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리 산물처리에 의한 품질변화와 생력효과 = Effects of Post-Harvest Bulk Management System Using Rice Processing Complex on Labor Saving and Quality of Barle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690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st-harvest treatment for barley production requires many steps including drying, cleaning, and packing, and these steps be needed many labor input. Rice processing complex (RPC) is useful for post harvest management system in rice production. However, it is rare to be used for barley prod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variations of quality and labor saving between conventional method and bulk-management system in post-harvest using RPC. The sorting rate was not different between manual method and bulk management. The hardness of non-polished grain was ranged 10,175-10,329 g/3.14 ㎟, and that for non-polished grain was higher than that for polished grain, but there was not different between drying method. There was not be showed the hunter''''s value such as L, a and b according to drying method. Cooking characters such as water absorption ratio, swelling ratio, and water soluble extracts by circulated or continued dryer was higher than manual drying using solar heat. Labor input per ha for each cultivation process in bulk-management of barley using rice processing complex was 21 hours, compared to 46 hr/ha in the conventional method, labor input was greatly saved by up to 54.3% in the post-harvest bulk management system.
      번역하기

      Post-harvest treatment for barley production requires many steps including drying, cleaning, and packing, and these steps be needed many labor input. Rice processing complex (RPC) is useful for post harvest management system in rice production. Howeve...

      Post-harvest treatment for barley production requires many steps including drying, cleaning, and packing, and these steps be needed many labor input. Rice processing complex (RPC) is useful for post harvest management system in rice production. However, it is rare to be used for barley prod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variations of quality and labor saving between conventional method and bulk-management system in post-harvest using RPC. The sorting rate was not different between manual method and bulk management. The hardness of non-polished grain was ranged 10,175-10,329 g/3.14 ㎟, and that for non-polished grain was higher than that for polished grain, but there was not different between drying method. There was not be showed the hunter''''s value such as L, a and b according to drying method. Cooking characters such as water absorption ratio, swelling ratio, and water soluble extracts by circulated or continued dryer was higher than manual drying using solar heat. Labor input per ha for each cultivation process in bulk-management of barley using rice processing complex was 21 hours, compared to 46 hr/ha in the conventional method, labor input was greatly saved by up to 54.3% in the post-harvest bulk management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보리의 산물처리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미곡종합처리장을 이용한 보리 산물처리시 품질변화와 생력효과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정립율은 2.5-2.2㎜의 비율이 가장 많았으며, 건조방식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2. 경도는 건조방식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색도는 산물건조와 관행인 천일건조와 차이는 없었다. 3. 흡수율은, 고형용출물, 퍼짐성 등의 취반특성은 건조방식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4. 산물처리에 의하여 관행의 ha당 46시간에 비하여 21시간으로 54.3%의 생력효과가 있었고, 수확 후 관리는 54.3% 생력화되었다. 5. 산물처리로 수확 후 관리노력이 관행에 비하여 ha당 25시간이 절감되어 101,83원의 경영비 절감효과가 있었다.
      번역하기

      보리의 산물처리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미곡종합처리장을 이용한 보리 산물처리시 품질변화와 생력효과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정립율은 2.5-2.2㎜의 비율이 ...

      보리의 산물처리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미곡종합처리장을 이용한 보리 산물처리시 품질변화와 생력효과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정립율은 2.5-2.2㎜의 비율이 가장 많았으며, 건조방식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2. 경도는 건조방식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색도는 산물건조와 관행인 천일건조와 차이는 없었다. 3. 흡수율은, 고형용출물, 퍼짐성 등의 취반특성은 건조방식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4. 산물처리에 의하여 관행의 ha당 46시간에 비하여 21시간으로 54.3%의 생력효과가 있었고, 수확 후 관리는 54.3% 생력화되었다. 5. 산물처리로 수확 후 관리노력이 관행에 비하여 ha당 25시간이 절감되어 101,83원의 경영비 절감효과가 있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9 0.9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