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업교육공학으로서의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681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pply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and develop an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for the improvement of project management ability of project manag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models and procedures to develop an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Second, Is the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suitable for acquiring th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procedure?
      The study went through three stage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First, suitable design and development methodology was selected by examining research of educational technology. Second, a specific program development model was derived from researches on educational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an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Third,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was adapted, an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utilizing the problem based learning, the program was applied to project managers in Korea IT service compan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program was review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pecific context of eucating project managers of Korea IT services company, th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proceeded through five step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uation(ADDIE) based on the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ISD) model. Second,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6 hours for corporate project managers, and then expert evalu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is educational program.
      Two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SD model is an adequate program development model for developing th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in the specific context of educating corporate project managers. Second, th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is effective for enterprise project managers to acquir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procedures.
      Th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based 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generalize th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development studies targeting various learners. Second, In order to effectively transfer of learning,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arning time from the previous 16 hours, and follow-up studies that apply various types of education, such as action learning, for practical application after collective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Third, in order to more accurately verify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through this educational program,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to confirm the medium and long-term practical application level.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pply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and develop an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for the improvement of project management ability of project managers. The research questions a...

      This study aims to apply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and develop an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for the improvement of project management ability of project manag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models and procedures to develop an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Second, Is the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suitable for acquiring th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procedure?
      The study went through three stage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First, suitable design and development methodology was selected by examining research of educational technology. Second, a specific program development model was derived from researches on educational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an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Third,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was adapted, an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utilizing the problem based learning, the program was applied to project managers in Korea IT service compan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program was review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pecific context of eucating project managers of Korea IT services company, th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proceeded through five step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uation(ADDIE) based on the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ISD) model. Second,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6 hours for corporate project managers, and then expert evalu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is educational program.
      Two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SD model is an adequate program development model for developing th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in the specific context of educating corporate project managers. Second, th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is effective for enterprise project managers to acquir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procedures.
      Th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based 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generalize th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education program with problem based learning,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development studies targeting various learners. Second, In order to effectively transfer of learning,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arning time from the previous 16 hours, and follow-up studies that apply various types of education, such as action learning, for practical application after collective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Third, in order to more accurately verify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agil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through this educational program,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to confirm the medium and long-term practical application lev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프로젝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프로젝트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모형과 절차는 무엇인가?’와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되는 실제 문제기반 교육프로그램은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절차를 습득하는데 타당한가?’ 였다.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세 가지였다. 첫째, 개발연구 방법론을 고찰하고, 산출물·도구 연구를 이 연구의 타당한 연구방법으로 결정하였다. 둘째, 기업교육과 실제 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과 기업교육공학과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과 관련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교육프로그램 개발원리에 따라 기업교육공학으로서의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한 개발 모형에 따라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서울시 소재인 ‘ㅁ’ IT기업 차장급 이상 프로젝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해 본 후 종합평가를 통해 교육 성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업교육공학으로서의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는 IT기업 프로젝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이라는 특정 맥락에서 교육프로그램 개발(ISD)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절차로 진행하였고, 필요에 따라 각 단계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둘째,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기업 프로젝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16시간 동안 진행한 후 전문가 평가와 성과평가를 실시하여 이 교육프로그램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프로젝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이라는 구체적 맥락에서 교육공학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과 절차는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은 기업 프로젝트 관리자가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절차를 습득하는데 효과적이다고 할 수 있다.
      결론과 관련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해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후속 개발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효과적인 학습전이를 위해 기존 16시간보다 교육시간을 늘리고, 집합교육 이후 현업적용을 위한 실천학습(action learning) 등 다양한 교육형태를 적용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의 현업적용도를 더 정확하게 검증하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현업적용 수준을 확인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프로젝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프로젝트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프로젝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프로젝트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모형과 절차는 무엇인가?’와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되는 실제 문제기반 교육프로그램은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절차를 습득하는데 타당한가?’ 였다.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세 가지였다. 첫째, 개발연구 방법론을 고찰하고, 산출물·도구 연구를 이 연구의 타당한 연구방법으로 결정하였다. 둘째, 기업교육과 실제 문제기반 교수학습환경과 기업교육공학과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과 관련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교육프로그램 개발원리에 따라 기업교육공학으로서의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한 개발 모형에 따라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서울시 소재인 ‘ㅁ’ IT기업 차장급 이상 프로젝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해 본 후 종합평가를 통해 교육 성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업교육공학으로서의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는 IT기업 프로젝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이라는 특정 맥락에서 교육프로그램 개발(ISD)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절차로 진행하였고, 필요에 따라 각 단계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둘째,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기업 프로젝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16시간 동안 진행한 후 전문가 평가와 성과평가를 실시하여 이 교육프로그램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프로젝트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이라는 구체적 맥락에서 교육공학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과 절차는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은 기업 프로젝트 관리자가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절차를 습득하는데 효과적이다고 할 수 있다.
      결론과 관련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해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후속 개발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효과적인 학습전이를 위해 기존 16시간보다 교육시간을 늘리고, 집합교육 이후 현업적용을 위한 실천학습(action learning) 등 다양한 교육형태를 적용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실제 문제기반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적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의 현업적용도를 더 정확하게 검증하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현업적용 수준을 확인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