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동영상 시청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기업들은 온라인 광고를 통해 자사 브랜드에 대한 고객들의 인지도와 태도를 긍정적으로확대하고자 한다. 짧은 동영상에서의 잦은 노출을 통하여 긍...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짧은 동영상 시청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기업들은 온라인 광고를 통해 자사 브랜드에 대한 고객들의 인지도와 태도를 긍정적으로확대하고자 한다. 짧은 동영상에서의 잦은 노출을 통하여 긍...
짧은 동영상 시청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기업들은 온라인 광고를 통해 자사 브랜드에 대한 고객들의 인지도와 태도를 긍정적으로확대하고자 한다. 짧은 동영상에서의 잦은 노출을 통하여 긍정 브랜드 이미지 구축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은광고를 회피하고 삭제하기 위한 프리미엄 서비스에 가입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짧은 동영상에서 나타나는 기업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와 태도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MZ세대들을 중심으로 사회적 시청 동기로 사회관계추구, 즐거움추구, 정보추구가 관계몰입과 브랜드 이미지 그리고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기업들이짧은 동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들의 몰입 효과성과 영상 소비패턴을 확인하고 전략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장시간시청이 증가하는 짧은 동영상 내에서는 사회적 관계몰입과 교류를 위한 사회적 관계추구확대와 정보추구를 매우 중요하게생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관계몰입의 증가는 브랜드 이미지 강화에 긍정적 영향력을 제공하고 있으며, 관계몰입과브랜드 이미지 증가가 지속시청의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된 동영상의 즐거움영향력이 짧은 동영상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단순 즐거움 추구 영상의 한계가 나타나고 있어 기존 연구와의차별화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짧은 동영상의 사회적 시청 동기에 대한 관계성 확립의 중요성을 확인하면서새로운 미디어 영상에서의 소비자 행동의 이론적인 확장과 실무적 차원으로 기업의 광고 접근 전략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short-form content video watching expands rapidly companies are trying to positively expand customer's cognitive and attitudes toward their brands through online advertising. It is strengthening positive brand image-building activities through freq...
As short-form content video watching expands rapidly companies are trying to positively expand customer's cognitive and attitudes toward their brands through online advertising. It is strengthening positive brand image-building activities through frequent exposure to short video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people subscribe to premium services to avoid and delete advertising.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and attitude on corporate brands in short-form contents video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ocial relationships enjoy and information pursuit on relationship immersion, brand image and continuous watching inten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companies identified the immersive effects and video consumption patterns of viewers watching short-form contents video and proposed strategic implications.
The study confirmed that in the short-form contents video where long-term viewing increases, it is very important to expand social relationships and pursue information for exchange.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increase in relationship immersion has a positive impact on strengthening brand image while the increase in relationship immersion and brand image has a positive impact on continuous watching inten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fun in video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did not appear in short-form contents video and differentiated results from existing studies were derived.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미균 ; 김동준, "항공사 관계마케팅요인이 관계몰입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32 (32): 291-308, 2017
2 이제원,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의 소셜미디어 사용에 관한 태도 연구" 한국유통경영학회 22 (22): 69-80, 2019
3 이용철 ; 전용배, "프로야구 스포츠해설자 속성이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와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86) : 61-71, 2021
4 조태룡, "프로스포츠구단 SNS 관계지향활동이 관계가치, 관계몰입 및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9 (19): 71-87, 2014
5 윤건, "틱톡같은 쇼트비디오가 전통 동영상 산업에 미치는 충격과 영향" 56-92, 2022
6 윤석인 ; 송유진 ; 최세정, "틱톡(TikTok) 이용자의 서비스 태도와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1 (21): 105-125, 2021
7 후동방 ; 김철중, "틱톡 이용자의 매체 이용 동기가 SNS 몰입 및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 틱톡 광고 문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산업학회 22 (22): 47-58, 2022
