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장애자의 범죄로부터 시민의 생명, 신체, 재산 등을 보호하는 것은 현대 국가와 사회에 대한 절대적인 요청이라고 할 것이다. 그리고 정신장애로 말미암아 범죄를 저지를 수밖에 없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85807
2014
-
330
KCI등재
학술저널
33-70(38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정신장애자의 범죄로부터 시민의 생명, 신체, 재산 등을 보호하는 것은 현대 국가와 사회에 대한 절대적인 요청이라고 할 것이다. 그리고 정신장애로 말미암아 범죄를 저지를 수밖에 없는 ...
정신장애자의 범죄로부터 시민의 생명, 신체, 재산 등을 보호하는 것은 현대 국가와 사회에 대한 절대적인 요청이라고 할 것이다. 그리고 정신장애로 말미암아 범죄를 저지를 수밖에 없는 불쌍한 사람을 구제하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해야 한다. 이러한 보안과 의료의 요청을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풍부한 경험을 가진 의료진, 현대적인 최신의 의료시설, 다양한 효율적 치료프로그램의 구비가 요구된다.
우리나라에서 정신장애자에 대한 처우는 정신장애범죄자에 대한 처우와 일반정신장애자에 대한 처우로 대별할 수 있다. 정신장애범죄자는 형법 제10조에 따라 책임무능력을 이유로 벌하지 아니하거나, 심신미약을 이유로 형을 감경하게 되는 심신장애자를 말한다.
그러나 이처럼 범죄를 저지르고 법익을 침해한 범죄자를 정신장애를 이유로 처벌하지 않게 된다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비록 이것이 형법의 책임주의(Schuldsprinzip)를 구현한 것이지만, 그 파급효과로서 건전하고 선량한 다수 국민들이 범죄로 인한 피해를 볼 여지가 상당히 높아지는 것이며, 이에 따른 사회의 질서유지나 형사사법에 대한 국가신뢰도의 하락이라는 치명적인 결과가 발생할 우려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정신장애 범죄로부터 사회를 방위하고, 또 다른 측면에서 정신장애로 인하여 범죄자로 전락하는 정신장애 범죄인들을 구제해야 할 국가적, 사회적 책무가 우리에게는 존재한다. 대한민국 헌법 제10조는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형법의 궁극적인 이상도 인격의 자유로운 발전과 완성을 촉진하고자 하는 데 있으므로, 인간의 존엄성은 근본 가치에 해당하는 궁극의 목적이 된다. 따라서 정신장애 범죄자가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유지하고, 재사회화의 길로 나아가게 해야 할 당위성이 존재한다고 생각된다.
정신장애 범죄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감호제도는 심신장애 상태, 마약류ㆍ알코올이나 그 밖의 약물중독 상태, 정신성적(정신성적) 장애가 있는 상태 등에서 범죄행위를 한 자로서 재범(재범)의 위험성이 있고 특수한 교육ㆍ개선 및 치료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자에 대하여 적절한 보호와 치료를 함으로써 재범을 방지하고 사회복귀를 촉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치료감호 이후의 정신장애인 범죄자들의 재범률은 기대만큼 감소하지 않고 있다. 치료감호제도는 의료를 통한 사회복귀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그렇지 못한 상황이다. 공공안전이라는 목적을 위하여 정신장애범죄자를 단순히 구금ㆍ수용하는 것은 인도주의에 반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존엄과 가치, 행복추구권을 규정하고 있는 헌법에 위반하는 것이다.
정신장애 범죄자에 대해서 교정복지적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해서는 복지형시대에 맞게 징벌대상자인 정신장애 범죄자의 요구를 세밀히 파악하고, 이것을 토대로 사정(assessment)과 개입 및 치료를 실질적으로 진행해 나가야 한다. 그러나 실무적으로는 교정독점관료체제의 필연적인 결과로서 질서유지라는 보안공공재의 생산에 치우친 징벌의 경향이 강하고, 교화지향적인 징벌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정신장애 범죄자 교정처우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과 개선을 위한 교정복지적 관점에서의 접근방안을 다음과 같이 도출해 보았다.
첫째, 예산과 인력 배정에 따른 정부정책상의 문제점과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법령별로 각기 정의하고 있는 치료감호 대상자에 대한 용어의 통일이 필요하다. 셋째, 치료감호 대상자의 선정과 치료처분의 남용의 문제점을 시정해야 한다. 넷째, 보안을 위한 목적보다 치료를 위한 목적이 강화되어야 한다. 다섯째, 정신장애 범죄자와 마약류, 알콜중독 범죄자를 구분해서 수용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사회재활 치료의 강화와 개선이 요구된다. 일곱째, 매스미디어의 문제점과 사회적 편견의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서 해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tection of the life, body, and property of citizens against crimes, done by mentally ill offenders, is one of the absolute request in a modern state and society. And saving people who has mental disorder from endangerment of committing a crime ...
