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쟁환경이 자아존중감, 교우관계, 학교불만족, 비행에 미치는 영향 ― 2006, 2009 다집단 분석 ― = The influence of a competitive environment on self-esteem, peer relations, school dissatisfaction, and delinquency: Cross-group analysis of 2006 and 200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07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a competitive environment on self-esteem, peer relations, school dissatisfaction, and delinquency for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data from KEDI,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Qualities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 of a competitive environment to variables. Moreover, the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in 2006 and 2009, by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respective educational policies of the previous two Government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cross-group analysis are u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competitive environment does not influence status delinquency, but helps the development of self-esteem and encourages the formation of close peer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high level of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school dissatisfaction, status delinquency and criminal acts of high school students. Status delinquenc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riminal acts.
      Second, with regard to the difference between 2006 and 2009 groups,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of a competitive environment, but rather the motivation in 2006 is more powerful than the one in 2009. This result supports the opinion that there are only several changes of government with no change to the basis of educational policy. More details about it emerge. Both the negative and positive effects of a competitive environment coexist in 2006, but the negative effect has decreased in 2009. Although a competitive environment reduces school dissatisfaction in 2009, a non-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m is discovered in 2006. In addition, school dissatisfaction is higher in 2006 than in 2009. As a reason for this finding, this study discusses the possibility that the high level of socio-economic status would relieve school dissatisfa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empirical attemp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ompetitive environment, in contrast to the previous qualitative studies. The study’s limitations is not controlling variables such as SES, gender and achievement.
      번역하기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a competitive environment on self-esteem, peer relations, school dissatisfaction, and delinquency for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data from KEDI,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Qualities of ...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a competitive environment on self-esteem, peer relations, school dissatisfaction, and delinquency for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data from KEDI,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Qualities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 of a competitive environment to variables. Moreover, the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in 2006 and 2009, by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respective educational policies of the previous two Government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cross-group analysis are u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competitive environment does not influence status delinquency, but helps the development of self-esteem and encourages the formation of close peer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high level of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school dissatisfaction, status delinquency and criminal acts of high school students. Status delinquenc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riminal acts.
