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무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적의 위협무기에 의한 해상 전투 환경도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함정에 탑재된 고성능 무기 체계 및 장비는 일회 또는 수회의 타격(hit)만으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411108
인천 :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2011
한국어
Survivability ; Vulnerability ; FMEA ; FTA
인천
; 26cm
지도교수 :이장현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에 무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적의 위협무기에 의한 해상 전투 환경도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함정에 탑재된 고성능 무기 체계 및 장비는 일회 또는 수회의 타격(hit)만으로...
최근에 무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적의 위협무기에 의한 해상 전투 환경도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함정에 탑재된 고성능 무기 체계 및 장비는 일회 또는 수회의 타격(hit)만으로도 상대의 전투력뿐만 아니라 기동력의 상실, 침몰을 일으킬 수 있는 정도로 발전하였다. 최근 획득되는 함정은 첨단, 대형화되는 추세로 전투 중 손상되거나 기능을 상실할 경우 전력 약화에 따른 손실이 막심하다. 따라서 함정 설계 시 무기 체계 기능의 상실을 최소화하고 임무 수행 능력을 유지하고, 생존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설계 하여야 한다.
함정의 생존성(Survivability)은 전투 중에 임무를 수행하면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피격성(Susceptibility), 취약성(Vulnerability), 회복성(Recoverability) 으로 구성된다. 이 세가지는 함정 설계 및 건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함정 생존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설계/ 건조 등 획득과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 설계 요소 간 상호 관계를 고려한 생존성 최적화 방안이 필요함과 동시에 생존성 요소간의 상호 관계를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생존성을 평가하기 위한 통합 생존성 해석 방법의 이론적 근거가 필요하다.
함정 생존성 향상을 위해서 건조 가능성 검토 및 개념 연구 단계부터 생존성 향상을 위한 방안이 결정되어야 한다.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한 방안들이 상충될 수 있으나, 설계 및 획득 과정에서 상충요소를 모두 고려할 수 없으며, 효과가 가장 큰 대안을 정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함정의 생존성 강화를 위한 개별적인 기술들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생존성의 각 요소들인 피격성, 취약성, 회복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통합 생존성 평가 기술은 이론적 기반 정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실제 함정을 대상으로 생존성 검증을 위한 실험 평가는 막대한 비용과 인력, 시간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M&S를 이용하여 생존성 효과를 신속히 분석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함정 통합생존성 향상을 위한 해석 기법”에 대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함정 취약성 평가를 위한 절차적 방법론에 관한 연구로써, 구성품 FTA, FMEA분석 등 취약성 평가에 필요한 요소 기술 및 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