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Representation, Discourse, and Difference: The Problematics of Appropriation in Thomas Pynch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189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is dissertation is designed to read Thomas Pynchon’s major works in terms of “appropriation” of “representation” of culture. In this viewpoint, while reading the appropriative creation in the literary and cultural moments of representations in the forms of metaphor, bebop jazz, film, and science, I question the anti-representational theories of Michel Foucault,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These poststructuralists have criticized the essentialist nature of representation that nullifies “differences” and repeats the logic of identity; Foucault’s “discourse” and Deleuze’s “difference” are generally regarded as the alternative to representation and the discourse theories have been influential in the fields of Pynchon criticism, postmodernism, and Cultural Studies.
      However, culture and representations exceed the generic or glossarial definitions of theories and the tensions and gaps between culture and representations are the conditions of forming the new ways of interpretations. My position is that representations are double-edged: one the one hand, the limit of representation should be criticized as a restrictive moment that reduces differences into identity or totality; on the other hand, the legitimacy of representation can be read as an alternative moment of “appropriation” of representation that foregrounds the difference and revises the cultural horizon of representations constructed through the political power of the mainstream culture.
      The frame of “appropriations” of “representation” avails a critical reading of the officially sanctioned forms of representations dominated by the established culture and forges a countercultural resistance against the limiting moments of totalizing representations. Whereas the symptoms of “industrialization,” “commercial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register the cultural mechanism of the dominant discourse that dictates and incorporates representations through the discursive orders of the cultural “appropriateness,” the countercultural “appropriation” of representations can be read as a cultural work to rewrite the prescribed order of cultural patterns programmed by the political power and to shape a new cultural ground that embraces differences.
      In reading Pynchon’s literary representation, I focus on the alternative aspects of representation in the gap or tension between the limit and the legitimacy of representation; compared to the negative aspects of representation, the countercultural appropriation of representation illustrates the potential of the frame of representation as shown in the mid-forties bebop jazz of Charlie Parker and Doctor Zhang’s critique of American “boundaries” made by the politically abused forms of representation in the Chinese fengshui master’s critical reading of American way of dividing the landscape. The acts of “appropriation” of “representation” are not the realm of “definition” in terms of tradition; rather, they are the cultural work that revises the traditional patterns and definitions of the repressive reality and they must be culture-specific reading of the conditions and potential of representations because the idea of “appropriation” of representation has no assumptions of totality of identity. Rather, the cultural design of “appropriation” is to foreground the possibility of difference and “critical ability.”
      번역하기

      ABSTRACT This dissertation is designed to read Thomas Pynchon’s major works in terms of “appropriation” of “representation” of culture. In this viewpoint, while reading the appropriative creation in the literary and cultural moments of repr...

      ABSTRACT
      This dissertation is designed to read Thomas Pynchon’s major works in terms of “appropriation” of “representation” of culture. In this viewpoint, while reading the appropriative creation in the literary and cultural moments of representations in the forms of metaphor, bebop jazz, film, and science, I question the anti-representational theories of Michel Foucault,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These poststructuralists have criticized the essentialist nature of representation that nullifies “differences” and repeats the logic of identity; Foucault’s “discourse” and Deleuze’s “difference” are generally regarded as the alternative to representation and the discourse theories have been influential in the fields of Pynchon criticism, postmodernism, and Cultural Studies.
      However, culture and representations exceed the generic or glossarial definitions of theories and the tensions and gaps between culture and representations are the conditions of forming the new ways of interpretations. My position is that representations are double-edged: one the one hand, the limit of representation should be criticized as a restrictive moment that reduces differences into identity or totality; on the other hand, the legitimacy of representation can be read as an alternative moment of “appropriation” of representation that foregrounds the difference and revises the cultural horizon of representations constructed through the political power of the mainstream culture.
      The frame of “appropriations” of “representation” avails a critical reading of the officially sanctioned forms of representations dominated by the established culture and forges a countercultural resistance against the limiting moments of totalizing representations. Whereas the symptoms of “industrialization,” “commercial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register the cultural mechanism of the dominant discourse that dictates and incorporates representations through the discursive orders of the cultural “appropriateness,” the countercultural “appropriation” of representations can be read as a cultural work to rewrite the prescribed order of cultural patterns programmed by the political power and to shape a new cultural ground that embraces differences.
      In reading Pynchon’s literary representation, I focus on the alternative aspects of representation in the gap or tension between the limit and the legitimacy of representation; compared to the negative aspects of representation, the countercultural appropriation of representation illustrates the potential of the frame of representation as shown in the mid-forties bebop jazz of Charlie Parker and Doctor Zhang’s critique of American “boundaries” made by the politically abused forms of representation in the Chinese fengshui master’s critical reading of American way of dividing the landscape. The acts of “appropriation” of “representation” are not the realm of “definition” in terms of tradition; rather, they are the cultural work that revises the traditional patterns and definitions of the repressive reality and they must be culture-specific reading of the conditions and potential of representations because the idea of “appropriation” of representation has no assumptions of totality of identity. Rather, the cultural design of “appropriation” is to foreground the possibility of difference and “critical abi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말 초록
      이 논문은 토마스 핀천의 주요작품들을 “재현”(representation)과 “전유” (appropriation)의 관점에서 읽는 작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통해 이 글은 핀천의 작품들이 다루고 있는 문학, 문화 및 과학범주들 – “은유,” “대중음악,” “영화,” “과학” –을 “재현”의 정의(definition)적 관점이 아닌, “재현의 전유”라는 관점에서 읽게 될 것이고, 비평론적 서론을 통해 미셸 푸코와 질 들뢰즈등과 같은 반재현론의 이론가들의 재현의 문화적 한계에 대해 다루고 있다. 반재현론의 사상가들은 주로 재현의 본질론적 속성에 따른 “차이”(difference)의 부정, 혹은, “동일성” (identity)의 반복이라는 이론적 한계를 갖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고, 이에 그들의 이론은 “담론” (discourse)이론등과 같은 반재현론의 대안개념들을 제시하고, 이러한 이론추세는 핀천비평 뿐만 아니라,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구조주의 및 문화연구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문화와 재현은 항상 장르(genre)나 정의(definition)를 넘어서며, 오히려 서로 전유적인 긴장에서 새로운 해석을 요구한다. 이 글의 본론에서는 문화와 재현에 대한 핀천의 문학적 접근을 “재현”의 양면적 속성, 즉, 동일성이나 총체성으로 귀결시키려는 제한적 속성(limit)과 차이를 전경화하려는 긍정적 속성(legitimacy) 두 가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것이고, 전유적 재현이 여전히 유효한 문화적, 비평적 수단임을 주장하려는 시도이다.
      이러한 “재현의 전유”라는 관점은 특히 공식적으로 허여된 문화양식들이나 지배적인 문화형식들에 대한 저항적 수단으로서의 “재현”의 “전유”이라는 긍정적 속성에 대한 해석을 가능하게 해준다. 문화와 재현의 “산업화,” “상업화,” “제도화”등의 현상들이 정치권력이나 주류문화에 의해서 “적절성”(appropriateness)이라는 담론적 과정들을 통해 지배문화로 포괄되는 속성이 있다면, 이에 대한 저항하는 “차이의 문화”를 구성하는 문화적 과정은 재현의 “전유” (appropriation)을 통해, 기존의 문화형식을 다시 쓰고, 문화컨텍스트들의 지형을 변경하려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곧, 재현과 문화가 주류문화에 대해 고정된 관계로 부속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핀천의 작품에서 찰리 파커의 40년대 중반 비밥 재즈와 닥터 장의 서구과학과 문화에 대한 풍수적 비판에서 읽어낼 수 있는 재현의 부정적 측면과 문화적 경계들에 대한 비판등을 통해 재현의 전유적 속성이 주류문화에 대한 비판적 능력과 비판적 거리 및 차이의 전경화에 주요한 수단이라는 논지에 이른다.
      번역하기

