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경기 도당굿의 지역성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060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글은 경기 도당굿의 지역성을 고찰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네 가지 점을 살펴보고자 했다. 첫째는 지역 경계의 구분이다. 이는 경기지역의 문화권 구분과 경기무...

      이글은 경기 도당굿의 지역성을 고찰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네 가지 점을 살펴보고자 했다. 첫째는 지역 경계의 구분이다. 이는 경기지역의 문화권 구분과 경기무악권 구분으로 나뉜다. 둘째는 지역적 분포이다. 일제 강점기부터 2000년대까지 경기 도당굿 당주무와 세습 무부, 그리고 도당굿에 관한 분포를 찾는 것이다. 셋째는 당주무와 세습 무부의 굿 스타일에 관한 것이다. 이들의 굿 스타일이 경기 도당굿 의례를 좌우하기 때문이다. 넷째는 경기 도당굿의 변화양상이다. 경기 도당굿의 세습 무부인 ‘화랭이’의 활동지역을 중심으로 변화양상을 찾는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고찰한 결과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경기만 유역권과 한강 유역권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는 점이다. 경기 도당굿의 세습 무녀와 무부, 그리고 도당굿판의 분포지역에 있어서 백두대간의 유역권 중 경기만 유역권의 시흥, 안산, 부천, 수원 등지와 한강 유역권의 광주(廣州), 서울, 양평은 해방 이후 거의 같은 문화권을 형성했다. 임진강 유역권과 경기 최북단의 예성강 유역권으로 올라갈수록 분포가 적게 나타났다.
      둘째, 경기 도당굿은 연희자의 결합 유형에 따라 세 가지로 나뉜다. 제1유형은 경기무악형 당주무와 세습 무부, 그리고 서울무악형 무녀가 결합하는 유형이다. 제2유형은 경기 세습 무부와 서울무악형 당주무가 결합하는 유형이다. 제3유형은 서울무악형 당주무와 서울무악형 악사가 결합하는 유형이다.
      셋째, 경기무악형 도당굿의 지역적 특징은 경기 세습 무부의 활동을 기준으로 한다. 경기무악형 도당굿의 변화양상은 네 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제1형 당제형으로 변화된 곳은 양평 성덕리, 시흥 포리 새우개당, 서울 남현동, 남양주 마석 가곡리 등지이고, 제2형 소멸형인 곳은 오산 부산리, 인천 동막, 화성 버들무지 등지다. 제3형 서울ㆍ황해무악형에는 광주 청수골 도당굿과 인천 장봉섬 도당굿 등이 있다. 제4형 경기무악형으로 유지된 곳은 부천 장말과 수원 거북산당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of locality of Ky?nggitodanggut(京畿 都堂祭).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study fourth: First, division of local area, which it’s separate culture’s area and shaman’s music area. Se...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of locality of Ky?nggitodanggut(京畿 都堂祭).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study fourth:
      First, division of local area, which it’s separate culture’s area and shaman’s music area. Second, it’s find local distribu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o 2000 th master-shaman and heriditary-mubu(世襲 巫夫), Ky?nggi-todanggut. Third, it’s ritual style of Ky?nggi-master-shaman(京畿 堂主巫) and Ky?nggi-heriditary-mubu(京畿 世襲 巫夫), since they manage performance. Fourth, it’s local feature and changing, on focus heriditary mubu(巫夫)’s active area of Ky?nggi-todangg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Ky?nggi-bay-area(京畿灣 流域圈) and Han’gang-area(漢江 流域圈) appear local feature of master-shaman(堂主巫) and heriditarymubu(巫夫), Ky?nggi-todanggut.
      After the liberalization, both of Ky?nggi bay-area; Sih?ng(始興), Ansan(安山), Puch’?n(富川), Suw?n(水原) and Han’gang-area; Kw?nggu(廣州), S?ul(首?), Yangp’y?ng(楊平) formed almost same culture area, while in the Imjin gang-area(臨津江 流域圈) and Y?s?nggang-area(禮成江 流域圈) decreased them.
      Second, according to combining patterns of performancer, ritual styles of Ky?nggi-todanggut are divided three categories; one is combining patterns with master-shaman and heriditary-mubu of Ky?nggi-muak(京畿巫樂) style, including S?ul-muak(首?巫樂) style’s shaman, another is combining patterns with heriditary mubu(巫夫) of Ky?nggi-muak style and S?ul-muak style’s shaman, the other is combining patterns with S?ul-muak style’s shaman and S?ul-muak style’s musician.
      Third, local feature for todanggut of Ky?nggi-muak style is based Ky?nggi-heriditary mubu. Aspect of transition of todanggut of Ky?nggimuak style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ang(堂) ritual styles are; Yangp’y?ng-s?ngd?ngni(楊平 聖德里), Sih?ng-seugedang(始興 새우개堂), S?ul-namhy?ndong(首? 남현동), Namyangju-kagongni(南楊州 嘉谷理). Quenching(소멸) styles are; Osan-pusalli(烏山 부산리), Inch’?ntongmak(仁川 동막), Hwas?ng-p?d?lmugi(華城 버들무지). S?ul and Hwanghe-muak(首?ㆍ黃海巫樂) styles are; Kwangju-ch’?ngsutkkol(廣州 청수골). Ky?nggi-muak styles are; Puch’?n-changmal(富川 장말), Suw?n-k?buksandang(水原 거북산당).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경기 도당굿의 지역적 구분
      • 3. 경기 도당굿의 지역성 요소
      • 4. 경기 도당굿의 지역적 분포와 변화
      • 국문초록
      • 1. 서론
      • 2. 경기 도당굿의 지역적 구분
      • 3. 경기 도당굿의 지역성 요소
      • 4. 경기 도당굿의 지역적 분포와 변화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高麗文化財硏究員, "金浦 陽村 宅地開發豫定地區 造宬事業 文化遺蹟 地表調査 報告書" 춘추각 2005