      Second, with regard to the difference between 2006 and 2009 groups,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of a competitive environment, but rather the motivation in 2006 is more powerful than the one in 2009. This result supports the opinion that there are only several changes of government with no change to the basis of educational policy. More details about it emerge. Both the negative and positive effects of a competitive environment coexist in 2006, but the negative effect has decreased in 2009. Although a competitive environment reduces school dissatisfaction in 2009, a non-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m is discovered in 2006. In addition, school dissatisfaction is higher in 2006 than in 2009. As a reason for this finding, this study discusses the possibility that the high level of socio-economic status would relieve school dissatisfa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empirical attemp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ompetitive environment, in contrast to the previous qualitative studies. The study’s limitations is not controlling variables such as SES, gender and achiev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경쟁환경이 자아존중감, 교우관계, 학교불만족, 비행에 미 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경쟁환경과 각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를 살펴보고, 이전 두 정부의 상이한 교육정책에 따른 교육에서의 경쟁환경과 변인들 관계에서도 차이가 있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경쟁환경과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경쟁환경이 직접적으로 청소년 지위비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경쟁환경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교우적응을 높여 원만한 교우관계를 형성하는 데 조력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높은 자아존중감과 원만한 교우관계는 학교불만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지위비행과 범죄행위를 줄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지위비행 참여가 많을수록 범죄행위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2006년 고등학생과 2009년 고등학생 집단 간 차이를 보면, 경쟁환경이 이전에 비해 증가하는 양상이 아닌, 오히려 동기부여의 경우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몇 번의 정권교체만 있었을 뿐 기본적인 교육정책의 기조는 변한 것이 없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일부 지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경쟁환경과 각 변인들 간의 경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2006년 집단에서 경쟁환경은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가 공존하고 있었다면, 2009년 집단에서는 부정적 효과가 점차 사라졌다. 예컨대 경쟁환경이 2009년에는 학교불만족을 감소시키는 반면, 2006년 집단에서는 그러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게다가 학교불만족이 2006년 집단이 2009년에 비해 다소 높았는데, 이를 뒷받침할 근거로 월소득, 교육비 부담 정도 등을 비추어 볼 때, 2009년 집단의 보다 높은 가정경제적 배경이 학교부적응을 완화해 학교에 대한 불만족을 감소시킬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가 과도한 경쟁이 유발하는 교육문제에 철학적, 사회경제학적 논의를 위주로 하였다면, 본 연구는 경쟁환경이 가지는 부정적, 긍정적 영향에 대해 보다 실증적으로 살펴본 데에 의의가 있겠다. 그러나 여전히 제기되는 가정배경 요인, 성별, 성취 요인 등 다양한 요인을 통제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한계점이 있으며 보다 심층적인 추후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경쟁환경이 자아존중감, 교우관계, 학교불만족, 비행에 미 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경쟁환경이 자아존중감, 교우관계, 학교불만족, 비행에 미 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경쟁환경과 각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를 살펴보고, 이전 두 정부의 상이한 교육정책에 따른 교육에서의 경쟁환경과 변인들 관계에서도 차이가 있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경쟁환경과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경쟁환경이 직접적으로 청소년 지위비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경쟁환경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교우적응을 높여 원만한 교우관계를 형성하는 데 조력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높은 자아존중감과 원만한 교우관계는 학교불만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지위비행과 범죄행위를 줄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지위비행 참여가 많을수록 범죄행위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2006년 고등학생과 2009년 고등학생 집단 간 차이를 보면, 경쟁환경이 이전에 비해 증가하는 양상이 아닌, 오히려 동기부여의 경우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몇 번의 정권교체만 있었을 뿐 기본적인 교육정책의 기조는 변한 것이 없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일부 지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경쟁환경과 각 변인들 간의 경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2006년 집단에서 경쟁환경은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가 공존하고 있었다면, 2009년 집단에서는 부정적 효과가 점차 사라졌다. 예컨대 경쟁환경이 2009년에는 학교불만족을 감소시키는 반면, 2006년 집단에서는 그러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게다가 학교불만족이 2006년 집단이 2009년에 비해 다소 높았는데, 이를 뒷받침할 근거로 월소득, 교육비 부담 정도 등을 비추어 볼 때, 2009년 집단의 보다 높은 가정경제적 배경이 학교부적응을 완화해 학교에 대한 불만족을 감소시킬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가 과도한 경쟁이 유발하는 교육문제에 철학적, 사회경제학적 논의를 위주로 하였다면, 본 연구는 경쟁환경이 가지는 부정적, 긍정적 영향에 대해 보다 실증적으로 살펴본 데에 의의가 있겠다. 그러나 여전히 제기되는 가정배경 요인, 성별, 성취 요인 등 다양한 요인을 통제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한계점이 있으며 보다 심층적인 추후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미옥, "협동학습과 경쟁학습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한국교육종단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2 (12): 1-23, 2011

