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코리안 뉴 웨이브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대 한국영화를 시간, 공간, 육체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여기에서 시간, 공간, 육체라는 세 가지 개념은 문화정치학적인 입장에서 사용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055241
서울: 중앙대학교, 2005
학위논문(박사) --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영상예술학과 영화영상이론전공 , 2005
2005
한국어
688.0911 판사항(4)
791.409519 판사항(21)
서울
ii, 150p.; 26cm
참고문헌: p.140-14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코리안 뉴 웨이브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대 한국영화를 시간, 공간, 육체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여기에서 시간, 공간, 육체라는 세 가지 개념은 문화정치학적인 입장에서 사용되...
본 논문은 코리안 뉴 웨이브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대 한국영화를 시간, 공간, 육체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여기에서 시간, 공간, 육체라는 세 가지 개념은 문화정치학적인 입장에서 사용되었다. 즉 시간은 민족의 역사 및 과거와 개인의 기억으로, 공간은 지정학적인 관점에서, 육체는 생체권력이 발휘되는 장으로 사용되었다.
1990년대 이후 한국영화는 군부독재 시대를 마감하고 전지구적 자본주의라는 새로운 세계 질서에 복속되는 과정 속에서 권력의 통합적인 이미지가 사라진 채 산포되고 흩어진 재현의 헤게모니 장이 된다. 이러한 한국의 정치 경제적인 변화는 포스트/트랜스 담론의 출현과 동일한 궤적을 이루면서 한국영화의 재현의 토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변화를 본 논문은 코리안 뉴 웨이브 시대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대로 구분해서 파악한다. 90년대 이후 한국영화의 변화를 압축적으로 드러내는 이 두 용어는 영화 산업적인 면에서 점점 더 자본의 순환 경제에 종속되어 가는 한국영화를 알리는 것이며, 재현의 문화정치학적인 면에서 국가/민족의 구도에서 초국가/국가의 구도로 변화해 가는 한국영화를 지시하는 것이다.
코리안 뉴 웨이브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대 한국영화는 크게 성별화된 민족성, 국민 국가에 대한 옹호, 집단적 민족 서사 만들기, 영화 테크놀로지를 통한 근대성의 성취, 민족 스펙타클, 국민 국가의 탈영토화, 영화의 지표성과 육체성의 등가 관계 등을 통해서 자신들의 문화를 전사하고 기술하고 이전의 재현의 토대를 취소하거나 갱신한다. 그러면서 변화한 전지구/지역 구도에서 번역, 혼성, 모방 등을 통한 이미지-기호의 교환 가치를 획득하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