      우리말 초록 이 논문은 토마스 핀천의 주요작품들을 “재현”(representation)과 “전유” (appropriation)의 관점에서 읽는 작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통해 이 글은 핀천의 작품들이 다루...

      우리말 초록
      이 논문은 토마스 핀천의 주요작품들을 “재현”(representation)과 “전유” (appropriation)의 관점에서 읽는 작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통해 이 글은 핀천의 작품들이 다루고 있는 문학, 문화 및 과학범주들 – “은유,” “대중음악,” “영화,” “과학” –을 “재현”의 정의(definition)적 관점이 아닌, “재현의 전유”라는 관점에서 읽게 될 것이고, 비평론적 서론을 통해 미셸 푸코와 질 들뢰즈등과 같은 반재현론의 이론가들의 재현의 문화적 한계에 대해 다루고 있다. 반재현론의 사상가들은 주로 재현의 본질론적 속성에 따른 “차이”(difference)의 부정, 혹은, “동일성” (identity)의 반복이라는 이론적 한계를 갖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고, 이에 그들의 이론은 “담론” (discourse)이론등과 같은 반재현론의 대안개념들을 제시하고, 이러한 이론추세는 핀천비평 뿐만 아니라,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구조주의 및 문화연구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문화와 재현은 항상 장르(genre)나 정의(definition)를 넘어서며, 오히려 서로 전유적인 긴장에서 새로운 해석을 요구한다. 이 글의 본론에서는 문화와 재현에 대한 핀천의 문학적 접근을 “재현”의 양면적 속성, 즉, 동일성이나 총체성으로 귀결시키려는 제한적 속성(limit)과 차이를 전경화하려는 긍정적 속성(legitimacy) 두 가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것이고, 전유적 재현이 여전히 유효한 문화적, 비평적 수단임을 주장하려는 시도이다.
      이러한 “재현의 전유”라는 관점은 특히 공식적으로 허여된 문화양식들이나 지배적인 문화형식들에 대한 저항적 수단으로서의 “재현”의 “전유”이라는 긍정적 속성에 대한 해석을 가능하게 해준다. 문화와 재현의 “산업화,” “상업화,” “제도화”등의 현상들이 정치권력이나 주류문화에 의해서 “적절성”(appropriateness)이라는 담론적 과정들을 통해 지배문화로 포괄되는 속성이 있다면, 이에 대한 저항하는 “차이의 문화”를 구성하는 문화적 과정은 재현의 “전유” (appropriation)을 통해, 기존의 문화형식을 다시 쓰고, 문화컨텍스트들의 지형을 변경하려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곧, 재현과 문화가 주류문화에 대해 고정된 관계로 부속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핀천의 작품에서 찰리 파커의 40년대 중반 비밥 재즈와 닥터 장의 서구과학과 문화에 대한 풍수적 비판에서 읽어낼 수 있는 재현의 부정적 측면과 문화적 경계들에 대한 비판등을 통해 재현의 전유적 속성이 주류문화에 대한 비판적 능력과 비판적 거리 및 차이의 전경화에 주요한 수단이라는 논지에 이른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