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창작국악동요의 창의적 교재.교구 활용방안 연구 : 유아.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Plans for Using Original Teaching Materials Teaching Aids For Creativ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 Centering on Small Childre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437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each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subject matter so that original teaching materials·teaching aids for creativ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would be used at educational facilities for small children and lower elementary school graders by studying them. And the researcher presets methods of using original teaching materials·teaching aids for creativ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in order to achieve educational goal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of all, the researcher examined the preceding studies emphasizing the necessary for and importance of teaching materials in the activities of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In order to present the methods of activities centering on the sub-subjects per each subject matter, the researcher did tests·practices for the total 65 children for 5 tims during summer and winter special instructions (10 times in total) respectively at elementary school and library.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 of winning a prize at a nationwide exhibition of teaching materials·teaching aids in 2002 by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using Korean classical music for special children, the researcher applied school work of Korean classical music using them at the educational facilities for small children. Accordingly by selecting proper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for children, the researcher divided 30 small children into 3 classes of 5, 6 and 7 year old children and applied proper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to them.
      For such purpose, the researcher examined the main contents of original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for elementary school 3 or 4 graders and also examined the preceding research theses on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considering their rhythm, time and words of songs.
      In addition, the researcher also analyzed rhythm and words of children's songs composed by Jung, Sugn Ja, which the researcher used the most so that I would use their program per annual subject matter.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present status of research activities, in the field of our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fact the ratio of possessing Korean classical music equipment at kindergartens or elementary schools was increased since Jung, Sung Ja's thesis in 1985, but all researchers still emphasized insufficiency of teaching materials·teaching aids.
      Through many writings, short course studies and special lectures of Korean classical music for small children all over the country, Jung, Sung Ja, who is the pioneer in the first Korean classical music for small children and has 27 years' know-hows, became well-known at educational facilities thereof. Therefore, the researcher analyzed rhythm, the words and sources of her creativ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and approached to the necessity for teaching materials and aids according to the teaching methods.
      And by classifying the sub-subjects for each subject matter on the basis of rhythm, time and words of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the researcher presented methods of using data and original teaching materials·aids.
      Results of this study by means of the above methods are as follows.
      1. Through this study, 30 methods of activities centering on sub-subjects to be used for small children and lower elementary school graders were developed.
      2. Even with one subject matter, various teaching materials·aids c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determined sub-subjects.
      3. It was found that teaching materials·aids could be used by means of various methods according to concerned activities.
      4. In the aspect of elementary school teaching methods, the researcher could find changes from static type of school work such as singing songs after hearing to voluntary and active type such as making activities while touching teaching materials.
      5. And it was found that the rhythm of children's songs used dotted notes much and there were many light songs with fast time.
      6. The use of patterned teaching materials for learning rhythm was helpful for mathematical way of thinking.
      7. The teaching materials using colors for musial notes helped children to learn rhythm for short period of time.
      8. Because the words of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by Jung, Sung Ja were proper for children's levels, they were very good for being used not only for dance movements but also as teaching materials.
      9. It was also found that Jung, Sung Ja's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were sung as the theme songs in life at educational facilities for small children
      10. It was found that the words of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found sources among life experience or natural phenomena.
      11. It was also found that the contest of creativ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sponsor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was researched much.
      12. Methods of learning the words and rhythms of songs with OHP films by reusing the monitor of a computer could be helpful for scientific way of thinking.
      13. The janggu Nanta performance using scrapped tires and torn leather of a janggu could made us confirm the educational effect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as well as interest in Korean classical music.
      14. Children taking school work using teaching materials·aids rather than children receiving simple education of songs·rhythm demonstrated far faster acceptance of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and more interest in them in such ways as humming them in their lives.
      번역하기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each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subject matter so that original teaching materials·teaching aids for creativ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would be used at educational facilities for small children and 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each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subject matter so that original teaching materials·teaching aids for creativ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would be used at educational facilities for small children and lower elementary school graders by studying them. And the researcher presets methods of using original teaching materials·teaching aids for creativ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in order to achieve educational goal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of all, the researcher examined the preceding studies emphasizing the necessary for and importance of teaching materials in the activities of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In order to present the methods of activities centering on the sub-subjects per each subject matter, the researcher did tests·practices for the total 65 children for 5 tims during summer and winter special instructions (10 times in total) respectively at elementary school and library.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 of winning a prize at a nationwide exhibition of teaching materials·teaching aids in 2002 by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using Korean classical music for special children, the researcher applied school work of Korean classical music using them at the educational facilities for small children. Accordingly by selecting proper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for children, the researcher divided 30 small children into 3 classes of 5, 6 and 7 year old children and applied proper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to them.
