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858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놀이중심, 유아중심’의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시 요구되는 교사의 자율성 증진을 위해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보육교사 자율성을 높일 수 있는 조직문화를 제공하여 양질의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및 보육교사 자율성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 자율성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특별시를 포함한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총 318부 중 306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및 보육교사 자율성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의 조직문화는 집단문화, 위계문화와 발전문화, 합리문화 순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 자율성에 대한 인식은 생활지도, 놀이지도, 학급경영, 어린이집 사무, 교직생활과 연구 및 연수활동, 어린이집 경영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 자율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 자율성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각 변인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집단문화, 발전문화는 놀이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 연구 및 연수활동, 어린이집 사무, 어린이집 경영참여, 교직생활 모두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위계문화, 합리문화는 놀이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 연구 및 연수활동, 어린이집 사무에서만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집단문화와 발전문화가 보육교사 자율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팀워크와 결속력을 강조하는 집단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진취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는 발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보육교사 자율성 증진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 약 21.8%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어린이집의 집단문화와 발전문화가 보육교사 자율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혔다. 따라서 어린이집에 조직문화를 구성원들의 신뢰와 팀워크를 통한 참여와 충성, 사기에 가치를 두는 집단문화와 조직의 변화와 유연성을 통해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재량을 가진 발전문화로의 지향을 통해 보육교사 자율성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놀이중심, 유아중심’의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시 요구되는 교사의 자율성 증진을 위해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

      본 연구는 ‘놀이중심, 유아중심’의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시 요구되는 교사의 자율성 증진을 위해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보육교사 자율성을 높일 수 있는 조직문화를 제공하여 양질의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및 보육교사 자율성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 자율성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특별시를 포함한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등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총 318부 중 306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및 보육교사 자율성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의 조직문화는 집단문화, 위계문화와 발전문화, 합리문화 순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 자율성에 대한 인식은 생활지도, 놀이지도, 학급경영, 어린이집 사무, 교직생활과 연구 및 연수활동, 어린이집 경영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 자율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 자율성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각 변인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집단문화, 발전문화는 놀이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 연구 및 연수활동, 어린이집 사무, 어린이집 경영참여, 교직생활 모두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위계문화, 합리문화는 놀이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 연구 및 연수활동, 어린이집 사무에서만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집단문화와 발전문화가 보육교사 자율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팀워크와 결속력을 강조하는 집단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진취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는 발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보육교사 자율성 증진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 약 21.8%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어린이집의 집단문화와 발전문화가 보육교사 자율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혔다. 따라서 어린이집에 조직문화를 구성원들의 신뢰와 팀워크를 통한 참여와 충성, 사기에 가치를 두는 집단문화와 조직의 변화와 유연성을 통해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재량을 가진 발전문화로의 지향을 통해 보육교사 자율성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how childcare instructors view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and the influence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as seen by childcare teachers, has on their autonomy. The ultimate goal was to establish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would empower childcare teachers to manage a high-quality curriculum.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have been identified in accordance with the study's objective.

      First, what is the overall trend in daycare center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autonomy of childcare teachers as acknowledged by childcare teacher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daycare centers'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autonomy of childcare teachers?
      Third, what effect does daycare center organizational culture have on the autonomy of childcare teachers?

