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영화의 시간, 공간, 육체의 문화정치학 : 코리안 뉴 웨이브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대를 중심으로 = (The)cultural politics of time, space, and corporeality in the age of the Korean new wave and the Korean blockbus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0552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코리안 뉴 웨이브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대 한국영화를 시간, 공간, 육체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여기에서 시간, 공간, 육체라는 세 가지 개념은 문화정치학적인 입장에서 사용되었다. 즉 시간은 민족의 역사 및 과거와 개인의 기억으로, 공간은 지정학적인 관점에서, 육체는 생체권력이 발휘되는 장으로 사용되었다.
      1990년대 이후 한국영화는 군부독재 시대를 마감하고 전지구적 자본주의라는 새로운 세계 질서에 복속되는 과정 속에서 권력의 통합적인 이미지가 사라진 채 산포되고 흩어진 재현의 헤게모니 장이 된다. 이러한 한국의 정치 경제적인 변화는 포스트/트랜스 담론의 출현과 동일한 궤적을 이루면서 한국영화의 재현의 토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변화를 본 논문은 코리안 뉴 웨이브 시대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대로 구분해서 파악한다. 90년대 이후 한국영화의 변화를 압축적으로 드러내는 이 두 용어는 영화 산업적인 면에서 점점 더 자본의 순환 경제에 종속되어 가는 한국영화를 알리는 것이며, 재현의 문화정치학적인 면에서 국가/민족의 구도에서 초국가/국가의 구도로 변화해 가는 한국영화를 지시하는 것이다.
      코리안 뉴 웨이브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대 한국영화는 크게 성별화된 민족성, 국민 국가에 대한 옹호, 집단적 민족 서사 만들기, 영화 테크놀로지를 통한 근대성의 성취, 민족 스펙타클, 국민 국가의 탈영토화, 영화의 지표성과 육체성의 등가 관계 등을 통해서 자신들의 문화를 전사하고 기술하고 이전의 재현의 토대를 취소하거나 갱신한다. 그러면서 변화한 전지구/지역 구도에서 번역, 혼성, 모방 등을 통한 이미지-기호의 교환 가치를 획득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코리안 뉴 웨이브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대 한국영화를 시간, 공간, 육체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여기에서 시간, 공간, 육체라는 세 가지 개념은 문화정치학적인 입장에서 사용되...

      본 논문은 코리안 뉴 웨이브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대 한국영화를 시간, 공간, 육체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여기에서 시간, 공간, 육체라는 세 가지 개념은 문화정치학적인 입장에서 사용되었다. 즉 시간은 민족의 역사 및 과거와 개인의 기억으로, 공간은 지정학적인 관점에서, 육체는 생체권력이 발휘되는 장으로 사용되었다.
      1990년대 이후 한국영화는 군부독재 시대를 마감하고 전지구적 자본주의라는 새로운 세계 질서에 복속되는 과정 속에서 권력의 통합적인 이미지가 사라진 채 산포되고 흩어진 재현의 헤게모니 장이 된다. 이러한 한국의 정치 경제적인 변화는 포스트/트랜스 담론의 출현과 동일한 궤적을 이루면서 한국영화의 재현의 토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변화를 본 논문은 코리안 뉴 웨이브 시대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대로 구분해서 파악한다. 90년대 이후 한국영화의 변화를 압축적으로 드러내는 이 두 용어는 영화 산업적인 면에서 점점 더 자본의 순환 경제에 종속되어 가는 한국영화를 알리는 것이며, 재현의 문화정치학적인 면에서 국가/민족의 구도에서 초국가/국가의 구도로 변화해 가는 한국영화를 지시하는 것이다.
      코리안 뉴 웨이브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대 한국영화는 크게 성별화된 민족성, 국민 국가에 대한 옹호, 집단적 민족 서사 만들기, 영화 테크놀로지를 통한 근대성의 성취, 민족 스펙타클, 국민 국가의 탈영토화, 영화의 지표성과 육체성의 등가 관계 등을 통해서 자신들의 문화를 전사하고 기술하고 이전의 재현의 토대를 취소하거나 갱신한다. 그러면서 변화한 전지구/지역 구도에서 번역, 혼성, 모방 등을 통한 이미지-기호의 교환 가치를 획득하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8
      • II. 시간/역사/민족 18
      • 1. 기억의 테크놀로지 22
      • 2. 민족-여성-미장 아빔의 (탈)시간 27
      • 2-1. 여성의 영화적 시간 구조, 미장 아빔 28
      • I. 서 론 8
      • II. 시간/역사/민족 18
      • 1. 기억의 테크놀로지 22
      • 2. 민족-여성-미장 아빔의 (탈)시간 27
      • 2-1. 여성의 영화적 시간 구조, 미장 아빔 28
      • 2-2. 부계 민족의 시간 30
      • 3. <꽃잎>: 광기의 심연에 빠진 역사 33
      • 4. <길소뜸>: 민족 공동체의 분열 36
      • 5. <그 섬에 가고 싶다>에서의 토착주의,남근적 어머니,무당 42
      • 5-1. 초시간적 은유로서의 여성 43
      • 5-2. 삶/죽음 = 민족/국가 47
      • 6. 민족의 행위자로서의 코리안 뉴 웨이브 담론 49
      • 7. <박하사탕>과 시간 여행 영화 55
      • 7-1. 역사의 레일: 남성-민족-여성 56
      • 7-2. 역사/향수, 판타지, 자서전 영화 59
      • 7-3. 근대 민족과 제 민족의 화해, 영화 테크놀로지 63
      • 8. <태극기 휘날리며>: 테크놀로지-국가-민족-남성 68
      • 8-1. 스펙터클과 리얼리즘의 욕망 69
      • 8-2. 태극기, 이미지-내이션 71
      • III. 공간과 정체성 74
      • 1. 서울/탈서울 혹은 무장소/장소 75
      • 1-1. 물질적 공간의 재편 76
      • 1-2. 스펙터클 사회의 징후들 80
      • 2. <그들도 우리처럼>에서의 성정치 공간 82
      • 3. <세상 밖으로>: 상실한 민족 정체성 공간 85
      • 4. <쉬리>: 공포의 스펙터클 도시로서의 서울과 북한군 영화 92
      • 4-1. 어둠의 북한과 빛의 남한 94
      • 4-2. 자연-과거-타자-북한 96
      • 5. <고양이를 부탁해>: 이주의 여성 정체성 99
      • 5-1. 흐르는 인천과 떠도는 여성 104
      • 5-2. 디아스포라의 동맹 106
      • IV. 전지구적 이미지-기호 경제에서의 육체 109
      • 1. 번역과 강압적 모사주의 110
      • 2. 초국적 영화 장르에서의 지역성 114
      • 3. 디지털 전자 이미지 시대 서구의 불안과 현실의 지표로서의 비서구 118
      • 4. 시네필리아의 육체, 비서구 120
      • 5. <빈 집>: 폭력의 매트릭스 남한, 물질로서의 몸과 사진 124
      • 6. <오! 수정>: 생태학적 한국 공간과 여성의 육체 129
      • 7. <올드 보이>: 보철로 된 남성 육체 혹은 민족의 팽창 133
      • 7-1. 인터페이스로서의 영화 134
      • 7-2. 번역 가능한 공간, 육체 138
      • V. 결 론 143
      • 참고문헌 147
      • 국문초록 155
      • ABSTRACT 1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