8 가오환 ; 주수민 ; 남윤재, "짧은 동영상 콘텐츠가 도시 이미지와 관광객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틱톡의 중국 시안 관련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1 (31): 91-112, 2022
9 권두순 ; 김진화 ; 유철하 ; 김세준, "자기결정성 요인이 스마트폰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거래학회 16 (16): 197-220, 2011
10 김선주 ; 오병근, "인포메이션형 PPL이 소비자 브랜드 인지에 미치는 영향 - 케이블 TV 프로그램 ‘제면명가’와 제품 ‘제일제면소’의 시각요소를 중심으로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1 (11): 163-177, 2012
1 이미균 ; 김동준, "항공사 관계마케팅요인이 관계몰입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32 (32): 291-308, 2017
2 이제원,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의 소셜미디어 사용에 관한 태도 연구" 한국유통경영학회 22 (22): 69-80, 2019
3 이용철 ; 전용배, "프로야구 스포츠해설자 속성이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와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86) : 61-71, 2021
4 조태룡, "프로스포츠구단 SNS 관계지향활동이 관계가치, 관계몰입 및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9 (19): 71-87, 2014
5 윤건, "틱톡같은 쇼트비디오가 전통 동영상 산업에 미치는 충격과 영향" 56-92, 2022
6 윤석인 ; 송유진 ; 최세정, "틱톡(TikTok) 이용자의 서비스 태도와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1 (21): 105-125, 2021
7 후동방 ; 김철중, "틱톡 이용자의 매체 이용 동기가 SNS 몰입 및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 틱톡 광고 문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산업학회 22 (22): 47-58, 2022
8 가오환 ; 주수민 ; 남윤재, "짧은 동영상 콘텐츠가 도시 이미지와 관광객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틱톡의 중국 시안 관련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1 (31): 91-112, 2022
9 권두순 ; 김진화 ; 유철하 ; 김세준, "자기결정성 요인이 스마트폰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거래학회 16 (16): 197-220, 2011
10 김선주 ; 오병근, "인포메이션형 PPL이 소비자 브랜드 인지에 미치는 영향 - 케이블 TV 프로그램 ‘제면명가’와 제품 ‘제일제면소’의 시각요소를 중심으로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1 (11): 163-177, 2012
11 조범신 ; 남상민, "유튜브 1인 미디어의 콘텐츠와 크리에이터 특성이 만족, 지속시청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산업개발연구소 38 (38): 11-25, 2022
12 최낙환 ; 변철섭 ; 이용균, "수급사업자의 기업가정신이 관계몰입을 유도하는 경로" 한국마케팅학회 13 (13): 51-84, 2011
13 김현지, "숏폼콘텐츠 트렌드" 한국마케팅 연구원 60-69, 2020
14 최여여 ; 김영재, "숏폼(Shortform) 동영상 기반 브랜드의 전략적 경험 디자인 - 李子柒(이자칠)의 미식(美食) 동영상을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85-194, 2020
15 강정빈 ; 이상원, "숏폼 콘텐츠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 관련 숏폼 애니메이션 ‘라바(Larva)’시리즈를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22 (22): 13-28, 2021
16 우수진, "소셜미디어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기관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2017
17 이승호,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몰입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81-88, 2017
18 황영철, "소비자행동론" 학현사 2019
19 박종순 ; 이종만, "소비자의 혁신성이 모바일 광고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6 (6): 209-224, 2010
20 강민정, "서비스 기업의 고객만족투자, 고객관계관리, 경영성과 간 동태적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2016
21 강동현 ; 김은영, "사회적 자본이 대학생 게임 사용자의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 효능감과 게임보상 경험의 다중매개효과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24 (24): 486-500, 2023
22 서동욱 ; 이상은 ; 이정훈, "사회적 시청에서 콘텐츠 몰입의 매개 효과에 대한연구: 이용과 충족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사회학회 18 (18): 31-62, 2017
23 조은영, "사회적 시청동기와 사회적시청 만족도 및 지속의도 관계에서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조절효과 분석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6
24 박혜윤 ; 김민수, "문화관광SNS 인플루언서의 특성과 소비자 욕구충족성이 콘텐츠 몰입과 제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산업학회 22 (22): 173-182, 2022
25 하지영 ; 정만수 ; 한규훈, "모바일 동영상 시청 환경에서의 광고효과광고침입성과 맥락일치성의 영향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27) : 45-79, 2020
26 최인규 ; 한상필, "모바일 광고 회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9 (9): 523-547, 2008
27 지선영 ; 한상린, "메타버스 환경에서 MZ세대의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이미지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품학회 40 (40): 107-116, 2022
28 김수연 ; 신나민, "동영상 강의 중 딴짓과 몰입의 세대 간 비교"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5 (25): 273-298, 2019
29 정병규, "기술수용 모델의 비교분석 : UTAUT1과 UTAUT2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1 (1): 109-121, 2018
30 이제원 ; 오태현, "광고속성이 광고태도, 브랜드인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3 (23): 361-384, 2009