      To establish the research issue, a survey of childcare trachers working in daycare facilities across Gyeonggi-do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ncluding Seoul, was performed, with 306 of 318 copies utilized for the study. The SPSS 26.0 software was used to analyze the gathered data.
      First, after examin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 general and the autonomy of childcare teachers, it was determined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childcare centers recognized by childcare teachers fell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group culture, hierarchy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The average level of autonomy for child care teachers was 3.84 (SD=.58).
      Second, an examin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day care center and the autonomy of the day care center revealed a substantia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day care center and the autonomy of the day care teacher(r=.41, p<.001).
      Third, an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daycare centers'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autonomy of childcare instructors revealed that group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had a substantial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autonomy. This implies that the more knowledge of a collective culture that values collaboration and solidarity, and the greater awareness of a development culture that is proactive in generating new ideas, the greater the impact on the promotion of childcare teacher autonomy. The study revealed that the effect of daycare center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autonomy of childcare instructors accounted for about 21.8 percent of the explanatory pow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group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of daycare centers are key determinants of childcare teachers' autonomy. Thus, autonomy for childcare instructors may be derived via the direction of a development culture that values participation, loyalty, and morale of members in daycare centers, as well as through group culture, organizational change, and flexibility that values participation, loyalty, and morale.
      번역하기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how childcare instructors view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and the influence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as seen by childcare teachers, has on their autonomy. The ulti...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how childcare instructors view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and the influence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as seen by childcare teachers, has on their autonomy. The ultimate goal was to establish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would empower childcare teachers to manage a high-quality curriculum.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have been identified in accordance with the study's objective.

      First, what is the overall trend in daycare center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autonomy of childcare teachers as acknowledged by childcare teacher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daycare centers'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autonomy of childcare teachers?
      Third, what effect does daycare center organizational culture have on the autonomy of childcare teachers?

      To establish the research issue, a survey of childcare trachers working in daycare facilities across Gyeonggi-do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ncluding Seoul, was performed, with 306 of 318 copies utilized for the study. The SPSS 26.0 software was used to analyze the gathered data.
      First, after examin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 general and the autonomy of childcare teachers, it was determined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childcare centers recognized by childcare teachers fell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group culture, hierarchy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The average level of autonomy for child care teachers was 3.84 (SD=.58).
      Second, an examin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day care center and the autonomy of the day care center revealed a substantia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day care center and the autonomy of the day care teacher(r=.41, p<.001).
      Third, an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daycare centers'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autonomy of childcare instructors revealed that group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had a substantial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autonomy. This implies that the more knowledge of a collective culture that values collaboration and solidarity, and the greater awareness of a development culture that is proactive in generating new ideas, the greater the impact on the promotion of childcare teacher autonomy. The study revealed that the effect of daycare center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autonomy of childcare instructors accounted for about 21.8 percent of the explanatory pow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group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of daycare centers are key determinants of childcare teachers' autonomy. Thus, autonomy for childcare instructors may be derived via the direction of a development culture that values participation, loyalty, and morale of members in daycare centers, as well as through group culture, organizational change, and flexibility that values participation, loyalty, and mora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문제 8
      • C. 용어의 정의 9
      • Ⅱ. 이론적 배경 10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문제 8
      • C. 용어의 정의 9
      • Ⅱ. 이론적 배경 10
      • A. 보육교사 자율성 10
      • 1. 자율성의 개념 10
      • 2. 교사 자율성의 개념 및 구성요인 11
      • 3. 유아교사의 자율성 16
      • 4. 보육교사 자율성과 구성요인 18
      • B.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20
      • 1. 조직문화의 개념 20
      • 2.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및 유형 23
      • 3.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28
      • C.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 자율성의 관계 34
      • Ⅲ. 연구방법 38
      • A. 연구대상 38
      • B. 연구도구 42
      • 1.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척도 42
      • 2. 보육교사 자율성 척도 43
      • C. 연구절차 45
      • 1. 사전조사 45
      • 2. 본 조사 45
      • D. 자료분석 47
      • Ⅳ. 연구 결과 48
      • A.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및 보육교사 자율성의 일반적 경향 48
      • B.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 자율성 간의 상관관계 50
      • C.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53
      • Ⅴ. 논의 및 결론 55
      • A. 요약 55
      • B. 논의 및 결론 57
      • 1.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및 보육교사 자율성의 일반적 경향 57
      • 2.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 자율성 간의 상관관계 59
      • 3.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60
      • C. 제언 63
      • 참고문헌 64
      • 부 록 75
      • 국문초록 79
      • Abstract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