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과거 대읍(大邑)이었던 역사도시를 대상으로 기록물에 나타난 대표경관의 분포를 분석하고 그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쇠퇴도시의 원도심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한 단초들을 제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84713
2020
-
도시재생 ; 장소 인식 ; 진주성 ; 촉석루 ; 남강 ; 경관정체성 ; 지역성 ; Urban regeneration ; place recognition ; Jinjuseong ; Chokseokru ; Namgang ; landscape identity ; locality
KCI등재
학술저널
246-262(1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과거 대읍(大邑)이었던 역사도시를 대상으로 기록물에 나타난 대표경관의 분포를 분석하고 그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쇠퇴도시의 원도심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한 단초들을 제시...
이 논문은 과거 대읍(大邑)이었던 역사도시를 대상으로 기록물에 나타난 대표경관의 분포를 분석하고 그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쇠퇴도시의 원도심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한 단초들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지는 상주, 경주, 안동과 함께 경상도의 4대 대읍 중 하나인 조선시대 진주목이라 불리던 진주지역이다. 현대의 진주는 인근 사천시와 더불어 첨단 항공산업의 중심지이자 혁신도시 이전으로 새로운 행정도시로 성장 중이지만, 과거 진주는 경남의 대읍으로 특히 원도심은 진주의 경관정체성을 함축한 곳이라 할 수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조선시대 진주목을 묘사한 고지도, 구비문학, 팔경ㆍ10경ㆍ12경, 고문헌 등 당대 경관을 인식하여 기록으로 남긴 매체를 내용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주성내에는 촉석루, 북장대, 진주성 등 역사경관이 우세하며, 성 외부로는 주산(主山)으로 풍수지리상 진주목의 중심역할을 한 비봉산과 대사지, 선학산 등 자연경관이 우세하였다. 남강 남쪽지역은 진주목 읍치 권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섭천이라 불리운 서민지역으로 망경산이 랜드마크(landmark) 역할을 하였다. 조선시대 진주목의 대표경관 중에서 자연경관, 역사경관, 생활경관 모두 포함하는 중심권역은 바로 남강이다. 의암, 대숲, 백사장을 포함하는 남강변은 남강의 북촌과 남촌을 연결해주는 기능을 하였다. 오늘날의 진주가 있기까지 가장 지속적인 대표경관 역할을 하면서 도시의 정체성을 유지한 장소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역사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역사도시인 진주의 원도심 일대를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한 단초들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진주 경관정체성의 형성에 이바지할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representative landscapes that appeared in the records and citizen’s perceptions for jinju city, a small town that was a large city in the past. This aims to present clues for preserving and utilizing the orig...
This paper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representative landscapes that appeared in the records and citizen’s perceptions for jinju city, a small town that was a large city in the past. This aims to present clues for preserving and utilizing the original city center of a declining city. As a research method, existing literature data of jinjumok, which was the four major towns of Gyeongsang-do along with Sangju, Gyeongju, and Andong in Joseon Dynast.
As a research method, the contents of the media left as records were analyzed by recognizing the contemporary landscapes, such as ancient maps, oral literature, eight gyeongs, 10 gyeongs, 12 gyeongs, and ancient literatures depicting pearl trees in the Joseon Dynas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historical landscapes such as Chokseokru, Bukjangdae, and Jinjuseong were dominant in Jinjuseong, while natural landscapes such as Bibongsan, Daesangji, and Seonhaksan, which played a central role as the main mountain in the Fengshui Geography, dominated. The southern part of the Namgang River is a popular area called Seopcheon, the farthest from the Eupchi power of Jinjumok, and Mt. Among the representative landscapes of Jinjumok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entral area that includes all of the natural, historical and living landscapes is the Nam River. The banks of the Nam River, including Uiam, Daesup, and White Sand, served as a link between the Bukchon and Namchon of the Nam Ri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ble to present clues for preserving and utilizing the original downtown area of Jinju, a historical city that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historical flow,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Jinju landscape identity.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민정, "현대 팔경에 대한 경관분석: 경상남도 12개 시·군을 대상으로"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3 (23): 79-99, 2011
