship.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theoretical impl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ptual framework presented in the extended JD-R model was not empirically verifie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atching hypothesis that stress or burnout is alleviated when resources of the same level as demand are applied does not apply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Next, practical implications are: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reduce work overload.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to increase the level of autonomy and grit for the job so that employees' job stress can be lowered and work engagement can be increased. Third, considering that job stress acts as a factor that lowers work engagemen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oles that match the work ability of employees rather than work resul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narcissism on work engagement through job stress, targeting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order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narcissism on work engagement through job stress, targeting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onstructed a research model by introducing job autonomy, work overload, grit, narcissism, job stress, and work engagement based on the JD-R model.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selected as employees 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was conducted online using a Google questionnaire for a total of 8 days from October 18 to October 26, 2022. Of the 547 responses collected, a total of 528 copies (96.5% valid data rat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2.0 programs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norma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 variables and basic statistics,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4.1 program.
      As for the main research results, fir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present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appropriate. Second, job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narcissism and work engegement.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work engagement as a mediator of job stres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employees who recognized work overload and employees with a high level of narcissism strengthened job stress, resulting in a decrease in work engageme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work engagement via job stress, when job autonomy is low, all groups (low, medium, and high) of grit show that their relationship is further strengthened.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and work engagement via job stress, it was found that job autonomy and grit did not control their relationship.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theoretical impl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ptual framework presented in the extended JD-R model was not empirically verifie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atching hypothesis that stress or burnout is alleviated when resources of the same level as demand are applied does not apply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Next, practical implications are: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reduce work overload.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to increase the level of autonomy and grit for the job so that employees' job stress can be lowered and work engagement can be increased. Third, considering that job stress acts as a factor that lowers work engagemen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oles that match the work ability of employees rather than work res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직무과부하와 나르시시즘이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그릿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JD-R모형을 기반으로 직무자율성, 직무과부하, 그릿, 나르시시즘,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을 투입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로 선정하였으며, 2022년 10월 18일부터 10월 26일까지 총 8일 간 Google 설문지를 활용하여 온라인을 통해 진행하였다. 수집된 547개의 응답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528부(유효자료율 96.5%)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정규성 검정, 상관관계 분석 등 기초통계와 연구변인 간 구조적 관계, PROCESS macro 4.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각 변인 간 구조적 관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과부하, 나르시시즘과 직무몰입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직무과부하가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과부하를 인식하는 구성원과 나르시시즘 수준이 높은 구성원은 직무스트레스를 강화시켜 결과적으로 직무몰입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직무과부하가 직무스트레스를 경유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이 낮을 때 그릿의 모든 집단(저집단, 중집단, 고집단)에서 이들의 관계를 더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나르시시즘이 직무스트레스를 경유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그릿은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이론적 시사점으로 첫째, 확장된 JD-R모형에서 제시한 개념적 틀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요구와 동일한 차원의 자원이 투입되었을 경우 스트레스나 소진을 완화시킨다는 매칭가설이 개인특성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실천적 시사점은 첫째, 직무과부하 상황을 감소할 수 있는 조직문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는 낮추고 직무몰입을 높일 수 있도록 직무에 대한 자율성과 그릿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직무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는 조직의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고려할 때, 업무결과보다는 구성원들의 업무능력과 맞는 역할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직무과부하와 나르시시즘이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그릿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직무과부하와 나르시시즘이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그릿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JD-R모형을 기반으로 직무자율성, 직무과부하, 그릿, 나르시시즘,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을 투입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로 선정하였으며, 2022년 10월 18일부터 10월 26일까지 총 8일 간 Google 설문지를 활용하여 온라인을 통해 진행하였다. 수집된 547개의 응답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528부(유효자료율 96.5%)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정규성 검정, 상관관계 분석 등 기초통계와 연구변인 간 구조적 관계, PROCESS macro 4.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각 변인 간 구조적 관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과부하, 나르시시즘과 직무몰입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직무과부하가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과부하를 인식하는 구성원과 나르시시즘 수준이 높은 구성원은 직무스트레스를 강화시켜 결과적으로 직무몰입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직무과부하가 직무스트레스를 경유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이 낮을 때 그릿의 모든 집단(저집단, 중집단, 고집단)에서 이들의 관계를 더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나르시시즘이 직무스트레스를 경유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그릿은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이론적 시사점으로 첫째, 확장된 JD-R모형에서 제시한 개념적 틀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요구와 동일한 차원의 자원이 투입되었을 경우 스트레스나 소진을 완화시킨다는 매칭가설이 개인특성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실천적 시사점은 첫째, 직무과부하 상황을 감소할 수 있는 조직문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는 낮추고 직무몰입을 높일 수 있도록 직무에 대한 자율성과 그릿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직무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는 조직의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고려할 때, 업무결과보다는 구성원들의 업무능력과 맞는 역할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목 차 】
      • Ⅰ. 서 론 0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01
      • 2. 연구문제 08
      • 3. 용어의 정의 08
      • 【 목 차 】
      • Ⅰ. 서 론 0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01
      • 2. 연구문제 08
      • 3. 용어의 정의 08
      • Ⅱ. 이론적 배경 10
      • 1. 직무몰입 10
      • 가. 직무몰입의 개념 10
      • 나. 직무몰입의 구성요소 13
      • 2. 직무자율성 17
      • 가. 직무자율성의 개념 17
      • 나. 직무자율성의 구성요소 20
      • 3. 직무과부하 24
      • 가. 직무과부하의 개념 24
      • 나. 직무과부하의 구성요소 27
      • 4. 그릿 28
      • 가. 그릿의 개념 28
      • 나. 그릿의 구성요소 30
      • 5. 나르시시즘 33
      • 가. 나르시시즘의 개념 33
      • 나. 나르시시즘의 구성요소 37
      • 6. 직무스트레스 38
      • 가. 직무스트레스의 개념 38
      • 나. 직무스트레스의 구성요소 41
      • 7. 변인 간의 관계 43
      • 가. 직무과부하,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 간의 관계 43
      • 나. 나르시시즘,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 간의 관계 44
      • 다. 직무과부하,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 간의 관계에서
      • 직무자율성과 그릿의 조절효과 45
      • 라. 나르시시즘,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 간의 관계에서
      • 직무자율성과 그릿의 조절효과 47
      • Ⅲ. 연구방법 49
      • 1. 연구모형 및 변인설정 49
      •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51
      • 3. 조사도구 54
      • 4. 분석방법 58
      • 5.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61
      • Ⅳ. 연구결과 및 논의 72
      • 1. 주요 변인 기술통계 72
      • 2. 연구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73
      • 3. 연구문제 검증 74
      • 가. 변인 간 구조적 관계 검증 74
      • 나. 직무과부하와 직무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 매개효과와 직무자율성 및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78
      • 다. 나르시시즘과 직무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 매개효과와 직무자율성 및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82
      • 4. 논의 84
      • Ⅴ. 결론 및 시사점 89
      • 1. 요약 89
      • 2. 결론 90
      • 3. 시사점 및 제언 92
      • 참고문헌 96
      • 부록(설문지) 139
      • ABSTRACT 14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