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큐레이팅 기반의 미디어아트 유형 분석 = The Analysis on the Type of Media Art Based on Cura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691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give artistic and aesthetic value to Media Art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rator`s role which is seeking for the meaning of artwork in the historical context. Therefore, to investigate a new type of curating methodology appropriate to Media art.
      Discussing canges art exhibition concepts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Media Art, Discussing about variation and expansion of curating methodology through analysis on the curating
      Examining diversity, expandability and prospects of curating field through not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with emphasis on medium such as Net Art, Web Art, Digital Art, Video Art, Visual Art and Computer Art but classification system with emphasis on curating`s purpose as installation, performance, urban environment and contents.
      Recently, Curating field is in the face of danger that loose its speciality by concept of curating is generalized used in contemporary society as a social trend over art society.
      Furthermore, In this paper attempts to searching for a way of establishing Media Art curating build its own independent area and speciality by means of creative art practice.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give artistic and aesthetic value to Media Art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rator`s role which is seeking for the meaning of artwork in the historical context. Therefore, to investigate a new type of curating methodology approp...

      This paper aims to give artistic and aesthetic value to Media Art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rator`s role which is seeking for the meaning of artwork in the historical context. Therefore, to investigate a new type of curating methodology appropriate to Media art.
      Discussing canges art exhibition concepts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Media Art, Discussing about variation and expansion of curating methodology through analysis on the curating
      Examining diversity, expandability and prospects of curating field through not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with emphasis on medium such as Net Art, Web Art, Digital Art, Video Art, Visual Art and Computer Art but classification system with emphasis on curating`s purpose as installation, performance, urban environment and contents.
      Recently, Curating field is in the face of danger that loose its speciality by concept of curating is generalized used in contemporary society as a social trend over art society.
      Furthermore, In this paper attempts to searching for a way of establishing Media Art curating build its own independent area and speciality by means of creative art pract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미디어아트에 예술적, 미학적 가치를 부여하며, 역사적 맥락에서 작품의 의미를 찾는 큐레이팅 역할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미디어아트에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큐레이팅 방법론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미디어아트 등장에 따른 미디어아트 전시 개념의 변화 살펴보고, 큐레이팅 기반의 미디어 아트 유형 분석을 통해 큐레이팅 방법론의 변화와 확장에 대해 논구한다. 넷아트, 웹아트, 디지털 아트, 비디오 아트, 비주얼 아트, 컴퓨터 아트 등의 매체 중심의 기존 미디어아트 분류 체계가 아닌 큐레이팅의 목적성에 따른 설치, 퍼포먼스, 도시환경, 컨텐츠 기반의 미디어아트 분류법으로 큐레이팅 영역의 다양성, 확장성, 그리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살펴본다.
      최근 큐레이팅의 개념이 미술계를 넘어 동시대 사회 트랜드의 현상으로 보편화되어 전문성 상실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디어아트 큐레이팅이 창조적 예술 활동으로써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고 전문성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미디어아트에 예술적, 미학적 가치를 부여하며, 역사적 맥락에서 작품의 의미를 찾는 큐레이팅 역할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미디어아트에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큐레이팅 방법론을...

      본 논문은 미디어아트에 예술적, 미학적 가치를 부여하며, 역사적 맥락에서 작품의 의미를 찾는 큐레이팅 역할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미디어아트에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큐레이팅 방법론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미디어아트 등장에 따른 미디어아트 전시 개념의 변화 살펴보고, 큐레이팅 기반의 미디어 아트 유형 분석을 통해 큐레이팅 방법론의 변화와 확장에 대해 논구한다. 넷아트, 웹아트, 디지털 아트, 비디오 아트, 비주얼 아트, 컴퓨터 아트 등의 매체 중심의 기존 미디어아트 분류 체계가 아닌 큐레이팅의 목적성에 따른 설치, 퍼포먼스, 도시환경, 컨텐츠 기반의 미디어아트 분류법으로 큐레이팅 영역의 다양성, 확장성, 그리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살펴본다.
      최근 큐레이팅의 개념이 미술계를 넘어 동시대 사회 트랜드의 현상으로 보편화되어 전문성 상실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디어아트 큐레이팅이 창조적 예술 활동으로써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고 전문성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 방법 및 범위 3
      • 제 2 장 큐레이팅, 큐레이터, 전시디자인 5
      • 2.1 큐레이팅 5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 방법 및 범위 3
      • 제 2 장 큐레이팅, 큐레이터, 전시디자인 5
      • 2.1 큐레이팅 5
      • 2.1.1 전통적 의미와 기능 5
      • 2.1.2 큐레이팅의 다변화 9
      • 2.1.3 의미의 확장 : 큐레이션(Curation) 13
      • 2.1.4 큐레이팅 방법론(Methodology) 16
      • 2.2 큐레이터 19
      • 2.2.1 전통적 의미 19
      • 2.2.2 역할 변화 24
      • 2.2.3 독립큐레이터의 출현 30
      • 2.3 전시 디자인 32
      • 2.3.1 전시 디자인의 개념 32
      • 2.3.2 전통적 전시 공간의 변화 39
      • 제 3 장 미디어아트 큐레이팅 43
      • 3.1 미디어아트의 시대적 배경 43
      • 3.2 미디어아트의 등장 44
      • 3.3 초기 미디어아트 전시 47
      • 3.3.1 오프라인 전시 47
      • 3.3.2 온라인 전시 49
      • 3.4 미디어아트 전시의 유형 52
      • 3.5 미디어아트 이전 전시와의 변별점 55
      • 3.5.1 시간 구성 55
      • 3.5.2 공간 구성 57
      • 3.5.3 기술 인프라(infrastructure) 구성 58
      • 3.6 인터페이스로써의 미디어아트 큐레이팅 62
      • 제 4 장 미디어아트 유형 분석 64
      • 4.1 설치(Installation) 기반 미디어아트 65
      • 4.2 퍼포먼스(performance) 기반 미디어아트 67
      • 4.3 도시환경(urban environment) 기반 미디어아트 70
      • 4.4 컨텐츠(contents) 기반 미디어아트 72
      • 제 5 장 결론 82
      • 참고문헌 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