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1~4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청년취업자를 대상으로 비인지적 능력이 본인의 지위획득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해보고 기타 요인들 간의 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1~4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청년취업자를 대상으로 비인지적 능력이 본인의 지위획득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해보고 기타 요인들 간의 구...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1~4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청년취업자를 대상으로 비인지적 능력이 본인의 지위획득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해보고 기타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및 남녀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비인지적 능력, 친한 친구 성향, 업무와 교육수준일치 정도, 취업사교육, 해외어학 연수기간, 수능등급을 주요 영향 요인 및 변수로 구성하여 본인의 지위획득 결정요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비인지적 능력은 수능등급과 마찬가지로 개인의 지위획득에 강력한 정적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직무일치도와 해외어학 연수기간 역시 본인의 지위획득에 유의미한 직접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취업사교육의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도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어 세대 간 지위이동이 개방적이지 않다는 점을 명확히 드러냈다. 한편, 남녀 집단별 비교분석 결과, 비인지적 능력의 영향력은 남성 집단의 경우에만 강력하게 발휘되고 있었으며 여성 집단의 경우에는 남성 집단에 비해 수능성적이 본인의 지위획득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에서 비인지적 능력이 지위획득에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인지적 성취지향일변도의 교육생태계에 전면적인 변화가 필요함을 주장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비인지적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학교교육으로의 변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non-cognitive abilities on young employees’ status attainment, using 2007-2010 Youth Panel data from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KEIS). It also identifi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determinants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non-cognitive abilities on young employees’ status attainment, using 2007-2010 Youth Panel data from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KEIS). It also identifi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determinants of status attainment and how the relationships vary by gender.
The results show that non-cognitive abilities, together with SAT score variable, have strong positive influence on socio-economic status of young employees. However, the other findings show that employment-oriented private tutoring experience did not guarantee better socio-economic status, whereas overseas language course experience and job match do. In addition, those with higher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re likely to attain higher socio-economic status, implying the intergenerational inheritance in status attainment. Finally, multi-group analysis by gender reveals that the effect of non-cognitive abilities on individual status attainment is much stronger in the male group than in the female group, whereas the effect of SAT score on it in the female group.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current school environment oriented in improving cognitive abilities among students should be shifted to the direction of enhancing their non-cognitive abilities.
참고문헌 (Reference)
1 여유진, "한국에서의 교육을 통한 사회이동 경향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8 (28): 53-80, 2008
2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3 이두휴, "학력 인플레이션의 지역 간 분화와 지역 격차" 31 (31): 133-149, 1993
4 김기헌, "학교에서 직업으로의 이행―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65-93, 2003
5 김해동, "청년층의 직업선택과 세대간 직업이동"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 (5): 121-146, 2002
6 김진영, "창의성에 대한 자기평가를 중심으로 살펴본 교육노동시장 연계성과" 32 (32): 61-93, 2010
7 이자형, "전공계열에 따른 대졸자 노동시장성과의 결정요인: 인문ㆍ사회계열과 자연ㆍ공학계열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2 (22): 199-226, 2012
8 이상준, "자격증이 임금, 노동이동에 미치는 효과:기능사 2급 자격증을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29 (29): 145-169, 2006
9 이자형, "일반계 고등학생의 비인지적 능력 결정요인에 대한 구조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205-233, 2011
1 여유진, "한국에서의 교육을 통한 사회이동 경향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8 (28): 53-80, 2008
2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3 이두휴, "학력 인플레이션의 지역 간 분화와 지역 격차" 31 (31): 133-149, 1993
4 김기헌, "학교에서 직업으로의 이행―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65-93, 2003
5 김해동, "청년층의 직업선택과 세대간 직업이동"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 (5): 121-146, 2002
6 김진영, "창의성에 대한 자기평가를 중심으로 살펴본 교육노동시장 연계성과" 32 (32): 61-93, 2010
7 이자형, "전공계열에 따른 대졸자 노동시장성과의 결정요인: 인문ㆍ사회계열과 자연ㆍ공학계열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2 (22): 199-226, 2012
