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이행 과정의 어려움에 관한 잠재유형과 정신적 안녕감과의 관계 = An Association between the Latent Profiles of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School-to-Work Transitions and Mental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272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the latent profiles of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school-to-work transition (decline in confidence, mood swings, family disagreements, the burdens of familial expectations, economic hardship, and a lack of support) made by university students, (b) predictors (gender, age, grade, university location, co-residence with parents on weekdays,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parental educational attainment) of these profiles, and (c) how the profiles were associated with mental well-be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11 senior or above students (164 males and 147 females) under the age of 29, who were unmarried and preparing for employ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profile analysis revealed three distinct profiles: the “low overall difficulties” type (25.4%), the “moderate overall difficulties” type (49.9%), and the “high overall difficulties” type (24.7%). Second, the factors that predicted each profile included gender, age, co-residence with parents on weekdays,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parental educational attainment. Third, the “low overall difficulties” type demonstrated the highest level of mental well-being (emotional, soci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was significant for examining the latent profiles of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school-to-work transition made by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while also exploring their mental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the latent profiles of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school-to-work transition (decline in confidence, mood swings, family disagreements, the burdens of familial expectations, economic hardship, 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the latent profiles of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school-to-work transition (decline in confidence, mood swings, family disagreements, the burdens of familial expectations, economic hardship, and a lack of support) made by university students, (b) predictors (gender, age, grade, university location, co-residence with parents on weekdays,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parental educational attainment) of these profiles, and (c) how the profiles were associated with mental well-be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11 senior or above students (164 males and 147 females) under the age of 29, who were unmarried and preparing for employ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profile analysis revealed three distinct profiles: the “low overall difficulties” type (25.4%), the “moderate overall difficulties” type (49.9%), and the “high overall difficulties” type (24.7%). Second, the factors that predicted each profile included gender, age, co-residence with parents on weekdays,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parental educational attainment. Third, the “low overall difficulties” type demonstrated the highest level of mental well-being (emotional, soci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was significant for examining the latent profiles of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school-to-work transition made by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while also exploring their mental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향미 ; 목정후 ; 김혜정, "취업준비생의 심리적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321-1347, 2019

      2 박미진 ; 김진희 ; 정민선, "취업준비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417-435, 2009

      3 송승원 ; 권희경, "초기 성인기 진로독립성 변화 유형 및 영향 요인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49 (49): 37-63, 2022

      4 이재림 ; 박제인 ; 김혜지 ; 오상민 ; 권소영, "청년의 세대관계 유형화: 세대 간 결속의 하위차원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58 (58): 43-60, 2020

      5 김재희 ; 박은규, "청년의 성인초기 발달과업 성취유형이 사회적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27): 257-284, 2016

      6 김효정 ; 김봉환, "청년구직자들이 진로결정과정에서 겪는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사례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23 (23): 785-810, 2011

      7 선혜연 ; 이제경 ; 김선경, "진로미결정 대학생의 진로고민 내용 및 원인과 결과: 합의적 질적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3 (13): 1-24, 2012

      8 신경아 ; 이은아, "젠더 관점에서 본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 취업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원 39 (39): 3-38, 2022

      9 임영진 ; 고영건 ; 신희천 ; 조용래, "정신적 웰빙 척도(MHC-SF)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369-386, 2012

      10 장휘숙, "성인초기의 발달과업과 행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2 (22): 19-36, 2009

      1 김향미 ; 목정후 ; 김혜정, "취업준비생의 심리적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321-1347, 2019

      2 박미진 ; 김진희 ; 정민선, "취업준비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417-435, 2009

      3 송승원 ; 권희경, "초기 성인기 진로독립성 변화 유형 및 영향 요인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49 (49): 37-63, 2022

      4 이재림 ; 박제인 ; 김혜지 ; 오상민 ; 권소영, "청년의 세대관계 유형화: 세대 간 결속의 하위차원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58 (58): 43-60, 2020

      5 김재희 ; 박은규, "청년의 성인초기 발달과업 성취유형이 사회적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27): 257-284, 2016

      6 김효정 ; 김봉환, "청년구직자들이 진로결정과정에서 겪는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사례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23 (23): 785-810, 2011

      7 선혜연 ; 이제경 ; 김선경, "진로미결정 대학생의 진로고민 내용 및 원인과 결과: 합의적 질적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3 (13): 1-24, 2012

      8 신경아 ; 이은아, "젠더 관점에서 본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 취업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원 39 (39): 3-38, 2022