      For such purpose, the researcher examined the main contents of original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for elementary school 3 or 4 graders and also examined the preceding research theses on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considering their rhythm, time and words of songs.
      In addition, the researcher also analyzed rhythm and words of children's songs composed by Jung, Sugn Ja, which the researcher used the most so that I would use their program per annual subject matter.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present status of research activities, in the field of our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fact the ratio of possessing Korean classical music equipment at kindergartens or elementary schools was increased since Jung, Sung Ja's thesis in 1985, but all researchers still emphasized insufficiency of teaching materials·teaching aids.
      Through many writings, short course studies and special lectures of Korean classical music for small children all over the country, Jung, Sung Ja, who is the pioneer in the first Korean classical music for small children and has 27 years' know-hows, became well-known at educational facilities thereof. Therefore, the researcher analyzed rhythm, the words and sources of her creativ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and approached to the necessity for teaching materials and aids according to the teaching methods.
      And by classifying the sub-subjects for each subject matter on the basis of rhythm, time and words of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the researcher presented methods of using data and original teaching materials·aids.
      Results of this study by means of the above methods are as follows.
      1. Through this study, 30 methods of activities centering on sub-subjects to be used for small children and lower elementary school graders were developed.
      2. Even with one subject matter, various teaching materials·aids c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determined sub-subjects.
      3. It was found that teaching materials·aids could be used by means of various methods according to concerned activities.
      4. In the aspect of elementary school teaching methods, the researcher could find changes from static type of school work such as singing songs after hearing to voluntary and active type such as making activities while touching teaching materials.
      5. And it was found that the rhythm of children's songs used dotted notes much and there were many light songs with fast time.
      6. The use of patterned teaching materials for learning rhythm was helpful for mathematical way of thinking.
      7. The teaching materials using colors for musial notes helped children to learn rhythm for short period of time.
      8. Because the words of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by Jung, Sung Ja were proper for children's levels, they were very good for being used not only for dance movements but also as teaching materials.
      9. It was also found that Jung, Sung Ja's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were sung as the theme songs in life at educational facilities for small children
      10. It was found that the words of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found sources among life experience or natural phenomena.
      11. It was also found that the contest of creativ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sponsor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was researched much.
      12. Methods of learning the words and rhythms of songs with OHP films by reusing the monitor of a computer could be helpful for scientific way of thinking.
      13. The janggu Nanta performance using scrapped tires and torn leather of a janggu could made us confirm the educational effect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as well as interest in Korean classical music.
      14. Children taking school work using teaching materials·aids rather than children receiving simple education of songs·rhythm demonstrated far faster acceptance of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and more interest in them in such ways as humming them in their liv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창작국악동요의 창의적 교재·교구를 연구하여 유아 교육 기관 및 초등학교 저학년들의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주제에 따른 소재를 정하였다. 그리고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창작국악동요의 창의적 교재·교구활용법을 제시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국악활동에 있어서의 교재교구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강조한 선행연구와 국악동요의 선행 연구를 살펴 보았다.
      주제에 의한 소주제 중심의 접근을 한 활용법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와 도서관에서 여름과 겨울 특강을 각각 5차시(10회)로 총65명을 실험·실습하였다. 유아교육기관은 연구자가 2002년도에 특수아동을 위한 국악교재를 개발하여 전국 교재·교구전시회 수상경력을 토대로 하여 교재·교구를 활용한 국악수업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아동들에게 적합한 국악동요를 선정하여 유아들은 30명씩 5세 6세 7세반으로 나누어서 유아에게 적합한 국악동요를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교과 3·4학년의 창의적 국악동요의 주요내용을 살펴보았고, 국악동요에 대한 선행 연구논문들을 국악장단과 박자, 노랫말이 있는 부분을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자가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연간 주제별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작곡된 정성자의 동요을 장단과 노래가사의 소재들을 분석하였다.
