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청소년 대인관계 성향 간의 관계분석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with Parents,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in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052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dolescents'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self-differentiation were correlated to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were formulated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differences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adolescents make to their communication with parents?
      Research Question 2. What differences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adolescents make to their self-differentiation?
      Research Question 3. What differences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adolescents make to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Research Question 4.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differentiation?
      Research Question 5.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Research Question 6.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 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Hypothesis 1.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with parents between middle schoolers and high schoolers.
      Hypothesis 2.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with parents between boys and girls.
      Hypothesis 3.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gap in self-differentiation between middle schoolers and high schoolers.
      Hypothesis 4.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gap in self-differentiation between boys and girls.
      Hypothesis 5.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between middle schoolers and high schoolers.
      Hypothesis 6.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between boys and girls.
      Hypothesis 7.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self-differentiation.
      Hypothesis 8.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Hypothesis 9.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 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boys and girls who were in their second year of three middle schools and in their second year of three high schools. A survey was conduct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nd the answer sheets from 434 students were analyzed.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ir communication with parents was Kim Yun-hee(1989)'s inventory that adapted and translated Barens and Olsan(1982)'s adolescent section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to suit Korean culture. As for evaluation of self- differentiation, Tae Ok-gyeong(1998)'s inventory was employed, which consisted of 44 items and reorganized Jeon Chun-ae(1994)'s Self- Differentiation Scale that was composed of 51 items about four different concepts involving 정신내적분화, interpersonal relations differentiation, triangulation and emotional cutoff that seemed to be the best barometers of self-differentiation. And An Beom-hee(1984)'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Test based on Leary's Interpersonal Behavior Model and Kresh(1962)'s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reaction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SPSS/PC++ program was utilized.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to assess their communication with parents,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and t-test, Scheff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at the .05 or smaller level of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ommunication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ers with parents,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m in the type of communication with fathers, namely whether they had an open or closed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s. No significant gap was found between them in communication with mothers.
      Second, as to the communication of the boys and girls with par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between them in that regard. The reason seemed that the growing number of working women triggered by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ir improved social standing contributed to having gender equity take root.
      Third, concerning the self-differentiation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ers,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mental 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fferentiati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excelled their counterparts in those aspects.
      Fourth, as for the self-differentiation of the boys and girls, the boys surpassed the girls in mental differentiation, and the triangulation of the former was more compounded than that of the latter.
      Fifth, in regard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ers,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howoff-narcissistic disposition. The high school students had a stronger inclination to show off and to be narcissistic than the middle school students.
      Sixth, as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of the boys and girl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in showoff- narcissistic disposition and competitive-aggressive disposition. The girls were more inclined to show off and to be narcissistic, competitive and aggressive than the boys.
      Seventh, concerning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self-differentiation, an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mental differentiation and emotional cutoff, and a closed communication with father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mental differentiation, triangulation and emotional cutoff. An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emotional cutoff, and a closed communication with mother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all the mental differentiation, interpersonal relations differentiation, triangulation and emotional cutoff. It indicated that a closed communication with mothers had a strong correlation to self- differentiation.
      Eighth, as for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an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independent-responsible disposition, compassionate-receptive disposition, sociable-friendly disposition, and showoff-narcissistic disposition. That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rebellious-distrustful disposition. An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compassionate-receptive disposition, sociable-friendly disposition and showoff-narcissistic disposition, and that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rebellious-distrustful disposition. A closed communication with mothers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dominant-superior, competitive-aggressive, showoff-narcissistic and rebellious-distrustful disposition.
      Ninth, concerning correl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mental differenti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independent-responsible and compassionate-receptive disposition, and negatively to dominant-superior, competitive- aggressive, showoff-narcissistic and rebellious-distrustful disposition. Triangula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dominant-superior, compassionate-receptive, competitive-aggressive, showoff-narcissistic and rebellious-distrustful disposition. Emotional cutoff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dominant-superior, competitive-aggressive and rebellious- distrustful disposi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dolescents'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self-differentiation were correlated to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were formulated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dolescents'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self-differentiation were correlated to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were formulated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differences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adolescents make to their communication with parents?
      Research Question 2. What differences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adolescents make to their self-differentiation?