31 마뤼야오 ; 김소정, "광고 채널로서 틱톡(TikTok) 사용, 동기, 반응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1 (21): 507-519, 2021
32 박정우 ; 송필수, "관광산업의 SNS 마케팅 활동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기업 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29 (29): 225-239, 2015
33 허경석, "관광객의 소셜미디어 정보활용이 사용동기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34 천해광, "고객의 서비스가치와 관계가치가 신뢰, 고객만족, 관계몰입, 고객충성도, 교체의도에 미치는 영향" 25 (25): 25-45, 2017
35 온드라흐, "개인혁신성과 페이스북 효능감에 따른 자기노출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 2017
36 Venkatesh, V.,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17 (17): 328-376, 2016
37 Reeves, M., "Traditional optionality;Build your personal brand" 5 (5): 124-133, 2023
38 Sydow, L, "Top apps and games. Market Data Report, Q1" dataai
39 주이모 ; 이상호, "Tiktok 서비스 이용자의 몰입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국융합학회 12 (12): 125-132, 2021
40 Aaker, D. A., "The value of brand equity" 13 (13): 27-32, 1992
41 Greenberg, B. S., "The use of mass communication: Current per-spectives on gratification research" Sage 1974
42 Green, M. C., "The role of transportation in the persuasiveness of public narratives" 79 (79): 701-721, 2000
43 Slotergraaf, R. J., "The role of firm resources in returns to market deployment" 40 (40): 298-309, 2003
44 Chang, H. H., "The moderating effect of customer perceived value on online shopping behavior" 35 (35): 333-359, 2011
45 Hunt, D., "The influ-ence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pprehension on motives for Facebook use" 56 (56): 187-202, 2012
46 Zeithaml, V. A.,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60 : 31-46, 1996
47 Fornell, C.,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 Algebra and statistics" 18 (18): 1-22, 1981
48 Gantz, W., "Sports versus all comers : Comparing TV sports fans with fans of other programming genres" 50 (50): 95-118, 2006
49 이희태 ; 차문경, "SNS에서의 메시지 유형이 공공기관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의 네트워트활용 능력과 정보추구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35 (35): 55-60, 2017
50 김예람 ; 박남기,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이용의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현존감의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6 (36): 53-98, 2019
51 Cheng, M., "Reputation burning;Analyzing the impact of brand sponsorship on social, influencers" 1-47, 2023
52 Moorman, C., "Relationship between providers and users of market research : The dynamic of trust within and between organization" 29 : 314-328, 1992
53 이병성, "OTT 서비스의 콘텐츠 관계몰입이 시청만족 및 시청지속의도에 관한 융복합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40 (40): 269-282, 2022
54 최호중 ; 김효진, "O2O(Online to Offline)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관계품질과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조리학회 25 (25): 209-216, 2019
55 Hammer, P., "How clutter affect advertising effectiveness" 49 (49): 159-163, 2009
56 Hoffman, G, "Emotion by design: Creative leadership lessons from a life at Nike" Twelve 2022
57 Cohen, D., "Consumer behavior" Random House Business Division 1981
58 Keller, K. L., "Building customer based brand equity" 10 (10): 15-19, 2001
59 Stengel, J., "Brand building and performance marketing, how to catch two birds with one stone" 134-145, 2023
60 한상설, "B2B 브랜드 이미지, 관계몰입 그리고 장기 지향성 영향관계 : 한·미 비교" 한국통상정보학회 24 (24): 265-286, 2022
61 Ainsworth, R., "Attention spans are getting shorter. Or are they? Source Global Research"
62 Ducoffe, R. H.,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36 (36): 21-35, 1996
63 Grönroos, C., "A service quality model and its marketing implications" 18 (18): 36-44, 1984
64 Oliver, R. L., "A cognitive model for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17 : 460-469, 1980
65 남궁진 ; 이진균, "1인 미디어 인터넷 방송 이용 동기와 사회적 시청이 브랜드 태도, 브랜드 관여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0-46, 2020
IPA 분석을 활용한 새벽배송 서비스 품질 개선방안 연구
서비스 유형별 서비스 품질 차원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실용적 vs. 쾌락적 서비스의 비교 연구
경륜(競輪) 베팅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경륜 고객 대상 질적 연구 : 페르소나 기법을 중심으로
고객 준비도가 고객 참여를 통해 회복 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SST 서비스 회복 과정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