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의 시에는 과학, 수학, 의학 등 다양한 근대 학문적 요소들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때 등장하는 근대 학문적 이론들은 단순히 시적 수사로 활용되는 선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상의 시에는 과학, 수학, 의학 등 다양한 근대 학문적 요소들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때 등장하는 근대 학문적 이론들은 단순히 시적 수사로 활용되는 선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
이상의 시에는 과학, 수학, 의학 등 다양한 근대 학문적 요소들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때 등장하는 근대 학문적 이론들은 단순히 시적 수사로 활용되는 선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를 구성하는 주요 방법론이자 모티프로서 기능한다. 그런데 이렇게 근대 학문적 이론들을 적극적으로 차용하는 모습은 이상이 근대 학문에 대한 반감을 작품에서 드러냈던 것과 상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상이 자신에게 부정적 대상이었던 근대 학문에 오히려 몰입하고 있는 모습에 대하여 근대 학문의 부정성을 마냥 회피하거나 거부할 수만은 없었던 근대적 주체로서의 노력으로 파악해 보았고, 그러한 태도를 ‘투신’이라고 규정하였다. 그의 이러한 ‘투신’적 태도는 헤겔이 새로운 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주체의 역할을 고민하였던 것과 상통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헤겔에게 주체성이란 부정적인 것을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직시하고 그 곁에 머무름으로써 그 부정성을 진정한 ‘존재’로 뒤바꾸는 일종의 마력(魔力)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결국 근대인 이상이 근대 학문이란 낯선 조류(潮流) 앞에서 선택한 대응 방식은 도리어 근대 학문에 직접 ‘투신’함으로써 부정성과 함께 머물고 궁극적으로 그 부정성을 초월하려는 분투였다는 것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이상이 근대 학문의 부정성에 ‘투신’한 결과를 ‘과학’, ‘수학’, ‘의학’을 중심으로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중에서도 ‘과학’과 ‘수학’은 이론적 초월을 통해서, ‘의학’은 실천적 행위를 통해서 학문적 부정성을 극복하고자 하였음을 보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현수, "현대의 진단서: 이상 문학에 나타난 중첩의 양상" 고려대학교 2021
2 허재영, "한국 근대 계몽운동의 사상적 기반" 경진출판 2019
3 G. W. F. 헤겔, "정신현상학" 동서문화사 2011
4 김주현, "정본 이상문학전집 전 3권" 소명출판 2009
5 김정동, "일본을 걷는다 : 일본 속의 한국 근대사 현장을 찾아서" 한양출판 1997
6 윤수하, "이상의 시, 예술 매체를 노닐다" 지식산업사 2016
7 김학은, "이상의 시 괴델의 수" 보고사 2014
8 김태화, "이상의 수 베리에이션과 형상화이미지" 이상문학회 14 : 5-69, 2018
9 신범순, "이상의 무한정원 삼차각나비" 현암사 2007
10 김기림, "이상선집" 백양당 1949
1 유현수, "현대의 진단서: 이상 문학에 나타난 중첩의 양상" 고려대학교 2021
2 허재영, "한국 근대 계몽운동의 사상적 기반" 경진출판 2019
3 G. W. F. 헤겔, "정신현상학" 동서문화사 2011
4 김주현, "정본 이상문학전집 전 3권" 소명출판 2009
5 김정동, "일본을 걷는다 : 일본 속의 한국 근대사 현장을 찾아서" 한양출판 1997
6 윤수하, "이상의 시, 예술 매체를 노닐다" 지식산업사 2016
7 김학은, "이상의 시 괴델의 수" 보고사 2014
8 김태화, "이상의 수 베리에이션과 형상화이미지" 이상문학회 14 : 5-69, 2018
9 신범순, "이상의 무한정원 삼차각나비" 현암사 2007
10 김기림, "이상선집" 백양당 1949
11 주현진, "이상(李箱) 문학의 근대성 : ‘의학-육체-개인’" 한국시학회 (23) : 377-417, 2008
12 김민수, "이상 평전" 그린비 2012
13 조해옥, "이상 시의 근대성 연구 : 육체의식을 중심으로" 소명출판 2001
14 오상현, "이상 시의 4차원 시공간 설계 및 건축: 「삼차각설계도」와 「건축무한육면각체」의 연결, 그리고 차원 확장-"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54 : 107-156, 2021
15 이고은, "이상 시에 나타난 디자인적 사고에 대한 고찰" 중앙대학교 2016
16 배영신, "이상 시"선에 관한 각서"를 통해 본 디자인관" 한국콘텐츠학회 141-145, 2009
17 김명환, "이상 문학 연구 60년" 문학사상사 165-182, 1998
18 조두영, "이상 문학 연구 60년" 문학사상사 113-132, 1998
19 최춘언, "알기 쉬운 비타민 이야기" 식품저널 2009
20 한스 울리히, "비타민 쇼크" 21세기북스 2005
21 채연진, "문학작품 속에 나타난 자아에 관한 시각표현 연구 : 이상의 시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22 김성수, "몸으로 세계를 보다-동아시아 해부학의 성립과 발전"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23 정민재, "근대 의학 수용에 대한 자주적 노력-개항에서 대한제국시기까지-" 한성사학회 21 : 2006
24 김지우, "근대 사회와 그 속의 자신을 진단하는 지식인-「AU MAGASIN DE NOUVEAUTES」를 중심으로" The Korean Poetics Studies Society null (null): 169-198, 2019
25 김유중, "그리운 그 이름, 이상" 지식산업사 2004
26 제임스 래디먼, "과학철학의 이해" 이학사 2003
27 김면수, "결핵의 수사와 임상적 상상력" 민족문학사학회 19 : 200-225, 2001
28 송민호, "‘이상’이라는 현상" 예옥 2014
29 안상수, "‘이상’ 시의 타이포그라피적 해석" 한국디자인학회 9 : 78-94, 1995
30 Kyunghee Shin, "Mathematical Expressions and their Meanings in Lee Sang's Poetry" The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Mathematics 29 (29): 89-102, 2016
31 김용섭, "'이상' 시의 언어학적 해석을 통한 건축공간화에 관한 연구 : 언어의 시각(Typography)적 해석방법을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0
鳥瞰하는 시선×透視하는 시선-이상(李箱)ㆍ후지시마 가이지로(藤島亥治郎)ㆍ라즐로 모홀리-나기(László Moholy-Na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