      Research Question 3. What differences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adolescents make to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Research Question 4.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differentiation?
      Research Question 5.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Research Question 6.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 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Hypothesis 1.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with parents between middle schoolers and high schoolers.
      Hypothesis 2.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with parents between boys and girls.
      Hypothesis 3.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gap in self-differentiation between middle schoolers and high schoolers.
      Hypothesis 4.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gap in self-differentiation between boys and girls.
      Hypothesis 5.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between middle schoolers and high schoolers.
      Hypothesis 6.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between boys and girls.
      Hypothesis 7.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self-differentiation.
      Hypothesis 8.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Hypothesis 9.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 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boys and girls who were in their second year of three middle schools and in their second year of three high schools. A survey was conduct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nd the answer sheets from 434 students were analyzed.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ir communication with parents was Kim Yun-hee(1989)'s inventory that adapted and translated Barens and Olsan(1982)'s adolescent section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to suit Korean culture. As for evaluation of self- differentiation, Tae Ok-gyeong(1998)'s inventory was employed, which consisted of 44 items and reorganized Jeon Chun-ae(1994)'s Self- Differentiation Scale that was composed of 51 items about four different concepts involving 정신내적분화, interpersonal relations differentiation, triangulation and emotional cutoff that seemed to be the best barometers of self-differentiation. And An Beom-hee(1984)'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Test based on Leary's Interpersonal Behavior Model and Kresh(1962)'s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reaction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SPSS/PC++ program was utilized.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to assess their communication with parents,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and t-test, Scheff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at the .05 or smaller level of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ommunication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ers with parents,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m in the type of communication with fathers, namely whether they had an open or closed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s. No significant gap was found between them in communication with mothers.
      Second, as to the communication of the boys and girls with par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between them in that regard. The reason seemed that the growing number of working women triggered by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ir improved social standing contributed to having gender equity take root.
      Third, concerning the self-differentiation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ers,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mental 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fferentiati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excelled their counterparts in those aspects.
      Fourth, as for the self-differentiation of the boys and girls, the boys surpassed the girls in mental differentiation, and the triangulation of the former was more compounded than that of the latter.
      Fifth, in regard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ers,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howoff-narcissistic disposition. The high school students had a stronger inclination to show off and to be narcissistic than the middle school students.
      Sixth, as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of the boys and girl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in showoff- narcissistic disposition and competitive-aggressive disposition. The girls were more inclined to show off and to be narcissistic, competitive and aggressive than the boys.
      Seventh, concerning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self-differentiation, an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mental differentiation and emotional cutoff, and a closed communication with father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mental differentiation, triangulation and emotional cutoff. An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emotional cutoff, and a closed communication with mother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all the mental differentiation, interpersonal relations differentiation, triangulation and emotional cutoff. It indicated that a closed communication with mothers had a strong correlation to self- differentiation.
      Eighth, as for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an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independent-responsible disposition, compassionate-receptive disposition, sociable-friendly disposition, and showoff-narcissistic disposition. That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rebellious-distrustful disposition. An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compassionate-receptive disposition, sociable-friendly disposition and showoff-narcissistic disposition, and that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rebellious-distrustful disposition. A closed communication with mothers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dominant-superior, competitive-aggressive, showoff-narcissistic and rebellious-distrustful disposition.
      Ninth, concerning correl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mental differenti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independent-responsible and compassionate-receptive disposition, and negatively to dominant-superior, competitive- aggressive, showoff-narcissistic and rebellious-distrustful disposition. Triangula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dominant-superior, compassionate-receptive, competitive-aggressive, showoff-narcissistic and rebellious-distrustful disposition. Emotional cutoff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dominant-superior, competitive-aggressive and rebellious- distrustful disposi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정서체계를 통해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자아분화와 청소년들의 대인관계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5. 대인관계 성향은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6. 대인관계 성향은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7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8.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 대인관계 성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9.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청소년 대인관계 성향과 유의한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 설 1.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2.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3.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4.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5.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은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6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은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7.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분화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 설 8.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 설 9.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명시내 중학교 3개교, 고등학교 3개교 2학년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34부를 분석자료로 택하였다.
