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가 경험한 예비교사의 인성자질 탐색 = Exploring the Humanity Qualities of Pre-teachers Experienced by Their Advisors of High School Teacher Practicum in Fisheries and Maritime Depart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33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looked at the teacher's interviews to find out the qualities of the pre-teachers experienced by the teacher practicum advis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school teachers. As a result, first, the teaching and learning ability of the p re-teachers in the subject guidance ability is based on the teaching p racticum in the condition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reality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s. Second, teachers need to develop into teachers who can fully operate learning-centered classes through the use of media proficiently. Third, we need teachers as experts in character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should have both the ability to p erform character education and the teaching intuit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Teacher Practicum Learning Community” system and operating a “Fisheries and Maritime Teacher Learning Community”
      번역하기

      This study looked at the teacher's interviews to find out the qualities of the pre-teachers experienced by the teacher practicum advis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school teachers. As a result, first, the teaching and learning ...

      This study looked at the teacher's interviews to find out the qualities of the pre-teachers experienced by the teacher practicum advis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school teachers. As a result, first, the teaching and learning ability of the p re-teachers in the subject guidance ability is based on the teaching p racticum in the condition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reality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s. Second, teachers need to develop into teachers who can fully operate learning-centered classes through the use of media proficiently. Third, we need teachers as experts in character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should have both the ability to p erform character education and the teaching intuit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Teacher Practicum Learning Community” system and operating a “Fisheries and Maritime Teacher Learning Commun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성자질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 교사들이 교육실습을 지도하면서 경험한 제반 문제점들이나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을 면담을 통해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첫째, 수산․해운 계열 교수․학습 상황을 경험하면서 교직에 대한 보람과 긍정적인 부분을 경험하는 기회가 된다. 둘째, 예비교사의 교과지도 능력에 있어 계열의 교육 현실에 따른 여건 속에서 교육실습을 통해 학생에 맞는 교수 방법을 찾고 학생들이 스스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배움중심수업 운영이 가능한 교사로 성장할 것이다. 셋째, 인성교육 전문가로서 교사가 필요하다. 예비교사는 인성교육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교직관을 동시에 갖추어야 한다. 예비교사 간 협력적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의 공동해결 및 피드백과 정보공유의 기회를 제공하며, 결과적으로 협업 활동은 수업전문성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연구는 수산․해운 계열 교원양성과정 중 교육실습 과정에서 ‘교육실습 학습공동체’시스템 도입과 ‘수산․해운계열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의 필요성과, 나아가 우리나라 교육실습에서도 좀 더 협력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실습 환경에 대한 담론 형성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성자질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 교사들이 교육실습을 지도하면서 경험한 제반 문제점들이나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을 면담을 통해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

      성자질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 교사들이 교육실습을 지도하면서 경험한 제반 문제점들이나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을 면담을 통해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첫째, 수산․해운 계열 교수․학습 상황을 경험하면서 교직에 대한 보람과 긍정적인 부분을 경험하는 기회가 된다. 둘째, 예비교사의 교과지도 능력에 있어 계열의 교육 현실에 따른 여건 속에서 교육실습을 통해 학생에 맞는 교수 방법을 찾고 학생들이 스스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배움중심수업 운영이 가능한 교사로 성장할 것이다. 셋째, 인성교육 전문가로서 교사가 필요하다. 예비교사는 인성교육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교직관을 동시에 갖추어야 한다. 예비교사 간 협력적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의 공동해결 및 피드백과 정보공유의 기회를 제공하며, 결과적으로 협업 활동은 수업전문성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연구는 수산․해운 계열 교원양성과정 중 교육실습 과정에서 ‘교육실습 학습공동체’시스템 도입과 ‘수산․해운계열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의 필요성과, 나아가 우리나라 교육실습에서도 좀 더 협력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실습 환경에 대한 담론 형성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남진 ; 강병일, "현장교육실습 기간 중 특수교육전공 교육실습생들의 주된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215-235, 2010

      2 이승현 ; 한대동,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실습 지도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191-216, 2016

      3 조진호,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산·해운산업기초 교과 수업설계" 인성교육연구원 6 (6): 93-111, 2021

      4 한명희, "중등교원양성 교육과정의 전문성 확보: 교육과정 구조의 논거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1-22, 1997

      5 조형정 ; 권회림, "예비교사의 학교현장실습 경험 여부에 따른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교육문제연구소 31 (31): 119-144, 2018

      6 정영근,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실습의 이론과 실천" 문음사 2004

      7 김병찬,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가"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49-76, 2005

