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百濟의 對中關係와 使臣路 : 北朝 정권과의 교섭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and Sea Routes between Baekje and China - Focusing on the diplomacy with Northern Dynas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084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백제가 중국과의 교섭에서 남조보다는 북조 왕조와 교섭을 추진한 목적과 그것이가지는 의미 등에 대해서 검토해 본 것이다. 백제는 전통적으로 중국과의 교섭에서 대부분 남조...

      본 논문은 백제가 중국과의 교섭에서 남조보다는 북조 왕조와 교섭을 추진한 목적과 그것이가지는 의미 등에 대해서 검토해 본 것이다. 백제는 전통적으로 중국과의 교섭에서 대부분 남조왕조를 통해 신문물을 수입하였기에 남조 왕조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던 것이다. 그렇지만한성백제시기 개로왕대와 사비시대 위덕왕대는 이와 같은 전통적인 교섭에서 벗어나 북조 왕조와 교섭을 추진하였기에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개로왕은 북위 효문제에게 표문을 보내 고구려를 정벌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표문의 내용은북위에게 고구려를 쳐야 하는 명분을 주는 데 주력하였다. 그러다 보니 표문의 내용이 과장되고허위로 볼 수 있는 부분도 적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제가 이와 같은 내용을 보낼 수밖에없었던 것은 직면한 문제 즉 고구려의 군사적인 공세를 막아내기 위한 고육책이었다. 북위가건국된 이후에도 그리고 또 북위가 화북을 통일하였을 때도 사신을 보내지 않다가 느닷없이사신을 보내 고구려 정벌의 명분을 표명한 것은 이와 같은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러나 개로왕의 이와 같은 대북위 교섭은 황제의 거절로 끝이 났으며 결국 고구려의 군사적공격을 받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개로왕은 남조 일변도의 외교 정책에서 벗어나 북조와의 외교정책을 추진하였으나 진정성이 결여된 외교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기대 이상의 효과를 거두지못하였다. 더 나아가 개로왕은 중국의 북조 정권이 남조 정권과는 여러 가지로 다르다는 것을제대로 헤아리지 못하였던 결과에서 이와 같은 일이 빚어진 것이다. 또한 개로왕대 대중국 외교를 담당한 관료들은 남조 일변도의 외교 정책을 추진하던 실무 주역들이었으므로 북조 정권과의외교 정책의 경험이 부족하였기에 그다지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니라고할 수 있다. 사비 시기 위덕왕은 또다시 북조 왕조와 교섭을 재개하였다. 당시 고구려나 신라는 이미 북제와 교섭하여 책봉을 받은 상태였기에 백제로서는 상당히 늦게서야 대중국 교섭에 관심을 두었다. 그는 남조 왕조의 진과 북조 왕조의 북제에 각각 사신을 파견하여 남조 일변도의 외교정책에변화를 주었다. 그리고 그가 북제에 사신을 파견한 것은 고구려를 염두에 둔 행위였다기 보다는신라를 견제하기 위한 목적이 무엇보다 컸다. 물론 중국 대륙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과아울러 국제 정세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었던 것은 부인할 수 없다. 다만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남조의 진뿐만 아니라 북제와의 교섭에 적극적으로 나섰다는 점이다. 그리고 북주가 화북을 통일하자 곧바로 사신을 보냈으며 다음 해에도 또 사신을 보내 고구려와 관계를 확인하는 작업을 하였다. 당시 고구려는 북주가 들어선 다음 단 한 번의 사신 파견으로그쳤으나 백제는 두 번이나 사신을 파견한 것에서도 그 사정을 충분히 헤아려 볼 수 있다. 개로왕과 달리 위덕왕의 이와 같은 북조 왕조와의 교섭은 이후 통일왕조 隋로 이어진 중국의변화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개로왕의 실패를 거울삼아 위덕왕은 북조 왕조와의 교섭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였고 상대방을 제대로 이해하였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백제의 북조 왕조와의 교섭에서 사행로는 서해 횡단항로가 주로 이용되었다. 물론 개로왕대와위덕왕대 사신들의 출발 장소는 상이하지만 바다로 나아간 이후 대체로 서해 횡단항로를 이용하였고 새로운 항로의 개척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viewed Baekje s negotiations with the Northern Dynasties rather than the Southern Dynasties and its meaning. To prevent the invasion of Goguryeo, King Gaero sent an inscription to the emperor of Northern Wei, Hyo-je, asking for the conque...

