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매일신보』의 러시아에 관한 기사 내용분석 = 러시아혁명기(1917년 11월~1920년 2월)를 대상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102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ports of Maeil Shinbo about Russia and its revolution which affected the 3ㆍ1 Movement and socialist activities in Korea, and plus to critically interpret them. The selected time period for analysis is from the starti...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ports of Maeil Shinbo about Russia and its revolution which affected the 3ㆍ1 Movement and socialist activities in Korea, and plus to critically interpret them. The selected time period for analysis is from the starting point of Russian Revolution, November 1917, to February 1920 when private newspapers emerg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such subject categories as geographical location, Russian Revolution and Russian domestic conflic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analysis could be summarized like as follows:
      First, the total number of news stories about Russia was 104 and the majority of them largely reported after the 3.1 Movement were about Russian Revolution. Second, the coverage about Russian geographical location was mainly discussed in relation to Japanese economic interest and Russia's political concerns within the context of Korea's geographical closeness. Third, about Russian Revolution, 〈Maeil Shinbo〉 was likely to report in a critical manner, additionally, regarding Russian domestic conflicts, hold a position to support Japan's dispatch of troops to Siberia in the name of Justice and Humanity, then later put forth practical policies for actually profits.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eports of Maeil Shinbo about Russia actually played not only to block the influx of Russian revolution, but to pursue Japanese economic interests as a successful in-house newspaper for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석, "-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의 사람들 신문과 방송" 통 (통): 1991

      2 Suh, "현대사연구회 옮김 한국공산주의운동사연구" 1967191819481989

      3 "혁명후의 로서아" 1925

      4 강원식, "한인의 항일투쟁과 스탈린 한국과 러시아관계 평가와 전망"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83-121, 2001

      5 신범식, "한러 수교 10년의 평가와 전망 -사회문화관계를 중심으로" 11 (11): 205-241, 2001

      6 이호룡, "한국의 아나키즘-사상편" 지식산업사 2001

      7 권희영, "한국과 러시아:관계와 변화" 국학자료원 1999

      8 임경석,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 역사비평사 2003

      9 신복룡, "한국 공산주의자의 발생 계기" 34 (34): 57-75, 2000

      10 샤브시나, F. I, "한국 공산주의운동과 민족해방운동 에 대한 러시아 한국학자들의 견해" 9 : 311-323, 199519181945

      1 정진석, "-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의 사람들 신문과 방송" 통 (통): 1991

      2 Suh, "현대사연구회 옮김 한국공산주의운동사연구" 1967191819481989

      3 "혁명후의 로서아" 1925

      4 강원식, "한인의 항일투쟁과 스탈린 한국과 러시아관계 평가와 전망"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83-121, 2001

      5 신범식, "한러 수교 10년의 평가와 전망 -사회문화관계를 중심으로" 11 (11): 205-241, 2001

      6 이호룡, "한국의 아나키즘-사상편" 지식산업사 2001

      7 권희영, "한국과 러시아:관계와 변화" 국학자료원 1999

      8 임경석,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 역사비평사 2003

      9 신복룡, "한국 공산주의자의 발생 계기" 34 (34): 57-75, 2000

      10 샤브시나, F. I, "한국 공산주의운동과 민족해방운동 에 대한 러시아 한국학자들의 견해" 9 : 311-323, 199519181945

      11 서상문, "프로메테우스의 불 - 혁명러시아와 중국공산당의 흥기" 백산서당 200319171923

      12 황민호, "총론-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언론정책과 매일신보 수요역사연구회" 신서원. 11-31, 2003

