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장검무와 중국 고전검무의 미학적 특성을 활용한 무용창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8057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국민대학교 202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92.8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Dance Creation Utiliz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Long Sword Dance and Chinese Classical Sword Dance

      • 형태사항

        v, 70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이미영
        참고문헌 : p. 65-67

      • 소장기관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p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acting elements in a dance work. In general, proper use of dance props can show different image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changes at a specific point in time. In addition, the performer can rely on certain tools...

      Prop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acting elements in a dance work. In general, proper use of dance props can show different image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changes at a specific point in time. In addition, the performer can rely on certain tools to highlight their inner feelings and the image of the character, which helps to create a character in a dance work. Among them, the sword (劍) is a dance prop that draws attention especially in dance works. Because of its unique charm in the history of the sword, it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and influence in the development of martial arts and Chinese drama and dance.
      In Chinese mythology, most of the characters occupying important positions such as great kings, warriors, and leaders are swords. In fact, it is difficult to prove that the records of the sword are vague and that the date is too old.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sword was not just born, but was constantly improved and developed by some weapon devised by people. Carl has not only the bad side of war, but also the good side of dance entertainment. In the Age of Cold Weapons, the role of the sword was to protect itself and the enemy in battle. In an era when the social environment was stable, the sword disappeared into history and transformed into a martial art tool that strengthens the body. As material life improves, kendo, a martial art tool, tends to change significantly according to contemplativeness. As a result, the role of the sword was also changed from the existing weapon defense function to the character of showmanship.
      The sword's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nts could not be realized and expressed as props because the scenes used in dance were often simple and overlapping. In this way, the artistic image of dance is not well expressed, and the expression of emotion or artistic influence is in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commonalities and individual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aesthetic comparison of the long sword dances of Korea and China, and to create a new dance work using these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origin, formation process, composition,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long sword dance and Chinese classical sword dance were collected and studied. In particular, i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par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 can be intuitively seen through the study of three directions: the fluid beauty of space, the beauty of movement, and the symbolic beauty of props. Therefore, in the creative analysis of dance works, this researcher also created through the fluid beauty of the dance space, the form beauty of the dance movements, and the symbolic beauty of the dance tools. In the creation of a dance work, the researcher created the choreography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based on the existing form of traditional dance that has been handed down without following the method of organizing modern dance. This study provide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creation of long sword dance works in both Korea and China in the future. In the future, I hope that better research on the theory of re-creation of traditional dance will be conducted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current state of dance creation according to the times based on the essence of traditional dance in each coun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소품은 무용 작품에서 매우 중요한 연기 요소 중 하나이다. 통상적으로 무용 소품에 대한 적절한 활용은 특정 시점에서 각기 다른 이미지 특성과 감정 변화를 보여줄 수 있다. 또 공연자가 ...

      소품은 무용 작품에서 매우 중요한 연기 요소 중 하나이다. 통상적으로 무용 소품에 대한 적절한 활용은 특정 시점에서 각기 다른 이미지 특성과 감정 변화를 보여줄 수 있다. 또 공연자가 일정한 도구에 의지해 내면적 감정과 인물의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어 무용 작품 속 인물을 만드는 데도 도움이 된다. 이 중 ‘검(劍)'은 무용 소품으로 무용 작품에서 특히 눈길을 끄는 존재다. 검은 역사 속에서 발휘되는 독특한 매력 때문에 무술과 중국 희곡 무용의 발전에 있어 중요한 지위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중국 신화 이야기에서 위대한 제왕, 전사, 지도자 등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캐릭터들의 신병리기(神兵利器)는 대부분 검이다. 사실 검에 대한 기록이 모호(模糊)하고, 연대가 너무 오래됐다는 사실은 입증하기 어렵다. 그러나 검은 그냥 생겨난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고안해 낸 어떤 무기에 의해 끊임없이 개량되어 발전해 왔다고 볼 수 있다. 칼은 전쟁의 나쁜 면뿐만 아니라 댄스 엔터테인먼트의 좋은 면도 있다. 냉병기(冷兵器) 시대에 검의 역할은 전투에서 적과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었다. 사회 환경이 안정된 시대에 검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몸을 튼튼히 하는 무술 도구로 변모하였다. 물질적 생활이 향상되면서 무술 도구인 검도 관상(觀賞)성에 따라 더 크게 바뀌는 추세(趨勢)이다. 이로써 검의 역할도 기존의 무기 방어 기능에서 쇼맨십의 성격으로 바뀌었다.
      검은 그동안 춤에서 활용되는 장면이 단순하고 중복되는 경우가 많아 검이 지닌 문화적 역사적 내용을 소품으로 구현하고 표현할 수 없었다. 이렇게 춤의 예술적 이미지가 잘 표현되지 않고 감정 표현이나 예술적 영향이 미미하다(동강, 2014). 따라서 본 연구는 한·중 양국 장검무의 역사적 배경과 미학적 비교를 통해 양자의 공통성과 개성을 찾아내고, 이러한 특성을 이용한 새로운 무용작품 창작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 장검무 및 중국 고전검무의 기원, 형성과정, 무용의 구성, 미학적 특성 등을 수집·연구하였다. 특히 미학적 특성 부분에서는 공간의 유동미, 동작의 형태미, 소품의 상징미의 3가지 방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한·중 양국의 장검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직관적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무용작품의 창작분석에서도 마찬가지로 무용 공간의 유동미, 무용 동작의 형태미, 무용 도구의 상징미를 통해 창작하였다. 무용작품의 창작에서 본 연구자는 현대무용의 편성방법을 따르지 않고 전승되어 온 전통무용의 기존 형식을 바탕으로 시대적 흐름에 맞게 안무를 만들었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한·중 양국의 장검무 작품 창작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앞으로도 각국의 전통 무용의 본질을 바탕으로 시대에 따른 무용 창작의 현황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통해 더 나은 전통 무용 재창작 이론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6
      • Ⅱ. 이론적 배경 9
      • 1. 한·중 양국 장검무의 형성과정 9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6
      • Ⅱ. 이론적 배경 9
      • 1. 한·중 양국 장검무의 형성과정 9
      • 2. 한·중 양국 장검무의 구성 17
      • Ⅲ. 한 · 중 양국 장검무의 미학적인 특성 35
      • 1. 공간의 유동미 35
      • 2. 동작의 형태미 43
      • 3. 소품의 상징미 45
      • Ⅳ. 한 · 중 양국 장검무의 미학적 특성을 활용한 무용창작 49
      • 1. 공간의 유동미 52
      • 2. 동작의 형태미 56
      • 3. 소품의 상징미 60
      • Ⅴ. 결론 62
      • 참고문헌 65
      • Abstract 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