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특성에 따른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을 알아보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 대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33924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77-197(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특성에 따른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을 알아보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 대상...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특성에 따른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을 알아보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 대상은 서울, 인천, 세종, 대구, 경남 지역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2023년 1월 말부터 3월 초까지 설문지 조사를 하여378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일원분산분석, 단순회귀분석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은 보통보다 높은 정도로 나타났고, 교사의 연령, 경력, 기관의 유형, 디지털 놀이의횟수, 디지털 관련 연수 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은 보통보다 높은정도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연령, 경력, 기관의 유형, 디지털 놀이 횟수, 디지털 관련 연수 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은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수준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교사 연수나 교육 등이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중등 체육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경험과 교사 정체성의 관계에서 교직 헌신, 교육 변화 수용 태도의 매개효과
강의평가 문항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서지능, 직무스트레스, 교수창의성의 구조적 관계분석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서 핵심가치 교육을 위한 학습자 태도 관련 핵심개념어 경향성 분석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