      연구현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국악교육에서는 1985년 정성자의 논문이후 유치원·초등학교의 국악기 보유율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나, 모든 연구자들은 교재·교구의 부족을 대부분 강조하였음을 알수 있었다.
      최초의 유아국악교육 선구자이며 27년 노하우를 가진 정성자는 수많은 저서와 전국 유아국악강습회 및 특강을 통해 유아국악교육 기관에 가장 많이 저변화 되어 있기 때문에 정성자의 창작국악 동요곡을 장단과 노랫말·소재로 분석하고 지도방법에 따른 교재교구의 필요성을 접근해 보았다.
      국악동요 중 리듬·박·자·노랫말을 살려 주제에 따른 소주제를 차시별 구분지어 활동자료와 활동방법 창의적 교재·교구 활용법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를 통해 유아·초등저학년에서 활용할 수 있는 30개의 소주제 중심 활용법이 개발되었다.
      2. 주제는 하나라도 소주제를 무엇으로 결정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교재 교구를 개발할 수 있었다.
      3. 교재·교구가 활동중심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활용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4. 초등 교과교수 학습에서 살펴보면 듣고 부르는 등의 정적인 수업형태에서 교재교구를 직접 만지고 활동하는 자율적이고 동적인 참여수업형태로 바꾸어가는 교수학습형태를 알 수 있었다.
      5. 동요의 리듬은 점음표를 많이 사용했고 빠른 박자로 경쾌한 곡이 많음을 알수 있었다.
      6. 리듬을 익히기 위한 패턴교구를 활용하여 수학적사고를 도울 수 있었다.
      7. 음표에 색깔을 활용한 교구는 짧은 시간에 리듬과 장단을 익힐 수 있었다.
      8. 정성자의 국악동요는 가사가 어린이 눈높이에 적합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춤동작 뿐만 아니라 교재·교구를 제작·연구하기에 아주 좋은 학습교재가 많았다.
      9. 정성자의 국악동요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생활속의 주제곡으로도 불리어 지고 있음을 알았다.
      10. 국악동요의 노랫말은 생활경험 또는 자연현상에서 소재를 많이 찾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1. 국립국악원에서 주체하는 창작국악동요제가 많이 연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2. 컴퓨터 모니터를 재활용하여 OHP필름으로 다양한 노랫말과 장단을 익힌 학습은 과학적인 사고를 도울 수 있었다.
      13. 폐-타이어와 찢어진 장구가죽을 활용한 장구난타는 국악에 대한 흥미뿐 아니라 환경개선을 위한 교육적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14. 단순히 노래·장단·리듬만을 교육받은 아동들보다 교재·교구를 활용한 수업을 받은 아동들은 훨씬 더 국악동요에 대한 수용력이 빨랐으며 생활속에서 흥얼거리는 등 국악동요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창작국악동요의 창의적 교재·교구를 연구하여 유아 교육 기관 및 초등학교 저학년들의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주제에 따른 소재를 정하였다. 그리고 교육목표...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창작국악동요의 창의적 교재·교구를 연구하여 유아 교육 기관 및 초등학교 저학년들의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주제에 따른 소재를 정하였다. 그리고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창작국악동요의 창의적 교재·교구활용법을 제시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국악활동에 있어서의 교재교구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강조한 선행연구와 국악동요의 선행 연구를 살펴 보았다.
      주제에 의한 소주제 중심의 접근을 한 활용법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와 도서관에서 여름과 겨울 특강을 각각 5차시(10회)로 총65명을 실험·실습하였다. 유아교육기관은 연구자가 2002년도에 특수아동을 위한 국악교재를 개발하여 전국 교재·교구전시회 수상경력을 토대로 하여 교재·교구를 활용한 국악수업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아동들에게 적합한 국악동요를 선정하여 유아들은 30명씩 5세 6세 7세반으로 나누어서 유아에게 적합한 국악동요를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교과 3·4학년의 창의적 국악동요의 주요내용을 살펴보았고, 국악동요에 대한 선행 연구논문들을 국악장단과 박자, 노랫말이 있는 부분을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자가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연간 주제별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작곡된 정성자의 동요을 장단과 노래가사의 소재들을 분석하였다.