      측정 도구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관한 질문지는 Barens와Olsan(1982)이 제작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척도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의 자녀용 검사지를 우리의 문화적 정서에 맞게 김윤희(1989)가 번안한 것을 이용하였고, 자아분화척도는 자아분화를 가장 잘 측정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정신내적 분화, 대인 관계적 분화, 삼각화, 정서적 단절의 4가지 개념을 총 51개 문항으로 제작한 전춘애(1994)의 자아분화 척도를 총 44문항으로 재구성한 태옥경(1998)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대인관계성향은 Leary의 대인관계 행동모형과 Kresh(1962) 등이 밝힌 대인적 반응특성을 참조하여 안범희(1984)가 재구성한 ‘대인관계성향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를 위해서 SPSS/PC++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청소년들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자아분화, 대인관계성향의 기초 통계량의 산출을 위해 각 변인들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고 가설 검증을 위해 t-검정, Scheffe?-검증, Pearson 상관 분석을 하였으며 모든 가설은 유의수준 “.05이하”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가설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생에 따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에서는 아버지와의 의사소통 개방형, 폐쇄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녀에 따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활발해지고,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됨에 따라 양성평등사상이 자리매김함으로써 나타난 결과라고 생각된다.
      셋째, 중·고생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정신내적 분화와 대인 관계적 분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정신내적 분화와 대인 관계적 분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째, 남·녀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정신내적 분화수준이 더 높으며, 삼각화정도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고생에 따른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은 과시적-도취적 성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더 과시적-도취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남·녀에 따른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은 과시적-도취적 성향과 경쟁적-공격적 성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과시적-도취적, 경쟁적-공격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분화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 때는 정신내적 분화와 정서적 단절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폐쇄적일 때는 정신내적 분화, 삼각화, 정서적 단절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 때는 정서적 단절과 폐쇄적일 때는 정신내적 분화, 대인 관계적 분화, 삼각화, 정서적 단절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여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폐쇄적일 때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 때는 독립적-책임적, 동정적-수용적, 사교적-우호적, 과시적-도취적 성향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반항적- 불신적 성향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폐쇄적일 때는 사교적-우호적 성향과는 정적 상관을 지배적-우월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에서는 개방적일 때는 동정적-수용적, 사교적-우호적, 과시적-도취적 성향과는 정적 상관을 반항적-불신적 성향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폐쇄적일 때는 지배적-우월적, 경쟁적-공격적, 과시적-도취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홉째, 청소년의 자아분화정도와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과의 상관관계는 정신내적 분화는 독립적-책임적, 동정적-수용적 성향에서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지배적-우월적, 경쟁적-공격적, 과시적-도취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인 관계적 분화는 지배적-우월적, 경쟁적-공격적, 과시적-도취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삼각화는 지배적-우월적, 동정적-수용적, 경쟁적-공격적, 과시적-도취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정서적 단절은 지배적-우월적, 경쟁적-공격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정서체계를 통해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자아분화와 청소년들의 대인관계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정서체계를 통해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자아분화와 청소년들의 대인관계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5. 대인관계 성향은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6. 대인관계 성향은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7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8.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 대인관계 성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9.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청소년 대인관계 성향과 유의한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 설 1.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2.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3.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4.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5.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은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6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은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7.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분화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 설 8.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 설 9.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명시내 중학교 3개교, 고등학교 3개교 2학년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34부를 분석자료로 택하였다.
      측정 도구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관한 질문지는 Barens와Olsan(1982)이 제작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척도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의 자녀용 검사지를 우리의 문화적 정서에 맞게 김윤희(1989)가 번안한 것을 이용하였고, 자아분화척도는 자아분화를 가장 잘 측정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정신내적 분화, 대인 관계적 분화, 삼각화, 정서적 단절의 4가지 개념을 총 51개 문항으로 제작한 전춘애(1994)의 자아분화 척도를 총 44문항으로 재구성한 태옥경(1998)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대인관계성향은 Leary의 대인관계 행동모형과 Kresh(1962) 등이 밝힌 대인적 반응특성을 참조하여 안범희(1984)가 재구성한 ‘대인관계성향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를 위해서 SPSS/PC++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청소년들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자아분화, 대인관계성향의 기초 통계량의 산출을 위해 각 변인들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고 가설 검증을 위해 t-검정, Scheffe?-검증, Pearson 상관 분석을 하였으며 모든 가설은 유의수준 “.05이하”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가설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생에 따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에서는 아버지와의 의사소통 개방형, 폐쇄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녀에 따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활발해지고,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됨에 따라 양성평등사상이 자리매김함으로써 나타난 결과라고 생각된다.
