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한반도산 관중속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관중과)의 분류학적 연구 = A systematic study of Dryopteris subg. Erythrovariae (H. Itô) Fraser-Jenk. (Dryopteridaceae)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934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axa of Dryopteris subg. Erythrovariae are variable in morphology, resulting in taxonomic con- fusion in delimiting taxon boundaries. We examin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embers of subg. Erythrovariae to clarify their taxonomic identities and relationships. The shapes of the blades, pinnae, and pinnule apices, the shapes and colors of the scales, and the positions of sori were useful for delimiting the Korean taxa of the subgen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evidence from previous studies, 13 taxa comprising 12 species and one variety of Dryopteris subg. Erythrovariae were recognized in Korea. Descrip- tions of all Korean taxa of the subg. Erythrovariae and a key to the species are provided. The descriptions pre- sented here are based on field observations and the examination of some 1,000 specimens from the major herbaria of the world.
      번역하기

      The taxa of Dryopteris subg. Erythrovariae are variable in morphology, resulting in taxonomic con- fusion in delimiting taxon boundaries. We examin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embers of subg. Erythrovariae to clarify their taxon...

      The taxa of Dryopteris subg. Erythrovariae are variable in morphology, resulting in taxonomic con- fusion in delimiting taxon boundaries. We examin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embers of subg. Erythrovariae to clarify their taxonomic identities and relationships. The shapes of the blades, pinnae, and pinnule apices, the shapes and colors of the scales, and the positions of sori were useful for delimiting the Korean taxa of the subgen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evidence from previous studies, 13 taxa comprising 12 species and one variety of Dryopteris subg. Erythrovariae were recognized in Korea. Descrip- tions of all Korean taxa of the subg. Erythrovariae and a key to the species are provided. The descriptions pre- sented here are based on field observations and the examination of some 1,000 specimens from the major herbaria of the wor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관중속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에 속하는 분류군들은 형태적으로 변이가 심하여, 분류군의 한계 해 석에 대한 견해 차이가 심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산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의 분류군들을 대상으로 외 부형태학적 식별 형질을 검토하여 분류군들의 한계 및 유연관계를 파악하고 각 분류군들의 분류학적 실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엽신, 우편 및 소우편 선단부의 형태, 인편의 형태 및 색, 포막의 위치 등이 본 아속에 속하는 한반도산 분류군들을 구분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와 기존의 결과를 종 합하여 한반도산 관중속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을 12종 1변종의 13분류군으로 정리하였으며, 이들 분류군 에 대한 기재 및 종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재는 야외 관찰 결과 및 전세계 주요 표본 관에 소장된 1,000여점의 표본에 근거하여 작성하였다.
      번역하기

      관중속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에 속하는 분류군들은 형태적으로 변이가 심하여, 분류군의 한계 해 석에 대한 견해 차이가 심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산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의 분...

      관중속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에 속하는 분류군들은 형태적으로 변이가 심하여, 분류군의 한계 해 석에 대한 견해 차이가 심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산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의 분류군들을 대상으로 외 부형태학적 식별 형질을 검토하여 분류군들의 한계 및 유연관계를 파악하고 각 분류군들의 분류학적 실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엽신, 우편 및 소우편 선단부의 형태, 인편의 형태 및 색, 포막의 위치 등이 본 아속에 속하는 한반도산 분류군들을 구분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와 기존의 결과를 종 합하여 한반도산 관중속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을 12종 1변종의 13분류군으로 정리하였으며, 이들 분류군 에 대한 기재 및 종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재는 야외 관찰 결과 및 전세계 주요 표본 관에 소장된 1,000여점의 표본에 근거하여 작성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선은미, "한반도 희귀양치식물 2종의 신분포지 보고" 한국식물분류학회 42 (42): 167-170, 2012

      2 김철환, "한국산 미기록 양치식물 : 흰비늘고사리, 남도톱지네고사리, 매기지네고사리 (관중과)" 한국식물분류학회 34 (34): 27-35, 2004

      3 Kramer, K. U., "n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vol. 1" Springer-Verlag 101-144, 1990

      4 Chang, H. -M., "Supplements to the Pteridophytes in Taiwan (III)- Dryopteris championii (Benth.) C. Chr. ex Ching (Dryopteridaceae)" 52 : 238-242, 2007

      5 Chang, H. -M., "Supplements to the Pteridophytes in Taiwan (I) - Dryopteris decipiens (Hook.)Kuntze (Dryopteridaceae)" 48 : 197-202, 2003

      6 Tryon, A. F, "Spores of Pteridophyta" Springer-Verlag 1991

      7 Lee, S.-J., "Spore morphology of the genus Dryopteris Adans. (Dryopteridaceae) in Korea" 57 : 302-311, 2014

      8 Hori, K, "Reticulate evolution in the apogamous Dryopteris varia complex (Dryopteridaceae, subg. Erythrovariae, sect. Variae) and its related sexual species in Japan" 127 : 661-684, 2014

      9 Lee, S.-J, "Relationships and origins of the Dryopteris varia (L.) Kuntze species complex (Dryopteridaceae)in Korea inferred from nuclear and chloroplast DNA sequences" 50 : 371-382, 2013

      10 Knobloch, I. W, "Pteridophyte hybrids. Publications of the Museum, Michigan State University" 5 : 273-352, 1976

      1 선은미, "한반도 희귀양치식물 2종의 신분포지 보고" 한국식물분류학회 42 (42): 167-170, 2012

      2 김철환, "한국산 미기록 양치식물 : 흰비늘고사리, 남도톱지네고사리, 매기지네고사리 (관중과)" 한국식물분류학회 34 (34): 27-35, 2004