      13 I, "조선인 국제주의자들의 영웅적 과업 일제하 극동시베리아의 한인 사회주의자들" 87-, 1990

      14 배성룡, "조선사회운동의 사적고찰" (67) : 1926

      15 김평산, "조선사회운동발달론 - 일본과 대교 하야 그 급속히 발달하는 제원인을 구명함 -" 24-32, 1927

      16 우관정, "제삼면과 기자" 동아일보 1920.6.1

      17 김 피로트르 게르노비치방상현, "재소한인이민사" 탐구당 1993

      18 송병헌, "자본주의 붕괴의 전망과 제국주의 인식:19세기 말 사회주의 사상의 이념적 분화" 12 : 159-195, 2004

      19 임종국, "일제하의 사상탄압" 평화출판사 1985

      20 김재현, "일제하부터 1950년대까지 맑스주의의 수용" 철학사상 : 135-173, 1995

      21 유재천, "일제하 한국잡지의 공산주의 수용에 관한 연구" 15 : 17-52, 1988

      22 유재천, "일제하 한국신문의 공산주의 수용에 관한 연구 -조선일보의 경우 동아연구" 1986b

      23 유재천, "일제하 한국신문의 공산주의 수용에 관한 연구 동아연구" 1986a

      24 김민환, "일제하 좌파 잡지의 사회주의 논설 내용분석" 49 (49): 276-299, 2005

      25 박용규, "일제하 좌파 언론인에 관한 연구" 89-107, 1994b

      26 노병성, "일제하 언론의 좌익사상 연구:‘비판’지를 중심으로" 397-419, 1993

      27 박용규, "일제하 민간지 기자집단의 사회적 특성에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1994a

      28 김경택, "일제하 국내사회주의자들의 민족협동전선론 통일전선과 민주혁명 Ⅱ" 337-408, 1988

      29 강창일, "일제초기 식민통치의 전략과 내용" 백산서당 1 (1): 61-110, 1999

      30 송이랑, "일제의 한국 식민지 통치방식" 세종출판사 1999

      31 장석흥, "일제의 식민지 언론정책과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의 성격" 6 : 409-456, 1992

      32 김규환, "일제의 대한언론선전정책" 이우출판사 1978

      33 조선총독부경무국, "일제식민통치비사-일제하 조선의 치안상황" 청아출판사 19381989

      34 전상숙, "일제시기 한국 사회주의 지식인 연구" 지식산업사 2004

      35 김영희, "일제 지배시기 한국인의 신문접촉 경향" 46 (46): 39-71, 2001

      36 임경석, "이르쿠츠크파 공산주의 그룹의 기원 한국현대사와 사회주의" 역사비평사 149-178, 2000

      37 정진석, "언론조선총독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38 고지영, "시대사조와 조선청년" 1920

      39 신서원, "수요역사연구회(편)" 신서원. 2003

      40 수요역사연구회 (편)., "수요역사연구회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과 매일신보 -1910년대-" 두리미디어 2005

      41 "서백리아 파견군의 참사" 동아일보 1921

      42 장석흥, "사회주의의 수용과 신사상연구회의 성립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5 : 63-90, 1991

      43 유시현, "사회주의사상의 수용과 대중운동 역사학연구소(편) 한국공산주의운동사" 아세아문화사 35-66, 1997

      44 김성보, "사회주의 계열의 이념과 활동 역사문제연구소 민족해방운동사 연구반 지음 민족해방운동사 쟁점과 과제" 1990182-211쪽

      45 정진석, "매일신보 연구 -총독부 기관지를 통해 본 일제의 언론정책과 일제하의 한국언론- 한국언론사연구" 일조각 290-, 1983

      46 김 세르게이, "러시아혁명이 한국사회에 미친 영향-조선에서의 혁명 러시아의 메아리" 1213-1221, 19921918

      47 진장철, "러시아혁명과 아시아" 법문사 1991

      48 小林英夫, "러시아혁명과 만철조사부"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81-106, 2003

      49 박종수, "러시아와 한국" 백의 2001

      50 "니콜라이레닌은 엇더한 사람인가" 동아일보 1921

      51 김문종, "개화기 우리나라 신문에 보도된 사회주의에 관한 연구" 제21호 (제21호): 115-137, 2004

      52 임근수, "개항백년의 한국의 언론 언론과 역사" 253-, 1984

      53 佐佐木春隆, "韓國獨立運動の硏究" 圖書刊行會 1985

      54 齋藤實文書 1, "朝鮮總督時代關係資料" 고려서림 영인 1990

      55 A, "Communism In Korea" scalapi : 19731986

      56 임경석, "31운동과 일제의 조선지배정책의 변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일제식민통치연구 1" 백산서당 (1905 1919) : 261-, 1999

      57 유시현, "1920년대 전반기 조선의 사회주의 사상 수용과 발전 민족사의 전개와 그 문화" 767-802, 1990

      58 박종린, "1920년대 전반기 사회주의사상의 수용과 물산장려논쟁" 한국역사연구회 (47) : 67-88, 2003

      59 박철하, "1920년대 사회주의 사상단체 연구" 2003

      60 진덕규, "1920년대 사회주의 민족운동의 성격에 대한 고찰-조선노농총동맹을 중심으로" 5 : 91-112, 1991

      61 전명혁, "1920년대 국내 사회주의운동 연구 -서울파를 중심으로" 1998

      62 김진두, "1910년대 매일신보의 성격에 관한 연구:사설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5 1.75 1.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7 2.11 2.77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