      2 신평, "현 정부의 초․중등교육정책에 대한 헌법적 관점에서의 검토"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6 (16): 109-132, 2010

      3 김경식, "한국의 학급풍토 연구의 동향" 9 (9): 1-30, 1999

      4 정순우, "한국사회 교육열에 관한 역사․문화적 접근" 9 (9): 1-16, 1999

      5 박혜경, "한국 중산층의 자녀교육 경쟁과 ‘전업 어머니’정체성" 한국여성학회 25 (25): 5-33, 2009

      6 김아영, "학업능력 집단별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 간의 관계: 학업동기유형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543-562, 2012

      7 류방란, "학교학습부적응에 미치는 가정과 학교의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학회 46 (46): 179-208, 2008

      8 조아미,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4 (4): 123-136, 2007

      9 박혜정,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관련 변인 및 자아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115-130, 2005

      10 장영애,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가정관련 변인의 영향력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 (20): 91-102, 2009

      1 서미옥, "협동학습과 경쟁학습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한국교육종단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2 (12): 1-23, 2011

      2 신평, "현 정부의 초․중등교육정책에 대한 헌법적 관점에서의 검토"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6 (16): 109-132, 2010

      3 김경식, "한국의 학급풍토 연구의 동향" 9 (9): 1-30, 1999

      4 정순우, "한국사회 교육열에 관한 역사․문화적 접근" 9 (9): 1-16, 1999

      5 박혜경, "한국 중산층의 자녀교육 경쟁과 ‘전업 어머니’정체성" 한국여성학회 25 (25): 5-33, 2009

      6 김아영, "학업능력 집단별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 간의 관계: 학업동기유형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543-562, 2012

      7 류방란, "학교학습부적응에 미치는 가정과 학교의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학회 46 (46): 179-208, 2008

      8 조아미,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4 (4): 123-136, 2007

      9 박혜정,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관련 변인 및 자아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115-130, 2005

      10 장영애,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가정관련 변인의 영향력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 (20): 91-102, 2009

      11 오영경, "청소년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51-64, 2010

      12 김경식, "청소년 비행의 영향 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7 (17): 1-22, 2007

      13 박현수, "청소년 비행발전의 영향요인 : 비행친구와 자아통제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365-399, 2009

      14 이은주, "청소년 비행과 비행친구의 인과관계에 대한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델의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41-171, 2009

      15 성기선, "참여정부의 교육정책 : 고교평준화" 23 : 78-96, 2007

      16 정광호, "정책실패의 연관 요인 탐색 -중앙일간지 사설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16 (16): 1-29, 2009

      17 정익중, "자아존중감과 청소년비행 간의 상호적 영향"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1 (31): 133-159, 2006

      18 김은주, "자기결정성이 내재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도 및 협동학습 선호도와 경쟁학습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44 (44): 271-300, 2006

      19 이영호, "입시경쟁 교육체제에서의 청소년 학습문화" 한국교육사회학회 12 (12): 135-171, 2002

      20 조상식,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24 : 38-53, 2008

      21 노진철, "신자유주의와 학교폭력의 연계성" 93 : 45-57, 2012

      22 정규석, "사회적 관계요인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235-252, 2004

      23 정소희, "부부갈등, 부모양육행동, 자아통제력이 청소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분석 : 비행친구와 학교부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145-170, 2007

      24 황여정, "능력별 집단편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20 (20): 191-222, 2010

      25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26 이지헌, "교육에 있어서 경쟁에 관하여" 3 : 51-58, 1982

      27 이두휴, "교육경쟁의 정치경제학적 분석" 9 (9): 159-176, 1999

      28 정훈, "교육 시장화 정책의 전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철학학회 43 (43): 151-172, 2008

      29 장사형, "경쟁의 도덕성과 그 교육적 함의"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6 (56): 223-244, 2008

      30 정문성, "경쟁만을 가르치는 수업바꾸기" 125 : 112-117, 2000

      31 정용교, "경쟁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및 대안: 현장 사회과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8 (18): 91-106, 2011

      32 박거용, "경쟁과 효율 담론은 과연 교육적인가" 39 : 58-80, 2010

      33 Gay, J. E., "The negative side effects of retention, academic competition, and punishment" 113 (113): 434-438, 1993

      34 Haertel, Geneva D., "Socio-psychological environments and learning: A quantitative synthesis" 7 : 27-36, 1981

      35 Kim, Doo Hwan, "Social relation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112 (112): 105-127, 2013

      36 Fraser, Barry, "Research on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in the 1970's and 1980's" 6 : 221-223, 1980

      37 Trickett, E. J., "Personal correlates of contrasting environments: Student satisfactions in high school classrooms" 2 (2): 1-12, 1974

      38 Berndt, Thomas J., "Friends’ influence on adolescents’ adjustment to school" 66 : 1312-1329, 1995

      39 Hallinan, M, "Curriculum differentiation and high school achievement" 3 : 41-62, 1999

      40 Punch, K. F., "Cooperative and competitive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ir effects on behavior,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43 : 158-160, 1997

      41 Moos, R. H., "Conceptualizations of human environments" 652-665, 1973

      42 Lopez, V., "Classroom matters: The incidence of classroom climate on perceptions of peer intimidation and victimization" 11 (11): 91-101, 2012

      43 Huang, M. H., "Classroom homogeneity and the distribution of student math performances: A country-level fixed-effects analysis" 38 : 781-791, 2009

      44 배병렬, "AMOS 17. 0 구조방정식모델링-원리와 실제" 청람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8-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Sociology Of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Soci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66 2.66 2.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9 2.34 3.32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