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폐경 후 비만 여성에서 골밀도, 혈중 항산화효소 활성 및 혈중지질 양상 비교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2071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여성의 경우 폐경을 맞이하면서 호르몬의 변화 등으로 비만 발생율이 높아지며, 비만은 만성퇴행성 질환 발병 위험을 초래하나, 골밀도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보고가 있다....

      여성의 경우 폐경을 맞이하면서 호르몬의 변화 등으로 비만 발생율이 높아지며, 비만은 만성퇴행성 질환 발병 위험을 초래하나, 골밀도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경 후 비만 여성에서 골밀도, 혈중 항산화효소 활성 및 혈중 지질 양상을 비교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폐경 후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미국의 NHENES 자료에서 체질량지수 85th percentile을 비만기준으로 사용한 것에 근거하여, 1998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동연령대의 체질량지수가 85th percentile 이상인 대상자를 비만군(27명), 그 이하는 대조군(33명)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비만군이 65.4세, 대조군이 64.2세로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가 없었고, 비만군의 체중(p<0.001), 체질량지수(p<0.001), 허리-엉덩이 둘레비(p<0.001), 체지방량(p<0.001)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비만군의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인자와 관련된 지표인 혈청 총 콜레스테롤(p<0.05), 중성지방(p<0.05)의 수준도 비만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열량 섭취량은 1일 평균 비만군이 1551.4 kcal(권장량의 89.4%), 정상군이 1516.1 kcal(권장량의 85.9%)로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영양소 섭취량도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품군별 섭취량은 비만군의 감자 및 전분류(p<0.01), 난류(p<0.01)의 섭취량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골밀도 측정 결과요추 골밀도의 T값은 비만군이 -1.83, 대조군이 -2.18이었고, 대퇴경부는 비만군이 -2.59, 대조군이 -3.09로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조군에서는 요추골밀도(p<0.01)와 체질량지수간에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비만군에서는 골밀도와 체질량지수간에 유의적인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항산화효소 활성을 분석한 결과, SOD는 비만군이 112.9 U/ml, 대조군은 108.9 U/ml 이었고, GPx는 비만군이 999.0 U/ml, 대조군이 1041.5 U/ml, TA는 비만군이 1.20 mmol/l, 대조군이 1.11 mmol/l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비만군과 대조군의 체질량지수와 항산화효소 활성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비만군의 영양소 섭취량은 골밀도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대조군은 칼슘(p<0.05), 식물성 칼슘(p<0.05) 섭취량이 요추 골밀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우유 섭취량이 SOD(p<0.05)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카로틴 섭취량(p<0.05)은 SOD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비만군은 아연 섭취량(p<0.05)이 TA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조군은 우유 및 그 제품류(p<0.05)가 SOD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조미료 섭취량(p<0.01)이 TA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비만군과 대조군 모두 요추 및 대퇴
      경부의 골밀도는 항산화효소 활성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비만군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 관련된 비만지표인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수준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비만군에서는 골밀도와 체질량지수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대조군에서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비만은 혈중 지질 증가와 관련하여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정상범위의 체질량지수 증가의 경우와는 달리 고도 비만은 골밀도에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항산화효소 활성은 비만군과 대조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폐경 후 여성에서 적정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고도 비만이 골밀도와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좀더 많은 인원수와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creases in the number of obese population is an international issue, and Korea is not an exceptional case. In postmenopausal women changes in hormonal profiles may raise a problem of obesity. Obesity is positively correlated to BMD, however there i...

      Increases in the number of obese population is an international issue, and Korea is not an exceptional case. In postmenopausal women changes in hormonal profiles may raise a problem of obesity. Obesity is positively correlated to BMD, however there is possible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and fracture,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and the antioxidant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one mineral density,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serum lipid of obese postmenopausal women to those of non-obese subject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nutritional status, BMI, bone mineral density,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In this study, we classified the subjects in to the obese postmenopausal women(n=27) and non-obese(n=33) according to their BMI, and measured dietary intakes, bone mineral density, serum lipid, SOD(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GPx(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and TA(Total antioxidants).
      The average age of obese and non-obese were 65.4 yrs and 64.2 yrs,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ody weight(p<0.001), body mass index(p<0.001), waist-hip ratio(p<0.001) of obe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n-obese. Serum total cholesterol(p<0.05), triglyceride(p<0.05) of obe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n-obese. The
      mean daily intake of energy in obese and non-obese subjects were 1551.4 kcal(89.4% of RDA) and 1516 kcal(85.9% of RDA),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mean daily nutritent intakes of obese was not significantly from those of non-obese subjects. The obese consumed significantly greater quantities of potatoes(p<0.01) and eggs(p<0.01) compared those consumed by non-obese. BMD meseurments using a DEXA(Dual energy X-ray absortiometry) showed that the spinal BMD
      T-scores in obese and non-obese as -1.83 and -2.59,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femoral neck BMD of obese and non-obese were -2.59 and -3.09,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on-obese group, body mass index(p<0.01)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BMD of spine although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in the obese group. SOD activities in obese and non-obese were 112.9 U/ml and 108.9 U/ml, respectively and GPx activities were 999.0 U/ml and 1041.5 U/ml,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ioxidants enzyme activities. TA in obese and non-obese were 1.20 mmol/l and 1.22 mmol/l,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Nutritent intakes were not correlated to the BMD of obese, however, in non-obese subject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takes of calcium(p<0.05), plant calcium(p<0.05) and BMD were found. Milk(p<0.05) intake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SO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as present between the intake of carotene(p<0.05) and SOD. In the obese, intakes of iron was positive correlated with TA(p<0.05). In the non-obese, milk(p<0.05) intake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SOD, and the intake of seasoning(p<0.05)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A. In both groups, there was no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MD of spine and femoral neck,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conclusion, obese postmenopausal women had higher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than those of the non-obese.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MD and BMI in the obese, however, thos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in the non-obe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besity is associated with not only the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but possibly with decreases in bone heath. In addition, si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mong those two groups, we need to conduct more study using a large number of subjects in different age group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evere obesity on BMD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the postmenopausal wome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