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COVID-19 상황에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an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Resilience Among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During COVID-1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66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enhancing the resilience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online group art ther...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enhancing the resilience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comprising a total of eight 90-minute sessions, was developed based on a systematic program development model, along with surveys and experts consultations, to enhance the resilienc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verified by testing the program with an experimental group(N=5) and a control group(N=5), which together included 10 Chines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Korea, from April 28th to June 16th, 2020. The states of each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compared and quantitatively analyzed. The Wilcoxon test, a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was used to compare the stat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ithin each group. The results showed noticeabl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s in their resilience(p=.009), in which self-control abilities(p=.009), interpersonal skills(p=.008) and positivity(p=.008), were included. Notably these results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enhancing the resilienc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상황에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

      본 연구의 목적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상황에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체계적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요구 조사와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총 8회기, 회기당 90분으로 구성되었다.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2020년 4월 28일부터 6월 16일까지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재한 중국인 유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N=5)과 통제집단(N=5)을 운영하여 검증하였다. 이후 프로그램 처치 사전-사후 시점에 따른 비교를 통해 양적 분석하였으며, 활동 보고서 및 개인별 면담자료를 통해 양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였다. 비모수 통계 방법인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량의 차이를 그룹 간에 비교한 결과, 회복탄력성 전체(p=.009), 하위 자기조절능력(p=.009), 대인관계능력(p=.008), 긍정성(p=.008) 모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비대면 집단미술치료가 COVID-19 상황에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회복탄력성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제시했으며, 향후 비대면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발전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우열,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05-131, 2009

      2 정래원, "코로나19에 여행은 언제쯤…가족․친구와 ‘집콕․랜선여행'" 연합뉴스

      3 보건복지부, "코로나19로 지친 마음, 스마트폰으로 마음건강 챙기세요!"

      4 김송이,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삶의 질,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 11 (11): 423-431, 2020

      5 홍연자, "추상성으로 표현된 음각형상의 우산이미지 : 본인작품 〈Image of Umbrella〉시리즈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4

      6 최아린,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긍정심리 기반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72) : 145-171, 2019

      7 박기령, "청소년 회복탄력성 증진 집단프로그램 내용분석(1999-2016)" 한국청소년학회 25 (25): 199-224, 2018

      8 이향재, "청년기의 자아정체감과 가상성에 대한 인식-아바타 캐릭터와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15) : 469-479, 2007

      9 김상미, "책만들기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중학교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평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4 (24): 101-122, 2012

      10 이정민, "집단미술치료가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6 (6): 173-200, 2010

      1 신우열,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05-131, 2009

      2 정래원, "코로나19에 여행은 언제쯤…가족․친구와 ‘집콕․랜선여행'" 연합뉴스

      3 보건복지부, "코로나19로 지친 마음, 스마트폰으로 마음건강 챙기세요!"

      4 김송이,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삶의 질,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 11 (11): 423-431, 2020

      5 홍연자, "추상성으로 표현된 음각형상의 우산이미지 : 본인작품 〈Image of Umbrella〉시리즈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4

      6 최아린,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긍정심리 기반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72) : 145-171, 2019

      7 박기령, "청소년 회복탄력성 증진 집단프로그램 내용분석(1999-2016)" 한국청소년학회 25 (25): 199-224, 2018

      8 이향재, "청년기의 자아정체감과 가상성에 대한 인식-아바타 캐릭터와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15) : 469-479, 2007

      9 김상미, "책만들기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중학교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평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4 (24): 101-122, 2012

      10 이정민, "집단미술치료가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6 (6): 173-200, 2010

      11 목진세, "집단미술치료가 우울증과 불안증 완화 및 회복탄력성(KRQ-53) 향상에 미치는영향: 병무청 사회복무요원 중심으로" 19 : 23-49, 2017

      12 이매화,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자기이해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6 (26): 967-990, 2019

