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동육아 조합 어린이집의 ‘부모 되어가기’ = Becoming-Parent: the Communal Childcare Cooperat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712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began with the awareness of problems that are emphasized only in the aspects of parental participation or community, although parents are the main subjects in cooperative parenting association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on...

      This study began with the awareness of problems that are emphasized only in the aspects of parental participation or community, although parents are the main subjects in cooperative parenting association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ontological aspect of becoming-parent of a communal childcare cooperative. As a result of the study, we were able to see parents opening up a world of ignorance, unknown, and oblivion, parents as ainfinite possibilities's diversities instead of 1/N, parents who experience daycare like mutants, and parents who connect knowledge and life. Through this, parents in co-parent care centers should be seen as emergence multiplicity, suggesting that parents in co-parent care centers should check the striated spaces and be present in smooth spa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동육아 조합에서 부모가 운영과 교육을 책임지는 주체로 존재하나, 공동육아 부모들에 대한 이해가 부모 참여 또는 공동체성의 측면으로만 강조되고 있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

      본 연구는 공동육아 조합에서 부모가 운영과 교육을 책임지는 주체로 존재하나, 공동육아 부모들에 대한 이해가 부모 참여 또는 공동체성의 측면으로만 강조되고 있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육아 조합 어린이집 부모의 ‘되어가기’ 과정을 탐구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부모들은 끊임없이 되어가는 존재로서 무지, 미지, 망각의 세계를 열어가는 부모, 1/N이 아닌 무한의 가능성을 지닌 다양체로서의 부모, 돌연변이 생물 같은 어린이집을 체험하는 부모, 앎과 삶을 연결하며 부단히 ‘되어가는’ 부모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공동육아 조합 어린이집 부모는 발현적 다양체이며, 명시적 규칙들이 만들어진 홈 패인 공간을 견제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고 합의의 과정을 지속함으로써 변화 가능성을 지닌 매끈한 공간에서 되어가는 존재임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윤경, "협동조합형 공동육아에 참여한 아버지들의 돌봄의 의미화와 가족관계의 변화 : 성인지 관점에서 본 남성 돌봄과 아버지됨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2 유해미, "협동조합형 공동육아 현황 및 활성화 방안" 37 : 20-31, 2013

      3 오재길, "학부모의 교육주체성 강화 방안 탐색" 한국학부모학회 4 (4): 57-74, 2017

      4 이정우, "천하나의 고원 : 소수자 윤리학을 위하여" 돌베개 2008

      5 곽영순, "질적 연구 :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교육과학사 2009

      6 Davies, B., "어린이에게 귀 기울이기: ‘이기’와 ‘되기’[Listening to Children: Being and becoming]" 창지사 2017

      7 김성숙, "심미적 수업컨설팅을 통한 유아교사의 존재론적 ‘되어가기(becoming)’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397-424, 2015

      8 이주영, "삶과 앎에 기초한 초등교육의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415-436, 2014

      9 이진경,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 휴머니스트 2011

      10 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 "부모협동어린이집 운영지침서"

      1 조윤경, "협동조합형 공동육아에 참여한 아버지들의 돌봄의 의미화와 가족관계의 변화 : 성인지 관점에서 본 남성 돌봄과 아버지됨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2 유해미, "협동조합형 공동육아 현황 및 활성화 방안" 37 : 20-31, 2013

      3 오재길, "학부모의 교육주체성 강화 방안 탐색" 한국학부모학회 4 (4): 57-74, 2017

      4 이정우, "천하나의 고원 : 소수자 윤리학을 위하여" 돌베개 2008

      5 곽영순, "질적 연구 :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교육과학사 2009

      6 Davies, B., "어린이에게 귀 기울이기: ‘이기’와 ‘되기’[Listening to Children: Being and becoming]" 창지사 2017

      7 김성숙, "심미적 수업컨설팅을 통한 유아교사의 존재론적 ‘되어가기(becoming)’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397-424, 2015

      8 이주영, "삶과 앎에 기초한 초등교육의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415-436, 2014

      9 이진경,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 휴머니스트 2011

      10 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 "부모협동어린이집 운영지침서"

      11 이승영, "보육의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공동육아'에 대한 연구 : 안양·의왕지역 공동육아협동조합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12 Lenz Taguchi, H., "들뢰즈와 내부작용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 구분 넘어서기[Going Beyond the Theory/Practice Divid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troducing an intra-active pedagogy]" 창지사 2018

      13 Olsson, L. M., "들뢰즈와 가타리를 통해 유아교육 읽기: 운동과 실험[Movement and Experimentation in Young Children’s Learning]" 살림터 2017

      14 "동물학백과"

      15 정병호, "대안교육의 길을 찾아서 : 야학에서 공동육아까지, 내가 살고 싶은 세상" 또 하나의 문화 1994

      16 이정우, "다양체 개념의 변환 - 리만에서 들뢰즈로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30 (30): 89-121, 2019

      17 정선아, "뉴질랜드의 Playcenter와 네덜란드의 BOink를 통해서 본 부모참여의 방향성" 3 (3): 41-54, 2016

      18 김희연, "기록작업을 매개로 한 부모참여에 관한 실행연구: 학습공동체를 지향하며"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221-254, 2005

      19 조용환, "교육적 존재론" 7 (7): 1-2, 2001

      20 서근원, "교육공동체의 교육인류학적 재해석: 산들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인류학회 8 (8): 127-179, 2005

      21 임우연, "공동육아협동조합의 부모참여 과정에 관한 연구 : 신촌, 청주지역 공동육아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22 이창호, "공동육아협동조합 조합원의 참여과정과 집단 정체성의 형성 : 한 조합형 어린이집의 사례를 중심으로"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23 장수정, "공동육아사회적협동조합과 보육의 공공성에 대한 탐색: 공공성 실천과 장애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26 (26): 3-32, 2019

      24 오하나, "공동육아보육을 위한 협동조합 활성화: 서울 경기지역 공동육아 협동조합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17 (17): 193-220, 2013

      25 이현진, "공동육아가 걸어온 길, 뫼비우스 띠 그 어딘가를 지나는 : 공동체와 특집 내용 중심으로" 10 : 53-62, 2018

      26 이기범, "공동육아 회보집. 88호"

      27 류경희, "공동육아 협동조합 가족의 공동체성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28 이경란, "공동육아 협동조합 : 흔들림 속에서 더불어 사는 길을 찾는 사람들" 10 : 63-81, 2018

      29 최미경, "공동육아 협동어린이집 운영방식에 관한 보육교직원의 경험" 서울기독대학교 2018

      30 오채선, "공동육아 교육담론 형성과 실천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열린교육학회 27 (27): 93-119, 2019

      31 김미정, "경기도 부모협동어린이집의 현황 및 정책적 활용방안" 경기도여성연구원 2013

      32 김미란, "‘육아공동체’에서 부모참여의 가능성과 한계: 가족에 의한 공동체의 형성과 경계들"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19-60, 2008

      33 이부미, "‘공동육아’ 문화의 교육적 해석" 4 (4): 131-150, 2000

      34 김재춘, "Deleuze의 되기 · 생성의 교육(학)적 해석" 한국교육원리학회 15 (15): 1-38,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