2 이규목, "한국의 도시경관" 열화당 2002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박창훈, "충남 대표경관 선정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5 강희근, "진주팔경" 지식산업사 2007
6 진주시, "진주의 뿌리" 진주시 1996
7 진주시, "진주성. 진주유등축제 세계유산 추진 학술연구: 진주성 부문" 진주시 2015
8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진주권지역의 고문헌" 열매. 2004
9 하혜경, "진주 지역사회운동 진원지의 장소성과 그 변천 - 근현대(조선말기~현대)시기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4 (54): 80-94, 2019
10 진주시, "진주 도시계획사" 진주시 2008
1 송민정, "현대 팔경에 대한 경관분석: 경상남도 12개 시·군을 대상으로"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3 (23): 79-99, 2011
2 이규목, "한국의 도시경관" 열화당 2002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박창훈, "충남 대표경관 선정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5 강희근, "진주팔경" 지식산업사 2007
6 진주시, "진주의 뿌리" 진주시 1996
7 진주시, "진주성. 진주유등축제 세계유산 추진 학술연구: 진주성 부문" 진주시 2015
8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진주권지역의 고문헌" 열매. 2004
9 하혜경, "진주 지역사회운동 진원지의 장소성과 그 변천 - 근현대(조선말기~현대)시기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4 (54): 80-94, 2019
10 진주시, "진주 도시계획사" 진주시 2008
11 전종한, "종족집단의 경관과 장소" 논형. 2005
12 강현재, "조선후기 진주목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8
13 전종한, "조선후기 읍성 취락의 경관 요소와 경관 구성-태안읍성, 서산읍성, 해미읍성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21 (21): 319-341, 2015
14 이규목, "조선후기 서울의 都市景觀과 그 이미지" 1 : 149-193, 1994
15 김덕현, "조선시대 경상도 읍치의 경관구성과 상징성-진주 읍치를 사례로" 28 : 38-87, 2007
16 김한배, "조경학회지 게재논문 경관분야의 연구경향" 31 (31): 120-128, 2004
17 임승빈, "조경이 만드는 도시"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18 송도영, "일상 공간행위와 재현을 통한 도시경관의 문화정치: 파리 20구 벨빌 지역 이주민 커뮤니티의 사례" 비교문화연구소 14 (14): 151-184, 2008
19 고재웅, "월악산 국립공원의 대표경관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 14 (14): 163-167, 2005
20 김한배, "우리 都市의 얼굴 찾기 : 한국 도시의 경관변천과 정체성 연구" 태림문화사 1998
21 최병두, "역사적 경관의 복원과 장소 정체성의 재구성" 한국공간환경학회 22 (22): 92-135, 2012
22 김덕현, "역사 도시 진주의 경관독해" 13 : 63-80, 2001
23 이정, "디지털시대 도시 디자인을 위한 인지특성 및 대표경관 분석 - 순천시를 사례로 -"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5 (5): 1-9, 2010
24 "동아일보"
25 "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
26 한지은, "도시와 장소 기억: 근대역사경관의 노스탤지어를 이용한 상하이의 도심재생"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27 이차희, "도시근교 농촌의 일상경관에 대한 거주민의 주관적 인식과 경관정체성 연구: 경기도 이천시 산수유마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28 하혜경, "대표경관과 사회적장소의 변천을 통해 본 역사도시 진주의 지역성"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20
29 김용수, "대구시 대표경관에 대한 주민의식 분석" 36 (36): 223-240, 2001
30 이경진, "농산어촌지역 대표경관 선정에 관한 연구 - 충남지역을 사례로-" 한국농촌관광학회 16 (16): 45-61, 2009
31 진주시 문화공보담당관실, "내 고장의 전통" 진주시 1992
32 허권수, "남명 조식" 지식산업사. 2001
33 "국사편찬위원회"
34 곽행구, "광주 도시 경관의 변천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영문 (영문): 49-64, 2006
35 "경남도민일보"
36 임승빈,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1
37 박수지, "경관 관련 텍스트를 통해 본 서울 경관⋅명소의 변천 특성"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5
38 홍윤순, "漢陽 原形景觀의 二元的 重層性 考察" 서울학연구소 (19) : 75-99, 2002
39 진주시, "晉州市史, 上, 中, 下" 진주시 1995
40 이영희, "晉州市 都市構造의 歷史地理的 硏究 - 지리지?고지도?지형도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4 (14): 51-68, 2002
41 권윤구, "1970년대 이후 한국 경관연구의 경향 분석-경관의 의미연결망 분석을중심으로" 3 (3): 39-52, 2011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경관연구 동향과 주제 분석 - 한국경관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탄소저감형 그린네트워크 도로 조성을 위한 중앙분리대 녹화유형 선호도 및 중요도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