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정서체계를 통해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자아분화와 청소년들의 대인관계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정서체계를 통해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자아분화와 청소년들의 대인관계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5. 대인관계 성향은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6. 대인관계 성향은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7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8.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 대인관계 성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9.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청소년 대인관계 성향과 유의한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 설 1.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2.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3.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4.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5.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은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6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은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7.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분화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 설 8.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 설 9.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명시내 중학교 3개교, 고등학교 3개교 2학년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34부를 분석자료로 택하였다.
측정 도구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관한 질문지는 Barens와Olsan(1982)이 제작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척도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의 자녀용 검사지를 우리의 문화적 정서에 맞게 김윤희(1989)가 번안한 것을 이용하였고, 자아분화척도는 자아분화를 가장 잘 측정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정신내적 분화, 대인 관계적 분화, 삼각화, 정서적 단절의 4가지 개념을 총 51개 문항으로 제작한 전춘애(1994)의 자아분화 척도를 총 44문항으로 재구성한 태옥경(1998)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대인관계성향은 Leary의 대인관계 행동모형과 Kresh(1962) 등이 밝힌 대인적 반응특성을 참조하여 안범희(1984)가 재구성한 ‘대인관계성향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를 위해서 SPSS/PC++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청소년들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자아분화, 대인관계성향의 기초 통계량의 산출을 위해 각 변인들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고 가설 검증을 위해 t-검정, Scheffe?-검증, Pearson 상관 분석을 하였으며 모든 가설은 유의수준 “.05이하”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가설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생에 따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에서는 아버지와의 의사소통 개방형, 폐쇄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녀에 따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활발해지고,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됨에 따라 양성평등사상이 자리매김함으로써 나타난 결과라고 생각된다.
셋째, 중·고생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정신내적 분화와 대인 관계적 분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정신내적 분화와 대인 관계적 분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째, 남·녀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정신내적 분화수준이 더 높으며, 삼각화정도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고생에 따른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은 과시적-도취적 성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더 과시적-도취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남·녀에 따른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은 과시적-도취적 성향과 경쟁적-공격적 성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과시적-도취적, 경쟁적-공격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분화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 때는 정신내적 분화와 정서적 단절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폐쇄적일 때는 정신내적 분화, 삼각화, 정서적 단절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 때는 정서적 단절과 폐쇄적일 때는 정신내적 분화, 대인 관계적 분화, 삼각화, 정서적 단절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여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폐쇄적일 때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 때는 독립적-책임적, 동정적-수용적, 사교적-우호적, 과시적-도취적 성향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반항적- 불신적 성향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폐쇄적일 때는 사교적-우호적 성향과는 정적 상관을 지배적-우월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에서는 개방적일 때는 동정적-수용적, 사교적-우호적, 과시적-도취적 성향과는 정적 상관을 반항적-불신적 성향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폐쇄적일 때는 지배적-우월적, 경쟁적-공격적, 과시적-도취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홉째, 청소년의 자아분화정도와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과의 상관관계는 정신내적 분화는 독립적-책임적, 동정적-수용적 성향에서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지배적-우월적, 경쟁적-공격적, 과시적-도취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인 관계적 분화는 지배적-우월적, 경쟁적-공격적, 과시적-도취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삼각화는 지배적-우월적, 동정적-수용적, 경쟁적-공격적, 과시적-도취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정서적 단절은 지배적-우월적, 경쟁적-공격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