      13 왕순주, "재난과 언론의 관계 및 재난심리" 한국방재학회 136-, 2018

      14 김수진, "이화여대, 코로나블루 극복 위해 재학생 대상 온라인 상담 확대" 에듀동아

      15 김현주, "이모티콘 커뮤니케이션의감정표현에서 표정과 색상의 상호작용 특성" 한국HCI학회 602-193, 2016

      16 석남준, "요즘 대학생 취준생들 이것 때문에 스트레스" 조선일보

      17 홍민정, "여행동반자에 대한 호감 지각이 여행갈등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여행동반자 유형을 조절변수로" 한국호텔관광학회 22 (22): 57-74, 2020

      18 윤고은, "신종코로나에 지구촌 곳곳서 ‘중국인 혐오' 기승" 연합뉴스

      19 김창대,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학지사 2011

      20 서희경,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외국인 노동자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1 (11): 21-40, 2015

      21 임은미, "사이버상담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6

      22 고인석, "사이버 공동체에서 아바타의 존재론적 지위: 매체와 준-주체로서의 아바타" 새한철학회 3 (3): 3-23, 2008

      23 권혁민,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사태에 따른 병원종사자와 일반인의 스트레스 정도가 사회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5 (25): 111-119, 2017

      24 보건복지부, "마음건강지침"

      25 이상희, "디지털 미술치료의 가능성 및 발전방향" 한국HCI학회 309-1315, 2009

      26 박윤미, "대학생의 정신건강 사정도구로서의 만다라에 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2 : 151-167, 2015

      27 홍은주, "대학생의 미술치료기반 교양교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경험 연구"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10 (10): 1-23, 2020

      28 백규리, "꽃의 확대 이미지에 의한 관념적 섬유 작품 연구: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6

      29 최아린, "국내 아동·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조형교육학회 (74) : 285-312, 2020

      30 송하늘, "공주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비대면 상담 실시" 머니투데이

      31 钟梦婷, "新型冠状病毒肺炎期间在校大学生心理状况及影响因素研究" 成都医学院学报

      32 윤우성, "“심리 상담받는 친구도 있어요”…외국인 유학생 '코로나 블루'" 연합뉴스

      33 교육부, "‘코로나 19' 관련 중국 입국유학생 보호․관리 계획"

      34 Pesämaa, L., "Videoconferencing in Child and Adolescent Telepsychiatry :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10 : 187-192, 2004

      35 Yuen, E. K., "Using Skype videoconferencing and Second Life virtual environments to deliver acceptance-based behavior therapy for social anxiety disorder" 2010

      36 Agaibi, C. E., "Trauma, PTSD, and resili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6 (6): 195-216, 2005

      37 Nucho, A. O., "The psychocybernetic model of art therapy" Charles C Thomas Publisher 2003

      38 Polizzi, C., "STRESS AND COPING IN THE TIME OF COVID-19 : PATHWAYS TO RESILIENCE AND RECOVERY" 17 (17): 2020

      39 Barzilay, R., "Resilience, COVID-19-related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during the pandemic in a large population enriched for healthcare providers" 10 (10): 1-8, 2020

      40 Simpson, S., "Psychotherapy via Video conferencing : A Review" 37 : 271-286, 2009

      41 Moustakas, 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1994

      42 Seligman, M., "PERMA and the building blocks of well-being" 13 (13): 333-335, 2018

      43 Ritterband, L. M., "Internet Interventions : In Review, In Use, and Into the Future" 34 (34): 527-534, 2003

      44 Chen, B., "How have COVID-19 isolation policies affected young people’s mental health? - evidence from chinese college students" 11 : 2020

      45 Mazza, N., "Editor's note : The foundation and future of scholarship in poetry therapy" 16 : 1-4, 2003

      46 Creswell, J. W., "Designing and conducting mixed methods research" Sage 2011

      47 Labrague, L. J., "COVID‐19 anxiety among front‐line nurses: Predictive role of organisational support, personal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28 (28): 1653-1661, 2020

      48 Burns, S., "Building resilience:a pilot study of an art therapy and mindfulness group in a community learning disability team" 24 (24): 88-96, 2019

      49 Kalmanowitz, D., "Art Therapy in Pandemics: Lessons for COVID-19" 1-3, 2020

      50 Mosheva, M., "Anxiety, pandemic related stress and resilience among physicians during the COVID-19pandemic" 37 (37): 965-971,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 0.92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