      This paper reviewed Baekje s negotiations with the Northern Dynasties rather than the Southern Dynasties and its meaning. To prevent the invasion of Goguryeo, King Gaero sent an inscription to the emperor of Northern Wei, Hyo-je, asking for the conquest of Goguryeo. It was a desperate countermeasure; however, the Northern Wei refused Gaero’s diplomatic contacts, which eventually led Baekje to a military attack from Goguryeo. Baekje enforced foreign policy to the North in a departure from its one-sided policy toward the South. Nevertheless, they did not prepared customized policy for the Northern Dynasties, so Baekje did not have any overachievements with the North. King Weduck negotiated with the Northern Dynasties following King Gaero. Dispatching his envoys to Bukje was more aimed at keeping Silla in check than keeping his mind on Goguryeo. Of course, Baekje had a purpose to detect changes in the North and South Dynasties and to cope with thos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affairs. For example, Goguryeo sent the envoys only once to the Northern Dynasty, but Baekje sent twice. The Northern Dynasties and Baekje usually used the cross-border route in the West Sea as their negotiations. Surely, King Gaero and Weduck used different departure places to dispatch their envoys; however, the importance is that they pioneered a new route while using the cross-border route in the West S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Ⅱ. 개로왕대 대북위 교섭과 사신로 Ⅲ. 위덕왕대 대북제 및 북주 교섭과 사신로 Ⅳ. 맺음말
      • Ⅰ. 머리말 Ⅱ. 개로왕대 대북위 교섭과 사신로 Ⅲ. 위덕왕대 대북제 및 북주 교섭과 사신로 Ⅳ.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유흥, "해상 교류로 본 중국과 백제의 관계" 백제문화연구소 (38) : 47-76, 2008

      2 박현숙, "한성시기 백제의 宋・北魏와의 외교 배경과 그 양상" 한국고대학회 (51) : 29-54, 2017

      3 정진술, "한국해양사" 경인문화사 2009

      4 정진술, "한국의 해상교통로"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9

      5 동북아역사재단 한국외교사편찬위원회,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고대편)" 동북아역사재단 2019

      6 박윤선, "위덕왕대 백제와 남북조의 관계" 한국역사연구회 (61) : 87-117, 2006

      7 김수태, "웅진시대 백제의 대남조 외교 백제문화 해외조사보고서" 국립공주박물관 2008

      8 박순발, "백제의 해상 교통과 기항지 - 對 中國 航路를 중심으로 -" 백제학회 (16) : 5-25, 2016

      9 문안식, "백제의 동아시아 해상교통로와 기항지" 한국사학회 (119) : 113-158, 2015

      10 김영관, "백제의 대외 교류사 인식에 대한 단상"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6) : 209-232, 2017

      1 주유흥, "해상 교류로 본 중국과 백제의 관계" 백제문화연구소 (38) : 47-76, 2008

      2 박현숙, "한성시기 백제의 宋・北魏와의 외교 배경과 그 양상" 한국고대학회 (51) : 29-54, 2017

      3 정진술, "한국해양사" 경인문화사 2009

      4 정진술, "한국의 해상교통로"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9

      5 동북아역사재단 한국외교사편찬위원회,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고대편)" 동북아역사재단 2019

      6 박윤선, "위덕왕대 백제와 남북조의 관계" 한국역사연구회 (61) : 87-117, 2006

      7 김수태, "웅진시대 백제의 대남조 외교 백제문화 해외조사보고서" 국립공주박물관 2008

      8 박순발, "백제의 해상 교통과 기항지 - 對 中國 航路를 중심으로 -" 백제학회 (16) : 5-25, 2016

      9 문안식, "백제의 동아시아 해상교통로와 기항지" 한국사학회 (119) : 113-158, 2015

      10 김영관, "백제의 대외 교류사 인식에 대한 단상"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6) : 209-232, 2017

      11 양기석, "백제의 국제관계" 서경문화사 2013

      12 박종욱, "백제의 對中國交涉 航路 - 고구려의 해상 차단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 백제학회 (19) : 127-152, 2017

      13 박윤선, "백제와 중국왕조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현황과 과제" 백제문화연구소 (45) : 67-98, 2011

      14 박윤선, "백제와 송·제·양 교섭기사에 대한 고찰" 역사문화연구소 (31) : 3-32, 2008

      15 김수태, "백제 위덕왕의 정치와 외교" 2 : 2004

      16 양기석, "백제 위덕왕대의 대외관계" 19 : 2003

      17 양기석, "백제 위덕왕대 왕권의 존재형태와 성격" 21 : 1990

      18 문안식, "동아시아 문화교류와 한반도 서남해지역 해양문화" 혜안 2016

      19 김영관, "義慈王의 押送 過程과 唐에서의 行蹟" 백산학회 (85) : 113-143, 2009

      20 안성진, "百濟 漢城期 對中關係硏究 : 4 5세기 對高句麗政策의 推移와 관련하여" 고려대학교대학원 2019

      21 김병남, "百濟 威德王代의 정치 상황과 대외 관계" 한국상고사학회 43 (43): 55-72, 2004

      22 조범환, "新羅 眞興王代 北齊 및 陳과의 外交와 그 의미" 역사학회 (240) : 345-376, 2018

      23 조윤재, "古代 中國의 客館制度를 통해 본 百濟客館 集雅館의 實際" 백제연구소 (57) : 17-52, 2013

      24 윤용구, "仁川 凌虛臺와 中國使行路" 10 : 2003

      25 박윤선, "5세기 중반~7세기 백제의 대외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6 방향숙, "5~7世紀 中國王朝들의 百濟에 대한 認識과 外交 戰略의 變化" 백제연구소 (57) : 53-80, 2013

      27 정재윤, "5~6세기 백제의 南朝 중심 외교정책과 그 의미" 백제문화연구소 2 (2): 173-198, 2009

      28 박찬우, "472년 백제의 對北魏外交 관련 사료 분석과 請兵外交의 계기" 고려사학회 (70) : 179-217,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9 1.72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