      2 화성시, "화성의 민속" 경인M&B 2006

      3 최현, "해설, In 한국음악 29" 국립국악원 1996

      4 김헌선, "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 경기도 도당굿 19"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5 서영대, "한국의 성황신앙, In 시흥 군자봉 성황제 발표 논문집" 시흥문화원 2004

      6 이정란, "한국음악 : 서해안배연신굿 32" 국립국악원 2001

      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 김헌선, "한국 화랭이 무속의 역사와 원리 1" 지식산업사 1997

      9 문상범, "인천의 洞祭 연구"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 : 2003

      10 세광음악출판사 사전편찬위원회, "음악 용어 사전" 세광음악 출판사 1986

      1 高麗文化財硏究員, "金浦 陽村 宅地開發豫定地區 造宬事業 文化遺蹟 地表調査 報告書" 춘추각 2005

      2 화성시, "화성의 민속" 경인M&B 2006

      3 최현, "해설, In 한국음악 29" 국립국악원 1996

      4 김헌선, "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 경기도 도당굿 19"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5 서영대, "한국의 성황신앙, In 시흥 군자봉 성황제 발표 논문집" 시흥문화원 2004

      6 이정란, "한국음악 : 서해안배연신굿 32" 국립국악원 2001

      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 김헌선, "한국 화랭이 무속의 역사와 원리 1" 지식산업사 1997

      9 문상범, "인천의 洞祭 연구"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 : 2003

      10 세광음악출판사 사전편찬위원회, "음악 용어 사전" 세광음악 출판사 1986

      11 양평군지편찬위원회, "양평군지 中" 양평군지편찬위원회 2005

      12 안혜경, "신앙과 의례, In 경기도 문화유산 콘텐츠 IV" 삼진프린팅 2006

      13 시흥시사편찬위원회, "시흥시사 : 시흥 농촌 사람들의 생활과 문화 5" 두경프린택 2007

      14 안혜경, "수원 영동 거북산당 신앙의 변화양상" 실천민속학회 3 : 2001

      15 서울특별시문화재위원회, "서울民俗大觀" 삼성출판사 1990

      16 오문선, "서울 부군당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0

      17 정승모, "마을공동체의 변화와 당제" 한국문화인류학회 13 : 1981

      18 "디지털성남문화대전"

      19 오문선, "도시지역 마을제사 전승사례 연구: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역말 도당제를 중심으로" 충북사학회 18 : 2007

      20 김종대, "구리시 갈매동 도당굿" 민속원 2010

      21 이선주, "곳창굿ㆍ연신굿" 동아사 1987

      22 노동은, "경기음악" 민속원 2012

      23 황루시, "경기도 도당굿" 열화당 1983

      24 정승모, "경기기행 역사ㆍ문화 4" 경인일보사 2010

      25 목진호, "경기 도당굿의 '화랭이'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26 이보형, "韓國巫儀式의 音樂, In 韓國巫俗의 綜合的 考察"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27 의왕시사편찬위원회, "義王市史 5" 의왕시ㆍ의왕문화원 2007

      28 李杜鉉, "無形文化財調査報告書 : 京畿道도당굿 186" 문화재 관리국 1990

      29 世宗大學校 博物館, "烏山市의 歷史와 文化遺蹟" 춘추각 2005

      30 秋葉隆, "朝鮮民俗誌, In 朝鮮民俗誌" 동문선 1993

      31 李能和, "朝鮮巫俗考, 大" 東印刷株式會社 1927

      32 赤松智城, "朝鮮巫俗"フ硏究, In 朝鮮巫俗의 硏究 上ㆍ下" 동문선 1991

      33 이혜구, "巫樂硏究: 청수골의 도당굿" 思想界社 3 : 1955

      34 張籌根, "巫俗, In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京畿道編" 민속원 1978

      35 李圭景, "五州衍文長箋散稿"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5-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8 1.24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