      9 임영진 ; 고영건 ; 신희천 ; 조용래, "정신적 웰빙 척도(MHC-SF)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369-386, 2012

      10 장휘숙, "성인초기의 발달과업과 행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2 (22): 19-36, 2009

      11 김지근 ; 허경민 ; 허다연 ; 이기학, "성인도래기의 대학-직장 이행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30 (30): 217-248, 2018

      12 정지혜 ; 양수진, "성인 초기 청년들의 그릿과 정신적 안녕감: 진로소명과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32 (32): 37-59, 2019

      13 신동우 ; 유계숙, "부모의 자녀 진로 기대에 대한 대학생의 지각이 학업‧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분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7 (17): 3-22, 2012

      14 정예지 ; 유계숙, "부모의 자녀 진로 기대에 대한 대학생의 지각이 진로결정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 공공부문과 대기업 일자리 희망 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가족학회 27 (27): 39-66, 2015

      15 김지근 ; 김나래, "부모의 성취압력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평가에의 두려움과 진로정체감의 이중 매개효과" 학생생활상담연구소 41 (41): 49-66, 2020

      16 이도형 ; 김예은 ; 유소영 ; 김명선 ; 박미정 ; 연규진, "부모기대에 부응하지 못한다고 지각하는 대학생들의 부모기대에 대한 경험: 합의적 질적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30 (30): 821-853, 2018

      17 김미영,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희망을 통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24 (24): 29-51, 2017

      18 이상준,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28 (28): 93-114, 2021

      19 박선영 ; 김종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우울 및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9 (29): 119-148, 2021

      20 최미혜,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9) : 347-375, 2017

      21 서경현,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문제성 음주 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301-320, 2018

      22 정백 ; 안선희 ; 오윤자,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 가족지지 및 친구·선배지지의 조절 효과 -" 한국취업진로학회 11 (11): 159-181, 2021

      23 김영혜 ; 안현의, "대학생의 부모-자녀 유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진로결정 관계에서 성취압력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657-682, 2014

      24 김지근 ; 이기학, "대학-직장 이행의 심리사회적 어려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32 (32): 1441-1468, 2020

      25 Chae, C. K., "https://kossda.snu.ac.kr/news?id=1664"

      26 Soons, J. P. M., "Together is better? Effects of relationship status and resources on young adults’ well-being" 25 (25): 603-624, 2008

      27 Whiston, S. C., "The influences of the family of origin on career development : A review and analysis" 32 (32): 493-568, 2004

      28 Mesurado, B.,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flourishing scale" 40 : 454-463, 2018

      29 Nylund-Gibson, K., "Ten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latent class analysis" 4 (4): 440-461, 2018

      30 "Statistics Korea"

      31 Clark, A., "Scarring: The psychological impact of past unemployment" 68 : 221-241, 2001

      32 Wood, F. B., "Preventing postparchment depression : A model of career counseling for college seniors" 41 (41): 71-79, 2011

      33 "Permanent Deleg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Organization for OECD"

      34 Schoon, I., "Pathways to adulthood: Towards a unifying framework" Institute of Education, University of London 2009

      35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Prime Minister’s Secretariat"

      36 Muthén, L. K., "Mplus user’guide: Statistical analysis with latent variables, user’s guide" Muthén & Muthén 2017

      37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38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39 Cole, K., "Good for the soul :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wellbeing, and psychological capital" 38 (38): 464-474, 2009

      40 Keyes, C., "Evaluat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MHC–SF)in setswana-speaking South Africans" 15 (15): 181-192, 2008

      41 Arnett, J. J., "Emerging adulthood : What is it, and what is it good for?" 1 (1): 68-73, 2007

      42 LeMoyne, T., "Does "hovering matter?": Helicopter parenting and its effect on well-being" 31 (31): 399-418, 2011

      43 Savickas, M. L.,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John Wiley & Sons 147-183, 2013

      44 Monteiro, A. M., "Building a scale of the meanings of transition from higher education to work" 23 (23): 481-492, 2015

      45 Asparouhov, T., "Auxiliary variables in mixture modeling : Three-step approaches using Mplus" 21 (21): 329-341, 2014

      46 Jung, T., "An introduction to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2 (2): 301-317, 2008

      47 Valle, M. F., "An analysis of hope as a psychological strength" 44 (44): 393-406, 2006

      48 Ibrahim, A. K.,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of depression prevalence in university students" 47 (47): 391-400, 2013

      49 Kim, J. M., "87.7% of job seekers "Experienced burnout while preparing for employmen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