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미술수업에 대한 흥미 증진에 기여하는 주요 결정요인을 도출하고자 했다. 방법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서울에 위치한 고등학생 2, 3학년 50명 대상으로 AHP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미술수업에 대한 흥미 증진에 기여하는 주요 결정요인을 도출하고자 했다. 방법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서울에 위치한 고등학생 2, 3학년 50명 대상으로 AHP ...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미술수업에 대한 흥미 증진에 기여하는 주요 결정요인을 도출하고자 했다.
방법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서울에 위치한 고등학생 2, 3학년 50명 대상으로 AHP 분석을 위한 설문을 수행, 50부의 데이터를확보했고, 엑셀로 개발한 AHP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이론적 배경에서 도출한 각 상위요인과 하위요인들 간 중요도와 우선순위를첫째는 상위 요인별로 둘째는 각 상위 요인의 하위 요인별로, 셋째는 모든 요인들을 종합하여 분석했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대분류 체계 요소 간 우선순위는 미술수업 환경요인, 미술수업 학생요인, 교수자의 개인적 특성, 교수 방법및 수업 운영 순으로 확인되었고, 둘째, 교수 방법 및 수업운영 우선순위는 미술관련 정보제공, 수준별 수업, 보충지도, 수업 체계성, 수업 다양성, 상호작용 순이으며, 셋째, 교수자의 개인적 특성 우선순위는 유머, 교수자 능력, 교수자 지식, 교수자 자질, 교수자 태도순이였고, 넷째, 미술수업 학생요인은 차후 진로, 미술관련 경험과 능력, 학습동기, 미술관련 성과, 성취동기, 미술교과 효능감 순이었으며, 다섯째, 미술수업 환경요인은 관련시설 지원정도, 수업공간의 물리적 환경, 안전 및 위생, 재료와 도구의 접근성 순임을 확인했다.
결론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창의적 미술 활동과 심리적 안정 지원을 위해, 미술수업의 가치 인식과 방향성 정립, 교수자의전문성 확보, 학생 흥미 증진 전략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점진적으로 미술수업 시스템과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중등 체육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경험과 교사 정체성의 관계에서 교직 헌신, 교육 변화 수용 태도의 매개효과
강의평가 문항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서지능, 직무스트레스, 교수창의성의 구조적 관계분석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서 핵심가치 교육을 위한 학습자 태도 관련 핵심개념어 경향성 분석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