8 이상준, "자격증이 임금, 노동이동에 미치는 효과:기능사 2급 자격증을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29 (29): 145-169, 2006
9 이자형, "일반계 고등학생의 비인지적 능력 결정요인에 대한 구조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205-233, 2011
10 송혜정, "인지적 성취와 비인지적 산출에 대한 학교효과의 대비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11 곽수란, "인문계 학생의 학업성취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29, 2006
12 최영섭, "이공계 고등교육 졸업생의 노동시장 이행 과정 분석- 일자리 유형별 취업 소요 기간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10): 1-24, 2007
13 조우현, "아버지 학력과 노동시장 불평등" 한국노동경제학회 27 (27): 67-89, 2004
14 임창규, "세대 간 직업계층 계승과 지속성 간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15 김수혜, "세대 간 지위이동 결정요인의 구조적 관계 : 사교육 및 어학연수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0 (20): 1-26, 2010
16 파이낸셜뉴스, "삼성 인사의 ‘끝판왕’ 이런 사람 원한다"
17 최준호, "사회자본의 직업성취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고졸 청년층의 사회 연결망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7 (17): 115-137, 2007
18 유승혜, "비서직 취업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전문대학 졸업생을 중심으로" 한국비서학회 16 (16): 151-173, 2007
19 장경문, "복잡하고 역동적인 의사결정 과제수행에 미치는 비인지적 요인들의 영향" 15 (15): 299-322, 2001
20 방하남, "변화와 세습: 한국 사회의 세대 간 지위세습 및 성취구조" 35 (35): 1-30, 2002
21 황덕순, "도시취업자의 세대간 직업이동과 세대내 이동" 24 (24): 35-62, 2001
22 장원섭, "대학에서의 취업준비와 노동시장 성과, In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와 성과(Ⅱ)논문집"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5-109, 2010
23 오성욱, "대학생의 직업가치 유형이 직무적합도 및 첫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2 (22): 1-19, 2009
24 박호원,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직업선택 가치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학생생활연구소 (5) : 63-88, 2000
25 장기영, "대학 졸업자의 첫 노동시장 이행 성과 결정요인 : 사회경제적 배경, 교육특성 및 이행준비 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26 이만기, "대졸자의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대한경영정보학회 29 (29): 245-266, 2010
27 장지현, "대졸자의 노동시장성공에 대한 구직정보 획득 경로 비교연구 : 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3 (33): 141-165, 2006
28 김정숙, "대졸자들의 취업준비 활동의 차이 및 직업이행 효과" 교육과학연구소 40 (40): 141-165, 2009
29 정태영, "대졸자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학점이 취업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8 (8): 159-184, 2005
30 박가열, "대졸자 취업 영향요인 분석" 3 (3): 29-59, 2009
31 이자형, "대졸자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의 구조적 관계 : 비인지적 능력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 (14): 27-54, 2011
32 채창균, "대졸 청년층의 취업 성과 결정 요인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89-107, 2009
33 황여정,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1-23, 2008
34 백병부, "대졸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12): 123-146, 2009
35 안재희, "대졸 여성의 취업에 대한 제도적 사회자본의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85-110, 2006
36 아시아투데이, "기업 인재상, 능력예절보다 열정과 친화력"
37 김주환,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38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39 김기헌, "교육과 직무의 불일치―한․일 대학졸업자들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51-77, 2005
40 장상수, "교육과 사회이동" 그린 2006
41 문호영, "고등학생의 심리경향과 직업가치관의 관계" 14 : 85-105, 2007
42 김희삼, "고등교육의 노동시장 성과와 서열구조 분석" 한국개발원 2007
43 국민일보, "‘스펙은 가라!’ 하반기 대기업 이색 채용 늘어"
44 한겨레, "‘기업의 인재상’에 답이 있다"
45 한국고용정보원, "YP2007 1~4차년도 조사자료 유저가이드"
46 Blaug, M., "Where are we now in the economics of education?" 4 (4): 17-28, 1996
47 Tsang, C., "The unrelenting significance of minority statuses: Gender, ethnicity, and economic attainment since affirmative action" 21 : 61-80, 2001
48 Autor, D.H, "The skill content of recent technological change: An empirical exploration" 118 (118): 1279-1333, 2003
49 Hanushek E., "The role of cognitive skills in economic development" 46 (46): 607-668, 2008
50 Johnson, W., "The pivotal role of educaiton in the association between ability and social class attainment: A look across three generations" 38 : 55-65, 2010
51 Weel, B., "The noncognitive determinants of labor market and behavioral outcomes" 43 (43): 729-737, 2008
52 Heckman, J., "The importance of noncognitive skills: Lessons from the GED testing program" 91 (91): 145-149, 2001
53 Heckman, J.J., "The effects of cognitive and noncognitive abilities on labor market outcomes and social behavior" 24 (24): 411-482, 2006
54 Fioni, M., "The effect of home computer use on children's cognitive and non-cognitive skills" 29 : 55-72, 2010
55 Borghans, L., "The economics and psychology of personality traits" 43 (43): 972-1050, 2008
56 DeSeCo,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57 McLachlan, G.J., "The EM algorithm and extensions" Wiley 1997
58 Blau, P.M., "The American Occupational Structure" Wiley 1967