      8 김정현 ; 강명숙 ; 왕석순, "예비 중등교사의 교육실습이 교사로서의 자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55-70, 2009

      9 류상희, "실과 교과에서의 실습 경험이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7 (27): 41-52, 2014

      10 이칭찬, "신교사론" 태영출판사 2005

      1 김남진 ; 강병일, "현장교육실습 기간 중 특수교육전공 교육실습생들의 주된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215-235, 2010

      2 이승현 ; 한대동,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실습 지도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191-216, 2016

      3 조진호,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산·해운산업기초 교과 수업설계" 인성교육연구원 6 (6): 93-111, 2021

      4 한명희, "중등교원양성 교육과정의 전문성 확보: 교육과정 구조의 논거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1-22, 1997

      5 조형정 ; 권회림, "예비교사의 학교현장실습 경험 여부에 따른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교육문제연구소 31 (31): 119-144, 2018

      6 정영근,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실습의 이론과 실천" 문음사 2004

      7 김병찬,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가"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49-76, 2005

      8 김정현 ; 강명숙 ; 왕석순, "예비 중등교사의 교육실습이 교사로서의 자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55-70, 2009

      9 류상희, "실과 교과에서의 실습 경험이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7 (27): 41-52, 2014

      10 이칭찬, "신교사론" 태영출판사 2005

      11 조진호 ; 최영선, "수산・해운계열 고등학교 교사의 교수행동유형이 학생의 전공교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37 (37): 129-143, 2018

      12 이종호, "수산·해운 전문계열 사범계 학과의 발전 방향"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3 박지숙, "무용전공생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예술교육학회 6 (6): 19-33, 2008

      14 김정주 ; 가신현, "대학생들의 학교현장실습을 통한 학습경험 탐색" 안암교육학회 19 (19): 113-137, 2013

      15 신재한, "교직실무의 이해" 박영스토리 2022

      16 박수정 ; 박정우, "교육실습체제 개선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46 (46): 111-135, 2019

      17 김희경 ; 이나래, "교육실습과정에서 나타난 예비과학교사의 감정 경험과 감정 표현 규칙, 조절 전략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231-251, 2016

      18 김순녀, "교육실습 지원 온라인 플랫폼 관련 요구에 대한 사례 연구" 2 : 13-21, 2020

      19 유정애,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체육과 내용교수지식 (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20 최희선, "교원평가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교육정책연구소 1999

      21 정진곤, "교원양성체제 개편 정책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5

      22 조진호 ; 강형길, "교원양성기관 중등 예비교사의 인성교육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P대학교를 중심으로" 인성교육연구원 5 (5): 39-56, 2020

      23 원효헌, "교수활동의 질 개선을 위한 교사 자기평가" 한국교원교육학회 19 (19): 147-168, 2002

      24 손승남, "교사의 수업전문성 관점에서 본 교사교육의 발전방향" 한국교원교육학회 22 (22): 89-108, 2005

      25 오욱환, "교사 전문성" 교육과학사 2005

      26 김필성, "고등교육에서의 OECD 교육 2030에 토대한 인성 역량 강화 방안의 시론적 탐색" 인성교육연구원 4 (4): 1-14, 2019

      27 김향식 ; 최은수, "고등교육과정에서 성인학습자가 갖는 학습경험의 본질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3 (13): 51-76, 2010

      28 Schön, D. A., "The reflective practitioner :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Routledge 2017

      29 Gallavan, N. P., "Teacher dispositions and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27-38, 2009

      30 Heikonen, L., "Student-teachers'strategies in classroom interaction in the context of the teaching practicum" 43 (43): 534-549, 2017

      31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in practice : Examples for discussion and analysis" Jossey-Bass 2002

      32 Maxwell, J.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 An interactive approach" Sage Publications 2005

      33 Porter, A. C., "Providing effec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 Lessons from the Eisenhower program" 12 (12): 23-40, 2003

      34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1985

      35 White, S., "International handbook of teacher education" Springer 2016

      36 Marzano, R. J., "Classroom management that works : Research-based strategies for every teacher" ASCD 2003

      37 Becker, E. S., "Advancing student teachers' learning in the teaching practicum through content-focused coaching : A field experiment" 83 : 12-26, 2019

      38 Goddard, Y. 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investigation of teacher collaboration for school improvement and student achievement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109 (109): 877-896, 2007

      39 Kabilan, M. K., "A phenomenological study of an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36 : 198-209,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0-0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성교육연구소 -> 인성교육연구원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