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윤동주 시의 공간과 시의식 연구 = A Study on the Poetic Spaces and Poetic Consciousness of Yun Dong-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411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ategorize spaces selected in the poetry of Yun Dong-ju and to examine world perceptions and poetic consciousness projected within them. The perceptions of people occur from detailed experiences of subjects and they b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ategorize spaces selected in the poetry of Yun Dong-ju and to examine world perceptions and poetic consciousness projected within them. The perceptions of people occur from detailed experiences of subjects and they believe that the emotions and memories of subjects projected onto particular spaces are connected with a poetic consciousness regarding one’s self and the world. Space is always directed towards people and detailed analyses of people are valuable in that they reveal human imagination and awareness systems that exist within.
      Spaces that are cut off in the poetry of Yun Dong-ju are described as spaces that are cut off from the outside, in which no one but the narrator appears. In spaces such as “a well”, “a mirror”, and “a room”, only the narrator exists and others cannot be seen. In cut-off spaces where everything is blocked off, the subject establishes the narrator who is left alone, displaying shyness and a sense of alienation. However, instead of stopping there, a thorough process of self-reflection is experienced and this leads to mental maturity.
      Unlike universal emotions, open spaces such as “streets”, “hills”, and “stations” do not signify freedom but induce a form of tragic awareness and a drifting consciousness of the world. This seems to result from the life of the poet and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acts as a reason for why the subject wanders, unable to stay in one place.
      Of spaces selected in the poetry of Yun Dong-ju, there are spaces in which conflicting forms of poetic consciousness are expressed according to different situations to reveal the confused universal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In other words, public spaces and private spaces become mixed and desperate perceptions and orientations towards ideal worlds regarding identical spaces merge, revealing a double consciousness. However, by passing through negative and desperate universal consciousness and revealing orientations towards spaces of reconciliation and a hopeful world, the strong will of the subject to search for “a new world” can be verifi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윤동주 시에 선택된 공간을 유형화하고 그 속에 투영된 시인의 세계인식과 시의식을 고찰하는 것이다. 인간의 인식은 대상에 대한 구체적 경험에서 발생하며 특정 공간에 ...

      이 논문의 목적은 윤동주 시에 선택된 공간을 유형화하고 그 속에 투영된 시인의 세계인식과 시의식을 고찰하는 것이다. 인간의 인식은 대상에 대한 구체적 경험에서 발생하며 특정 공간에 투사된 주체의 정서와 기억은 자신과 세계에 대한 시인의 의식과 일맥상통하기 때문이다. 공간은 언제나 인간을 향해 있고 공간에 대한 세밀한 분석은 그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상상력과 의식체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윤동주 시에서 단절된 공간은 화자 이외에는 아무도 등장하지 않는, 외부 세계와 차단된 공간으로 묘사된다. “우물”과 “거울”, “방” 등의 공간에는 화자만이 존재할 뿐 타자의 모습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사방이 막힌 단절된 공간에서 주체는 홀로 된 화자를 설정하여 부끄러움과 소외의식을 드러내었다. 그러나 거기에서 멈추지 않고 철저한 자기 성찰의 과정을 거쳐 정신적 성숙과 삶에의 의지를 다지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보편적 정서와 달리 “거리”, “언덕”, “정거장” 등 개방된 공간들은 자유로움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에 대한 비극적 인식과 표류의식을 유발하고 있다. 그것은 시인의 삶과 시대적 상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주체로 하여금 한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떠돌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윤동주 시에 선택된 공간 중에는 상황에 따라 상반된 시의식이 표출되어 주체의 혼란한 세계인식을 보여주는 공간들이 있다.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이 혼용되기도 하고 동일한 공간에 대해 절망적 인식과 이상세계로의 지향이 어우러져 이중적 의식이 드러난다. 그러나 부정적이고 절망적인 세계인식을 거쳐 화해로운 공간과 희망적 세계에 대한 지향을 드러냄으로써 “새로운 길”을 모색해 보려는 주체의 강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자, "현대시의 공간과 구조" 문학과 비평사 17-, 1988

      2 장만호, "한국시와 시인의 선택" 서정시학 287-, 2015

      3 권명수, "하인즈 코헛과 자기 심리학" 한국심리치료연구소 326-, 2002

      4 이효덕, "표상 공간의 근대" 소명출판 43-, 2007

      5 박태호, "코뮨주의" 그린비출판사 194-, 2010

      6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 "인간과 공간" 에코브리히 120-121, 2001

      7 서재원, "이상문학상 21년" 문학사상사 1997

      8 유재천, "윤동주론" 배달말학회 (15) : 73-, 1990

      9 김수복, "윤동주 시의 원형 상징 연구 2-‘방’과 ‘거울’의 모티브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0 : 7-26, 1986

      10 임현순, "윤동주 시의 디아스포라와 공간" 우리어문학회 (29) : 481-509, 2007

      1 김은자, "현대시의 공간과 구조" 문학과 비평사 17-, 1988

      2 장만호, "한국시와 시인의 선택" 서정시학 287-, 2015

      3 권명수, "하인즈 코헛과 자기 심리학" 한국심리치료연구소 326-, 2002

      4 이효덕, "표상 공간의 근대" 소명출판 43-, 2007

      5 박태호, "코뮨주의" 그린비출판사 194-, 2010

      6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 "인간과 공간" 에코브리히 120-121, 2001

      7 서재원, "이상문학상 21년" 문학사상사 1997

      8 유재천, "윤동주론" 배달말학회 (15) : 73-, 1990

      9 김수복, "윤동주 시의 원형 상징 연구 2-‘방’과 ‘거울’의 모티브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0 : 7-26, 1986

      10 임현순, "윤동주 시의 디아스포라와 공간" 우리어문학회 (29) : 481-509, 2007

      11 김윤정, "윤동주 시의 공간적 특질 연구" 한국시학회 (24) : 143-169, 2009

      12 심재휘, "윤동주 시의 공간과 장소"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3 (23): 69-100, 2019

      13 남송우, "윤동주 시에 나타난 공간 인식의 한 양상 - 일본 유학 시절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40) : 167-188, 2005

      14 이명찬, "윤동주 시에 나타난 ‘방’의 상징성" 국어국문학회 (137) : 351-375, 2004

      15 남송우, "윤동주 시에 나타나는 만주, 한국, 일본에서의 공간인식의 양상- <거리>를 중심으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9-31, 2017

      16 이승철, "백석과 윤동주 시의 ‘방’ 텍스처 고찰" 한국비교문학회 (67) : 233-262, 2015

      17 김신정, "만주 이야기와 윤동주의 기억" 돈암어문학회 30 : 155-197, 2016

      18 가스통 바슐라르, "공간의 시학" 민음사 118-, 1990

      19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대윤 19-, 1995

      20 에드워드 소자, "공간과 비판사회이론" 시각과 언어 106-107,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3-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93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