      3 Kramer, K. U., "n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vol. 1" Springer-Verlag 101-144, 1990

      4 Chang, H. -M., "Supplements to the Pteridophytes in Taiwan (III)- Dryopteris championii (Benth.) C. Chr. ex Ching (Dryopteridaceae)" 52 : 238-242, 2007

      5 Chang, H. -M., "Supplements to the Pteridophytes in Taiwan (I) - Dryopteris decipiens (Hook.)Kuntze (Dryopteridaceae)" 48 : 197-202, 2003

      6 Tryon, A. F, "Spores of Pteridophyta" Springer-Verlag 1991

      7 Lee, S.-J., "Spore morphology of the genus Dryopteris Adans. (Dryopteridaceae) in Korea" 57 : 302-311, 2014

      8 Hori, K, "Reticulate evolution in the apogamous Dryopteris varia complex (Dryopteridaceae, subg. Erythrovariae, sect. Variae) and its related sexual species in Japan" 127 : 661-684, 2014

      9 Lee, S.-J, "Relationships and origins of the Dryopteris varia (L.) Kuntze species complex (Dryopteridaceae)in Korea inferred from nuclear and chloroplast DNA sequences" 50 : 371-382, 2013

      10 Knobloch, I. W, "Pteridophyte hybrids. Publications of the Museum, Michigan State University" 5 : 273-352, 1976

      11 Christ, H., "Plantae Hochreutineranae: Filices" 15 (15): 178-222, 1912

      12 Itô, H., "Nuntia ad filices Japonicae (II)" 10 : 450-451, 1934

      13 Ching, R. C., "Novitates Filicum Sinicarum I. Botanical Research: Contributions from the Institute of Botany" 2 : 1-35, 1987

      14 Itô, H, "Nova Flora Japonica, vol. 4" Saneide Co 1-244, 1939

      15 Nakai, T., "Notulae ad plantas Asiae orientalis (XX)" 18 : 281-292, 1942

      16 Shing, K.-H, "New species of pteridophytes from Jiangxi province" 8 (8): 43-49, 1990

      17 Nakaike, T., "New flora of Japan, Revised and enlarged ed" 1992

      18 Ching, R. C., "New ferns of Zhejiang province" 3 (3): 1-35, 1983

      19 Lee, Y. N., "New Flora of Korea. Vol. I" Kyo-Hak Publishing Co 2006

      20 Lee, S.-J, "Morphological and chromosomal variation of the Dryopteris varia (L.) Kuntze complex (Dryopteridaceae) in Korea" 262 : 37-52, 2006

      21 Zhang, L. B, "Molecular circumscription and major evolutionary lineages of the fern genus Dryopteris (Dryopteridaceae)" 12 : 180-, 2012

      22 Lee, W. T.,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1996

      23 Kim, C. H,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90-98, 2007

      24 Iwatsuki, K., "In Flora of Japan. Pteridophyta and Gymnospermae, vol. I" Kodansha 120-173, 1995

      25 Zhang, L. B, "In Flora of China, Vol. 2−3" Science Press;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541-724, 2013

      26 Lee, T. B.,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1980

      27 Park, M. K.,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Pteridophyta, vol. 16" Samhamunhwasa 1975

      28 Ohwi, J., "Flora of Japan" Pteridophyta 1957

      29 이창숙, "First record of Cyrtomium laetevirens and Dryopteris simasakii var. paleacea (Dryopteridaceae) from Korea" 한국식물분류학회 43 (43): 171-180, 2013

      30 Itô, H., "Filices Japonenses. V" 50 : 125-128, 1936

      31 Nakaike, T., "Enumeratio Pteridophytarum Japonicarum; Filicales" University of Tokyo Press 1975

      32 Lin, S.-J, "Electrophoretic variation of the apogamous Dryopteris varia group (Dryopteridaceae)" 108 : 451-456, 1995

      33 Ebihara, A., "Cytotaxonomic studies on thirteen ferns of Taiwan" 40 : 19-28, 2014

      34 Hirabayashi, H., "Cytogeographic Studies on Dryopteris of Japan" Harashobo 1974

      35 Nakai, T., "Critical note of Japanese ferns, with special references to the allied species" 39 : 101-121, 1925

      36 Koidzumi, G., "Contributiones ad cognitionem florae Asiae orientalis" 1 : 11-30, 1932

      37 Tagawa, M., "Coloured Illustrations of the Japanese Pteridophyta" Hoikusha 1959

      38 Mitui, K., "Chromosome numbers of Japanese pteridophytes" 4 : 221-271, 1975

      39 Ohba, H., "A taxonomic study on pteridophytes of the Bonin and Volcano Islands. Science Reports of the Tohoku Imperial University, Series 4" 36 : 75-127, 1971

      40 Nakai, T.,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31 : 1-152, 1952

      41 Serizawa, S., "A revision of the dryopteroid ferns in Japan and adjacent regions" 16 : 109-148, 1976

      42 Fraser-Jenkins, C. R., "A monograph of Dryopteris (Pteridophyta:Dryopteridaceae) in the Indian subcontinent" 18 : 323-477, 1989

      43 Nakato, N, "A cytotaxonomic study of some ferns from Jiangsu and Zhejiang Province, China" 70 : 194-204, 1995

      44 Fraser-Jenkins, C. R., "A classification of the genus Dryopteris (Pteridophyta: Dryopteridaceae)" 14 : 183-218,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9-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43 0.52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