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도시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플레이스 브랜딩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938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differentiate a city from other cities and ensure its identit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lose examination of the properties and potential resources of the city, along with the essential values the city pursues, This can be done to instill what is known as 'Place Branding', which is based on such an examination.
      This paper focuses on 'Place Branding' to identify what types of 'Place Branding' affect a city's efforts to promote their brand values. It also attempts to develop measures of brand values as a factor of 'Place Branding' to evaluate the values of a city. For an assessment of the efforts to promote the values of a city, we divided such promotion efforts into several types, including 'Promoting the factors underlying the Environment/Culture,' 'Replacing Cultural Elements,' and 'Creating the factors underlying the Contents' depending on the city's potential resources and on the background of adopting a certain type of efforts for promotion. Each case is analyzed for each type. Finally, on the basis of the evaluation factors for city brands, we assess each cas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This paper may possibly be used as elementary data for conducting effective place branding. It also provides several measures that can be used to estimate a city brand using a 'Place Branding' process. Successful establishment of a city brand requires correct identification and diagnosis of the city's properties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a type of place branding tailored to each property of the city. It also requires place branding supported by a strong network of stakeholders and innovative systems for citizens.
      번역하기

      In order to differentiate a city from other cities and ensure its identit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lose examination of the properties and potential resources of the city, along with the essential values the city pursues, This can be done to ins...

      In order to differentiate a city from other cities and ensure its identit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lose examination of the properties and potential resources of the city, along with the essential values the city pursues, This can be done to instill what is known as 'Place Branding', which is based on such an examination.
      This paper focuses on 'Place Branding' to identify what types of 'Place Branding' affect a city's efforts to promote their brand values. It also attempts to develop measures of brand values as a factor of 'Place Branding' to evaluate the values of a city. For an assessment of the efforts to promote the values of a city, we divided such promotion efforts into several types, including 'Promoting the factors underlying the Environment/Culture,' 'Replacing Cultural Elements,' and 'Creating the factors underlying the Contents' depending on the city's potential resources and on the background of adopting a certain type of efforts for promotion. Each case is analyzed for each type. Finally, on the basis of the evaluation factors for city brands, we assess each cas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This paper may possibly be used as elementary data for conducting effective place branding. It also provides several measures that can be used to estimate a city brand using a 'Place Branding' process. Successful establishment of a city brand requires correct identification and diagnosis of the city's properties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a type of place branding tailored to each property of the city. It also requires place branding supported by a strong network of stakeholders and innovative systems for citize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미숙, "해외리포트 : 해외의 섬 개발정책 사례와 시사점 -그리스 산토리니섬과 이탈리아 카프리섬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007

      2 이태희, "한국 관광목적지 브랜드 창출을 위한 브랜드지수 평가에 관한 연구" 25 (25): 2001

      3 이태희, "축제브랜드 경영론" 대왕사 2003

      4 박상훈, "장소의 재탄생" 디자인하우스 2009

      5 김유경, "장소브랜딩의 역할과 전략적 관리" (51) : 2007

      6 이무용, "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문화정치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2003

      7 배영준, "우리나라 기업도시 현황과 추진 방향에 관한 연구:관광레저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06

      8 이지은, "상징거리의 역할과 특성 연구"

      9 이충훈, "문화마케팅 정책에 기반을 둔 도시 브랜드 유형별 특성화 분석 연구" 경희대학교 2007

      10 김효정, "문화도시 육성방안 연구"

      1 차미숙, "해외리포트 : 해외의 섬 개발정책 사례와 시사점 -그리스 산토리니섬과 이탈리아 카프리섬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007

      2 이태희, "한국 관광목적지 브랜드 창출을 위한 브랜드지수 평가에 관한 연구" 25 (25): 2001

      3 이태희, "축제브랜드 경영론" 대왕사 2003

      4 박상훈, "장소의 재탄생" 디자인하우스 2009

      5 김유경, "장소브랜딩의 역할과 전략적 관리" (51) : 2007

      6 이무용, "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문화정치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2003

      7 배영준, "우리나라 기업도시 현황과 추진 방향에 관한 연구:관광레저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06

      8 이지은, "상징거리의 역할과 특성 연구"

      9 이충훈, "문화마케팅 정책에 기반을 둔 도시 브랜드 유형별 특성화 분석 연구" 경희대학교 2007

      10 김효정, "문화도시 육성방안 연구"

      11 최현아, "만화예술의 도시 프랑스 앙굴렘"

      12 이왕건, "라스베이거스: 사막의 오아시스에서 세계 관광산업의 메카로. 세계의 도시" 한울 2004

      13 타니오카 이치로, "라스베가스 이야기" 한올출판사 2004

      14 장동련, "디자인넷 vol.125"

      15 이우종, "도시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요소와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177-192, 2005

      16 서구원, "도시마케팅"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7 서정렬, "도시는 브랜드다:랜드마크에서 퓨처마크로"

      18 안순화, "도시 브랜드 개성의 결정요인과 결과"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08

      19 김시내, "도시 리제네레이션 전략으로서 창의산업 진흥정책에 관한 연구"

      20 백연경, "관광레저형 기업도시의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충남 태안을 중심으로"

      21 "http://www.google.co.kr/imghp"

      22 "http://www.bdangouleme.com"

      23 "http://ubin.krihs.re.kr/2009/index.php"

      24 "http://imagesearch.naver.com"

      25 Skinner,H,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Place Marketing's confused identity" 24 (24): 2008

      26 Anholt,S, "The Anholt-GMI City Brands Index: How the world sees the world’s cities" 2 (2): 2006

      27 Martin,J.A, "Selling Cities: Attracting Homebuyers Through Schools and Housing Programs" 62 (62): 1996

      28 Van Gelder,Sicco, "How to Improve the Changes of Successfully Developting and Implementing a Place Brand Strategy" Placebrands Ltd 2008

      29 Anholt, S, "Elastic brands"

      30 Keller,Kevin L,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1993

      31 Aaker, David A, "Building Strong Brands" Simon&Schuster Inc 1995

      32 Anholt,S, "Brand New Justice: The Upside of Global Brand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4 0.72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