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정신과학적 교육학에서 본 교육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utonomy of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807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교육의 제반적 현상 속에서 “교육의 자율성”이라는 용어는 교육 행정가들 뿐 아니라 교육적 현실 속에서 교원들이 항상 주장하는 용어가 되었다. 그들은 교육의 중앙집권적인 통제나 간섭으로부터 해방되어 행정의 효율성을 위한 방편으로, 또는 교육의 전문성확보를 위해 그들의 권위를 확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교육의 자율성을 강조한다. 특히 지방 자치화시대를 맞이하여 교육 부문에서의 교육 자치를 위한 철학적 기반으로 교육의 자율성을 등장시키곤 했다. 그렇다면 오늘날 교육학의 논쟁 속에서 교육 또는 교육학의 자율성이 단지 행정의 효율성이나 교육의 자치적 중립을 위한 또는 교육의 목표로서 자율인의 양성을 위한 철학적 기반을 의미하는가?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제기를 통하여 오늘날 교육 자율성의 의미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여 본다. 이것은 교육의 자율성이란 용어가 처음에 어떤 배경과 어떤 의미를 지니며 교육학의 용어로서 자리 잡을 수 있었는지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가능하다. 이를 토대로 오늘날 교육적 상황 속에서 빈번하게 사용되어 교육학의 전문용어로 자리 매김을 한 교육의 자율성에 대한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오늘날 교육의 제반적 현상 속에서 “교육의 자율성”이라는 용어는 교육 행정가들 뿐 아니라 교육적 현실 속에서 교원들이 항상 주장하는 용어가 되었다. 그들은 교육의 중앙집권적인 통...

      오늘날 교육의 제반적 현상 속에서 “교육의 자율성”이라는 용어는 교육 행정가들 뿐 아니라 교육적 현실 속에서 교원들이 항상 주장하는 용어가 되었다. 그들은 교육의 중앙집권적인 통제나 간섭으로부터 해방되어 행정의 효율성을 위한 방편으로, 또는 교육의 전문성확보를 위해 그들의 권위를 확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교육의 자율성을 강조한다. 특히 지방 자치화시대를 맞이하여 교육 부문에서의 교육 자치를 위한 철학적 기반으로 교육의 자율성을 등장시키곤 했다. 그렇다면 오늘날 교육학의 논쟁 속에서 교육 또는 교육학의 자율성이 단지 행정의 효율성이나 교육의 자치적 중립을 위한 또는 교육의 목표로서 자율인의 양성을 위한 철학적 기반을 의미하는가?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제기를 통하여 오늘날 교육 자율성의 의미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여 본다. 이것은 교육의 자율성이란 용어가 처음에 어떤 배경과 어떤 의미를 지니며 교육학의 용어로서 자리 잡을 수 있었는지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가능하다. 이를 토대로 오늘날 교육적 상황 속에서 빈번하게 사용되어 교육학의 전문용어로 자리 매김을 한 교육의 자율성에 대한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wadays the discussion about “autonomy of education” always appears in the general educational phenomenon. This educational term “autonomy of education” means that it is free from government control for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on, and it is a term that emphasizes the purpose of education of the establishment specialization of education and the training of free human being. But here is the question, whether this word “autonomy of education” today in the educational situation only for capability of educational institute for that destination of education is valid. The goal and task of this study are to answer these questions. In this context, one attempts as this word develops “autonomy of education” for itself in history and thought of education. One can take note in this way, which educational retain for itself contained in the word “autonomy of education”. In this way, it is so helpful that we can mean correctly by “autonomy of education”.
      번역하기

      Nowadays the discussion about “autonomy of education” always appears in the general educational phenomenon. This educational term “autonomy of education” means that it is free from government control for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on, an...

      Nowadays the discussion about “autonomy of education” always appears in the general educational phenomenon. This educational term “autonomy of education” means that it is free from government control for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on, and it is a term that emphasizes the purpose of education of the establishment specialization of education and the training of free human being. But here is the question, whether this word “autonomy of education” today in the educational situation only for capability of educational institute for that destination of education is valid. The goal and task of this study are to answer these questions. In this context, one attempts as this word develops “autonomy of education” for itself in history and thought of education. One can take note in this way, which educational retain for itself contained in the word “autonomy of education”. In this way, it is so helpful that we can mean correctly by “autonomy of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Ⅰ. 들어가는 글 Ⅱ. 교육적 현실에서 교육의 자율성의 의미 Ⅲ. 정신과학적 교육학에서의 교육의 자율성의 의미 Ⅳ. 맺는 글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 <요약> Ⅰ. 들어가는 글 Ⅱ. 교육적 현실에서 교육의 자율성의 의미 Ⅲ. 정신과학적 교육학에서의 교육의 자율성의 의미 Ⅳ. 맺는 글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육의 자율성의 재조명 교육학연구 제26권 제2호" 한국교육학회 7-14, 1988

      2 "한국 교육정책연구" 교육과학사 1990

      3 "학생의 자율성" 편 : 1988

      4 "지방교육자치제도의 철학적 기반 -교육의 자율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 주민통제의 의미와 한계-" 통 (통): 1997

      5 "정신과학적 교육학" 학지사 2004

      6 "자율적 학교 경영의 기초" 편 : 1988

      7 "자연주의 교육사상" 학지사 2003

      8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 교육개혁위원회 1995

      9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4

      10 "교직의 자율성" 교육 제12호 1980

      1 "한국교육의 자율성의 재조명 교육학연구 제26권 제2호" 한국교육학회 7-14, 1988

      2 "한국 교육정책연구" 교육과학사 1990

      3 "학생의 자율성" 편 : 1988

      4 "지방교육자치제도의 철학적 기반 -교육의 자율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 주민통제의 의미와 한계-" 통 (통): 1997

      5 "정신과학적 교육학" 학지사 2004

      6 "자율적 학교 경영의 기초" 편 : 1988

      7 "자연주의 교육사상" 학지사 2003

      8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 교육개혁위원회 1995

      9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4

      10 "교직의 자율성" 교육 제12호 1980

      11 "교육현실과 교육학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 문음사 2002

      12 "교육자치제와 교육의 자율성 교육학 연구 제26권 제2호" 한국교육학회 59-75, 1988

      13 "교육이념의 생활화 방향" 교육출판사 1977

      14 "교육의 전문성과 자주성에 관한 교육법 해석학" 대한교육법학회 7 : 19-35, 1995

      15 "교육의 역사와 철학" 동문사 2003

      16 "교과서 정책과 교육의 자율성 교육학연구" 한국교육학회 29-41, 1988

      17 "Paedagogik aus dreissig Jahren" 1949

      18 "Geschichte und Grundlinien des Systems herausgegeben von Otto Friedrich Bollnow" 1986

      19 "Entwuerfe zu einer Paedagogik der Person; gesammelte Aufsaetze" Bad Heilbrunn 1997

      20 "Einleitung in die Philosophie des Lebens herausgegeben von Georg Misch" 1961

      21 "Einleitung in die Geisteswissenschaften Versuch einer Grundlegung fuer das Studium der Gesellschaft und der Geschichte herausgegeben von Bernhard Groethuysen" 1962

      22 "Die paedagogische Bewegung in Deutschland und ihre Theorie" 1988

      23 "Die Vorlesungen aus dem Jahre 1826" 1966

      24 "Die Paedagogik Herman Nohls in ihrem Verhaeltnis zum Werk Wilhelm Diltheys und zur heutigen Erziehungswissenschaft" 196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69 2.047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