      셋째, 중·고생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정신내적 분화와 대인 관계적 분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정신내적 분화와 대인 관계적 분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째, 남·녀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정신내적 분화수준이 더 높으며, 삼각화정도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고생에 따른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은 과시적-도취적 성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더 과시적-도취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남·녀에 따른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은 과시적-도취적 성향과 경쟁적-공격적 성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과시적-도취적, 경쟁적-공격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분화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 때는 정신내적 분화와 정서적 단절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폐쇄적일 때는 정신내적 분화, 삼각화, 정서적 단절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 때는 정서적 단절과 폐쇄적일 때는 정신내적 분화, 대인 관계적 분화, 삼각화, 정서적 단절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여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폐쇄적일 때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 때는 독립적-책임적, 동정적-수용적, 사교적-우호적, 과시적-도취적 성향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반항적- 불신적 성향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폐쇄적일 때는 사교적-우호적 성향과는 정적 상관을 지배적-우월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에서는 개방적일 때는 동정적-수용적, 사교적-우호적, 과시적-도취적 성향과는 정적 상관을 반항적-불신적 성향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폐쇄적일 때는 지배적-우월적, 경쟁적-공격적, 과시적-도취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홉째, 청소년의 자아분화정도와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과의 상관관계는 정신내적 분화는 독립적-책임적, 동정적-수용적 성향에서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지배적-우월적, 경쟁적-공격적, 과시적-도취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인 관계적 분화는 지배적-우월적, 경쟁적-공격적, 과시적-도취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삼각화는 지배적-우월적, 동정적-수용적, 경쟁적-공격적, 과시적-도취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정서적 단절은 지배적-우월적, 경쟁적-공격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문제 = 3
      • 3. 용어의 정의 = 3
      • 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 3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문제 = 3
      • 3. 용어의 정의 = 3
      • 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 3
      • 나. 자아분화 = 4
      • 다. 대인관계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1. 의사소통 = 5
      • 2.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 8
      • 3. 자아분화 = 10
      • 4. 대인관계 성향 = 12
      • 5.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분화와의 관계 = 13
      • 6.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와의 관계 = 14
      • 7. 자아분화와 대인관계 성향과의 관계 = 15
      • 8. 연구가설 = 16
      • Ⅲ. 연구방법 = 17
      • 1. 연구대상 = 17
      • 2. 연구도구 = 17
      • 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측정도구 = 17
      • 나. 자아분화 측정도구 = 18
      • 다. 대인관계 성향 측정도구 = 19
      • 3. 연구절차 = 21
      • 4. 자료처리방법 = 21
      •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22
      • 1. 조사 대상의 분포 = 22
      • 2. 학교에 따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분석 = 23
      • 3. 성별에 따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분석 = 24
      • 4. 배경변인에 따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일반적 경향 분석 = 25
      • 5. 학교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분화 분석 = 27
      • 6.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분화 분석 = 27
      • 7. 배경에 따른 청소년 자아분화의 일반적 경향 분석 = 28
      • 8. 학교에 따른 청소년의 대인관계성향 분석 = 32
      • 9.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 분석 = 33
      • 10. 배경변인에 따른 청소년 대인관계의 일반적 성향 분석 = 34
      • 1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분화와의 상관관계 분석 = 37
      • 12.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성향과의 상관관계 분석 = 38
      • 13. 자아분화와 대인관계 성향과의 상관관계 분석 = 40
      • Ⅴ. 논의 = 42
      • Ⅵ. 요약 및 결론 = 46
      • 1. 요약 = 46
      • 2. 결론 = 49
      • 참고문헌 = 51
      • 설문지 = 55
      • ABSTRACT = 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