The protection of the life, body, and property of citizens against crimes, done by mentally ill offenders, is one of the absolute request in a modern state and society. And saving people who has mental disorder from endangerment of committing a crime should be considered equally important. To meet these social security and welfare ends, in addition to proper legal system, medical staffs with extensive experience, up-to-date medical facilities and effective treatment programs are required. The illegals with mental disorder is different from the mentally handicapped who has done nothing harm. The illegals with mental disorder may got a mitigated punishment for incompetence or physical and mental weakness by the Article 10 of Criminal Law. However, lessening penalty for this kind of crime, though this is a fulfillment of the responsibility principles, could be increase the possibility of legal endangerment of general citizens. Also it could be critical to social order. Therefore, more strong safeguards against crimes done by the influence of mental disorder and more close attention to the mentally handicapped are needed.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states that "All citizens shall be assured of human worth and dignity and have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It shall be the duty of the State to confirm and guarantee the fundamental and inviolable human rights of individuals." Likewise, one of the last goal of the Criminal Code is to promote the development and perfection of character with free will. Therefore, human dignity is the ultimate purpose among fundamental values. For better correction welfare policies followings are needed. Proper allocation of budget and manpower, standardization of legal terms, discreet application of treatment and custody, preventing abuse of legal procedure, placing more value on medical recovery than isolation from society, separated custody for mental handicap, narcotic, alcohol and drug addiction, reinforcement of rehab and improvement of social bia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기, "형사정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1
2 조준현, "형사사법에 있어서 정신장애자에 대한 처우의 이념과 실제" 한국교정학회 45 : 97-125, 2009
3 정성근, "형법총론" 삼영사 2011
4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11
5 정영일, "형법강의[총론]" 도서출판 학림 2013
6 최준, "형벌의 목적과 재사회화 이념" 한국교정복지학회 (25) : 73-98, 2012
7 정신교, "현대사회와 범죄" 형설출판사 2010
8 김화수, "한국교정학" 한국교정학회 2007
9 천정환, "한국 교정복지의 의의와 발전과제" 한국교정학회 53 : 169-193, 2011
10 김상호, "치료감호의 집행" 187 : 1991
1 박상기, "형사정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1
2 조준현, "형사사법에 있어서 정신장애자에 대한 처우의 이념과 실제" 한국교정학회 45 : 97-125, 2009
3 정성근, "형법총론" 삼영사 2011
4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11
5 정영일, "형법강의[총론]" 도서출판 학림 2013
6 최준, "형벌의 목적과 재사회화 이념" 한국교정복지학회 (25) : 73-98, 2012
7 정신교, "현대사회와 범죄" 형설출판사 2010
8 김화수, "한국교정학" 한국교정학회 2007
9 천정환, "한국 교정복지의 의의와 발전과제" 한국교정학회 53 : 169-193, 2011
10 김상호, "치료감호의 집행" 187 : 1991
11 천정환, "징벌제도와 천정환의 회복적 징벌론" 한국교정학회 61 : 153-174, 2013
12 이양훈, "정신장애인범죄 실태 현황분석을 통한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정복지학회 (21) : 153-176, 2011
13 강영실, "정신장애인 범죄의 실태분석과 교정사회복지사의 개입방안" 16 : 2006
14 이근후,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 학지사 1997
15 김상호, "정신장애범죄자의 처우" (1) : 1985
16 서보균, "정신장애범죄자에 대한 수용처우 제고방안" 법무연수원 2007
17 허경미, "정신장애 범죄자의 지역사회 교정처우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38 : 163-191, 2008
18 강영실, "정신장애 범죄인의 치료감호규정과 교정복지적 접근방안에 대한 소고" 한국교정복지학회 (25) : 99-116, 2012
19 류기환, "정신보건법과 치료감호법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법학회 (23) : 501-520, 2006
20 김종률, "정신감정과 치료감호자료집"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6
21 김병곤, "인간의 존엄" 교육과학사 1996
22 천정환, "신범죄학" 백산 2006
23 이훈동, "보호감호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교정학회 49 : 7-25, 2010
24 강동욱, "범죄행위를 한 정신장애자의 법적 처우에 관한 연구 - 치료감호제도를 중심으로" 대한변호사협회 336 (336): 89-111, 2004
25 한인섭, "범죄와 형벌" 박영사 2013
26 임상곤, "범죄심리학원론" 백산출판사 2006
27 최영인, "범죄생물학이론과 범죄심리학이론" 백산출판사 2005
28 이백철, "미국의 범죄와 형벌" 학지사 2008
29 윤정숙, "묻지마 범죄좌의 특성 이해와 대응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4
30 김진혁, "묻지마 범죄의 유형 및 대응방안" 한국범죄심리학회 8 (8): 113-131, 2012
31 허일태, "독일형법총론" 세종출판사 1998
32 김유근, "독일의 형벌, 보안처분 그리고 행형체계의 현대적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 한국교정학회 42 : 194-211, 2009
33 천정환, "교정복지학" 창지사 2010
34 경찰청, "경찰백서" 2014
35 Robert L. O'Block, "Security and Crime Prevention" C. V. Mosby Co 1981
36 E. Rotman, "Rechtliche Voraussetzungen der Behandlung geistestorter Straftäter in den Vereinigten Staaten, Festschrift für Günter Blau" Walter de Gruyter 1985
37 Peay, J., "Mentally Disordered Offenders, The Oxford Handbook of Criminology"
38 법무연수원, "2013 범죄백서" 법무연수원 2014
39 경찰청, "2012 범죄통계" 경찰청․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3
40 법무연수원, "2012 범죄백서" 법무연수원 2013
41 보건복지부, "20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질의응답집"
42 보건복지부, "20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요약보고서" 보건복지부 2012
43 법무연수원, "2011 범죄백서" 법무연수원 2012
44 경찰청, "2011 경찰통계연보" 경찰청 2012
45 법무연수원, "2010 범죄백서" 법무연수원 2011
보호관찰청소년을 위한 대학생의 집단멘토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청소년 재범 관련요인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 | 1.5 | 1.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6 | 1.15 | 1.414 | 0.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