59 Jennings, J.L., "Teacher effects on social and behavioral skills in early elementary school" 83 (83): 135-159, 2010
60 Breen, R., "Status attainment or job attainment? : The effects of sex and class on youth unemployment" 35 (35): 363-386, 1984
61 Behtoui, A., "Social capital, status and income attainment in the workplace" 32 (32): 42-55, 2012
62 Bowles, S., "Schooling in capitalist Ameirca" Basic Books 1976
63 홍세희, "Program2 구조방정식 모형: 중급" S&M 리서치 그룹 2011
64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11
65 Silles, M.A., "Personality, education and earnings" 18 (18): 131-151, 2010
66 Jackson, M., "Personality traits and occupational attainment" 22 (22): 187-199, 2006
67 Tomer, J.F., "Personal capital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 increasingly important intangible source of economic growth" 29 (29): 453-470, 2003
68 Laband, D.N., "Occupational inheritance in agriculture" 65 (65): 311-314, 1983
69 Sewell. W.H., "Occupation and Earnings: Achievement in the Early Career" Academic Press 1975
70 Son, J., "Network diversity, contact diversity, and status attainment" 2012 : 1-13, 2012
71 Whelan, C., "Late industrialization and the increased merit selection hypothesis. Ireland as a test case" 18 : 35-50, 2002
72 Bandalos, D.L., "Item parcelling issu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New developments and techniqu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1
73 Hoe, S.L., "Issues and procedures in adop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3 (3): 76-83, 2008
74 Borghans, L., "Interpersonal styles and labor market outcomes" 43 (43): 816-858, 2008
75 Ganzeboom, H., "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9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25 : 201-239, 1996
76 Brennan, J., "Higher education and work - A conceptual framework, In Higher education and work" Jessica Kingsley Publishers 1996
77 Ghilarducci, T., "Female dual labour markets and employee benefits" 52 (52): 18-37, 2005
78 Cheung, G. W., "Evaluating goodness-of-fit indexes for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9 : 233-255, 2002
79 Dörfler, L., "Employer's demand for qualifications and skills: Increased merit selection in Austria, 1985-2005" 11 (11): 697-721, 2009
80 Bills, D.B., "Educational credentials and promotions: Does schooling do more than get you in the door?" 61 : 52-60, 1988
81 Nordin, M., "Education-occupation mismatch: Is there an income penalty?" 29 : 1047-1059, 2009
82 Robst, J., "Education and job match: The relatedness of college major and work" 26 : 397-407, 2007
83 Bourdieu, P., "Cultural reproduction and social reproduction, In Power and ideology in education" Oxford 1977
84 Negrey, C., "Creativity gaps and gender gaps: Women, men and place in the United States" 16 (16): 517-533, 2009
85 Farkas, G., "Cognitive skills and noncognitive traits and behaviors in stratification processes" 29 : 541-562, 2003
86 Rothstein, R., "Class and schools using social, economic, and educational reform to close the black-white achievement gap" Economic Policy Institute 2004
87 Cheng, H., "Childhood cognitive ability, education, and personality traits predict attainment in adult occupational prestige over 17 years" 81 : 218-226, 2012
88 Rosenbaum, J., "Beyond college for all: Career paths for the forgotten half" Russell Sage Found 2001
89 Arbuckle, J.L., "Amos 4.0 user's guide" Smallwaters Corporation 2009
90 Hall, M., "Adolescent cognitive skills, attitudinal/behavioral traits and career wages" 89 (89): 1261-1286, 2011
91 Blanden, J., "Accounting for intergenerational income persistence: Noncognitive skills, ability and education" 117 : 43-60, 2007
92 Schoon, I., "A transgenerational model of status attainment: The potential mediating role of school motivation and education" 205 : 72-82, 2008
93 Peters, C.L.O., "A primer for the estim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the presence of missing data: Maximum likelihood algorithms" 11 (11): 81-95, 2002
학업자아개념에 대한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글로벌라이제이션과 교육사회학 탐구영역의 변화 ― Esping-Andersen의 사회이론을 중심으로 ―
경쟁환경이 자아존중감, 교우관계, 학교불만족, 비행에 미치는 영향 ― 2006, 2009 다집단 분석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7-2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8-3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Sociology Of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Sociology of Education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66 | 2.66 | 2.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39 | 2.34 | 3.328 | 0.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