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학교 KSL 초급 학습자를 위한 일반 교과 수업 진행 교사말 연구 = A Study on Teacher Talk for The Progress of A Class in General Subjects for Elementary KSL Beginner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4991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학교 KSL 학습자들이 공교육 조기 적응을 위하여 일반 교과 수업에서 소외되지 않고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 일반 교과 수업 흐름의 이해를 도울 수업 진행 교사말...

      이 연구는 초등학교 KSL 학습자들이 공교육 조기 적응을 위하여 일반 교과 수업에서 소외되지 않고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 일반 교과 수업 흐름의 이해를 도울 수업 진행 교사말을 목록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속적인 다문화 학생의 증가로 이들의 공교육 적응에 관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다문화 학생 중 상당수는 ‘한국어 교실’ 수업과 병행되는 원적 학급 수업 활동 참여에 어려움이 있어 수업에서 소외되고 학교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게 된다.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수업 진행말’은 학습 활동의 길잡이가 되어 수업의 흐름을 이해하고 학습 활동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일반 교사가 수업 진행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교사말 중에서 KSL 초급 학습자의 수업 활동 참여에 필요한 기초적인 교사말을 KSL 학습자에게 교육하여 수업 활동 참여의 기회를 높이는 것은 KSL 학습자의 조기 학교 적응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본고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을 언급하고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방향 설정을 위해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 학생의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와 KSL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에 관한 연구를 검토하여 초등 KSL 학습자들의 학교 적응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 한국어 교육과 관련한 교사말 연구를 살펴 일반 교과 수업 진행 교사말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 활동 기준을 탐색하였다. Ⅲ장에서는 기존 자료에서 찾아볼 수 있는 수업 진행 교사말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재 및 지도서에 학습 내용으로 제시된 내용과 초등학교 일반 교과 교사용 지도서 지도의 실제에 나타난 교사 발화 예시를 분석하여 한국어 수업과 일반 교과 수업의 수업 진행 교사말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일반 교과 수업 지도에 많이 쓰이는 어휘, 선어말 어미적 요소, 그리고 어말 어미를 정리하였다. Ⅳ장에서는 실제 수업 상황이 이루어지는 일반 교과 수업 녹음 자료를 수집하여 수업 진행 교사말을 분석하였다. 분석 교과는 초등학교 국어, 수학, 사회, 과학 4과목으로 하고 전국 공립 초등학교 교사 13명의 수업 녹음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전사하여 수업 진행을 위한 교사 발화를 따로 모아 요소별로 나누었다. 정리된 자료를 사용 빈도, 과목별, 학년별 등 여러 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이를 참고하여 수업 활동별 수업 진행 교사말을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기존 자료 분석과 실제 교실 수업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 KSL 초급 학습자를 위한 수업 진행 교사말 목록을 선정하고 그 활용 방법을 탐색하였다. Ⅵ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하며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KSL 학습자의 학교 적응을 위해서는 일반 교과 수업 진행 교사말에 대한 교육이 제공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 이에 필요한 실제적인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수업 진행 교사말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구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st the teacher talk with which a teacher makes a progress from one stage to the next in a class. Understanding the teacher talk is very important for elementary KSL learners to follow the flow of any general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st the teacher talk with which a teacher makes a progress from one stage to the next in a class. Understanding the teacher talk is very important for elementary KSL learners to follow the flow of any general subject’s class, to participate in learning without being alienated from any general subject, and ultimately to adapt themselves to public education early and nicely.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continues to increase, efforts of the authorities concerned to adapt the students to public education keep growing accordingly. Despite these efforts, many of the multicultural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class activities opening simultaneously with Korean language class which they have to attend to, leaving them alienated from the class and unable to adjust themselves to school life.
      In classroom instruction, 'the teacher talk for the progress of a class' serves as a guide to successful learning for the classroom activities, and has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the flow of lessons and performing learning activities appropriately. Therefore, it will be helpful for KSL learners to adapt to school early by educating KSL learners with the basic teacher talk necessary for KSL beginner learners to participate in class activities.
      Being motivated by the fact and the assumption mentioned just above, this study has been done by the following order. In Chapter I,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nd the research method was explained. In Chapter II,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is study. In the previous literature, the implications for school adaptation of elementary KSL learners had been reviewed through analyzing multicultural students' school adaptation and KSL learners'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general subjects were conducted by examining the research on teacher language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Class activity standards applicable to teachers' words were explored. In Chapter Ⅲ, the teacher talk for the progress of a class that can be found in existing materials was examined. The contents presented as learning contents in Korean textbooks and guidebooks and examples of teacher utterances appearing in the instruction manual for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language class and the general subject class of the teacher talk for the progress of a class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vocabulary, prefinal ending elements, and final endings used in general subject instruction are organized. In Chapter Ⅳ, recordings of general subject lessons of actual class situations were collected and the teacher's speech during the lesson was analyzed. The subjects for the analysis consisted of 4 subjects: Korean,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and class recordings of 13 teachers at public elementary schools accross the country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as transcribed and the teacher's utterances for the course of the class were separately collected and divided into elements. The organiz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such as frequency of use, subject, and grade, and the teacher talk for the progress of a class for each class activity were presented with reference to this result. In Chapter Ⅴ,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data and the results of the actual classroom lesson analysis, a list of the teacher talk for the progress of a calss for elementary school KSL beginners was selected and ways of making use of it were explored. Finally, in Chapter VI,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nd organized, and limitations are presented.
      In this study, it was emphasized that for elementary school KSL learners to adapt to school, education on teacher talk for the progress of a class in general subjects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llects and analyzes raw data so to form representative examplar data that can be used for education of the teacher talk for the progress of a cla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및 배경 1
      • 2. 연구 필요성 8
      • 3. 연구 방법 9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및 배경 1
      • 2. 연구 필요성 8
      • 3. 연구 방법 9
      • Ⅱ. 선행 연구 검토 13
      • 1. 다문화 학생의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 13
      • 2. KSL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에 관한 연구 15
      • 3. 교사말에 관한 연구 16
      • Ⅲ. 문헌 자료 분석 20
      • 1. 초급 한국어 교재 수업 진행 교사말 분석 20
      • 2. 초등학교 일반 교과 교사용 지도서 분석 25
      • 3. 소결 37
      • Ⅳ. 실제 수업 진행 교사말 분석 38
      • 1. 자료의 수집 38
      • 2. 자료의 분석 41
      • 3. 수업 진행 교사말의 사용 양상 44
      • 4. 수업 단계별 특징 46
      • 5. 교사말 분석 결과 49
      • Ⅴ. 수업 진행 교사말 목록과 활용 방안 66
      • 1. 수업 진행 교사말 선정 66
      • 2. 수업 진행 교사말 활용 67
      • 3. 소결 69
      • Ⅵ. 결론 및 제언 71
      • 1. 요약 71
      • 2. 교과별 수업 진행 교사말 어휘 목록 72
      • 3. 제언 74
      • 참고 문헌 75
      • 부록 78
      • <ABSTRACT>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