      연구현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국악교육에서는 1985년 정성자의 논문이후 유치원·초등학교의 국악기 보유율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나, 모든 연구자들은 교재·교구의 부족을 대부분 강조하였음을 알수 있었다.
      최초의 유아국악교육 선구자이며 27년 노하우를 가진 정성자는 수많은 저서와 전국 유아국악강습회 및 특강을 통해 유아국악교육 기관에 가장 많이 저변화 되어 있기 때문에 정성자의 창작국악 동요곡을 장단과 노랫말·소재로 분석하고 지도방법에 따른 교재교구의 필요성을 접근해 보았다.
      국악동요 중 리듬·박·자·노랫말을 살려 주제에 따른 소주제를 차시별 구분지어 활동자료와 활동방법 창의적 교재·교구 활용법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를 통해 유아·초등저학년에서 활용할 수 있는 30개의 소주제 중심 활용법이 개발되었다.
      2. 주제는 하나라도 소주제를 무엇으로 결정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교재 교구를 개발할 수 있었다.
      3. 교재·교구가 활동중심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활용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4. 초등 교과교수 학습에서 살펴보면 듣고 부르는 등의 정적인 수업형태에서 교재교구를 직접 만지고 활동하는 자율적이고 동적인 참여수업형태로 바꾸어가는 교수학습형태를 알 수 있었다.
      5. 동요의 리듬은 점음표를 많이 사용했고 빠른 박자로 경쾌한 곡이 많음을 알수 있었다.
      6. 리듬을 익히기 위한 패턴교구를 활용하여 수학적사고를 도울 수 있었다.
      7. 음표에 색깔을 활용한 교구는 짧은 시간에 리듬과 장단을 익힐 수 있었다.
      8. 정성자의 국악동요는 가사가 어린이 눈높이에 적합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춤동작 뿐만 아니라 교재·교구를 제작·연구하기에 아주 좋은 학습교재가 많았다.
      9. 정성자의 국악동요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생활속의 주제곡으로도 불리어 지고 있음을 알았다.
      10. 국악동요의 노랫말은 생활경험 또는 자연현상에서 소재를 많이 찾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1. 국립국악원에서 주체하는 창작국악동요제가 많이 연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2. 컴퓨터 모니터를 재활용하여 OHP필름으로 다양한 노랫말과 장단을 익힌 학습은 과학적인 사고를 도울 수 있었다.
      13. 폐-타이어와 찢어진 장구가죽을 활용한 장구난타는 국악에 대한 흥미뿐 아니라 환경개선을 위한 교육적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14. 단순히 노래·장단·리듬만을 교육받은 아동들보다 교재·교구를 활용한 수업을 받은 아동들은 훨씬 더 국악동요에 대한 수용력이 빨랐으며 생활속에서 흥얼거리는 등 국악동요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 = 4
      • 제3절 선행연구 = 7
      • 제4절 용어의 정의 = 12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 = 4
      • 제3절 선행연구 = 7
      • 제4절 용어의 정의 = 12
      • 제2장 이론적배경 = 14
      • 제1절 교수매체의 역사적 배경 = 14
      • 제2절 국악동요의 의의 = 18
      • 제3절 국악동요의 선행연구 = 22
      • 제4절 교재·교구의 필요성 = 49
      • 제3장 창의적 국악 교재·교구 활용 방안 = 52
      • 제1절 교재·교구 활용구성 개요 = 52
      • 제2절 주제에 따른 차시별 교재·교구 목록안 = 54
      • 제3절 창의적 교재·교구 활용법 = 55
      • 1. 주제 :『장단놀이』(국악동요) = 55
      • 2. 주제 :『어깨춤』(국악동요) = 77
      • 3. 주제 :『즐거운 우리집』(국악동요) = 80
      • 4. 주제 :『금붕어』(국악동요) = 84
      • 5. 주제 : 『개구리』(국악동요) = 88
      • 6. 주제 : 『생일노래』(국악동요) = 93
      • 7. 주제 : 『뒷산에 올라』/초등교과 = 95
      • 8. 주제 : 『허재비』/초등교과 = 102
      • 9. 주제 : 『참새노래』/초등교과 = 108
      • 제4장 결론 = 113
      • 제1절 결론 = 113
      • 제2절 제언 = 115
      • 참고문헌 = 117
      • Abstract = 1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