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주와 성격검사의 공인(共因)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348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四柱의 과학성을 확립하기 위한 과정에서 사주에서 본 개인의 성격과 과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형성된 KPDI 성격 진단 검사 사이의 共因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사주 성격 해석의 타...

      본 연구는 四柱의 과학성을 확립하기 위한 과정에서 사주에서 본 개인의 성격과 과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형성된 KPDI 성격 진단 검사 사이의 共因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사주 성격 해석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탐색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대구 소재 20세 이상 남녀 47명이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가지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다. 먼저 양적 연구로서, KPDI의 요인들 중 사주의 성격 해석에서 양화가 가능한 8개 척도(주도성, 사교성, 자신감, 책임감, 사회화, 자기통제, 관용성, 지적효율성)를 선별하고, 사주를 KPDI의 조작적 정의에 맞춰 再 정의하여 이에 따라 사주 판단이 가능한 전문가(김태균)가 9점으로 평정하였다. 이 평정치와 KPDI T점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각 하위 요인 간 상관관계는 부분적이기는 하지만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사교성, 자신감, 자기통제 3개 요인에서 r=.252 ~.339) 특히 연령별 분석에서는 8개 측정 요인 중 사교성과 자신감은 매우 높은 관련성(최고 r=.814)을 보였다. 30대는 대부분의 요인에서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였고, 그 다음은 50대, 20대 순이었다.
      두 번째 방법은 질적 분석을 포함한다. 성격은 성격을 구성하고 있다고 간주된 요인들 간의 조합에 의해 각기 독특한 양상을 드러낸다. 따라서 요인들의 개별 점수보다는 그 요인들의 조합에 의한 각 개인의 전체적 인상 또는 패턴이 더 중요하다. 이런 관점에서 질적 접근은 앞서 양적 접근 보다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검증 방법은 사주상의 성격과 KPDI 결과를 공동연구자가 각각 따로 해석하고 그 결과를 10인의 평정자들이 두 검사간의 일치 정도를 평정하였다. 그 결과 전체 연령에서 평균 6점 이상의 일치정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사주의 성격 해석 방법은 KPDI 성격 진단 검사와 부분적이나마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사주성격해석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지속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prove the validity of a personality interpretation by Saju with common characteristics shared by KPDI’s Personality Diagnosis Inventory and Saju’s scientific approach. To do this job. we sampled 47 people older ...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prove the validity of a personality interpretation by Saju with common characteristics shared by KPDI’s Personality Diagnosis
      Inventory and Saju’s scientific approach.
      To do this job. we sampled 47 people older than 20 years old males and females in Seoul and Daegu and surveyed their Saju, employing the two approaches: the quantitative and the qualitative. First, for the quantitative, we selected 8 variables which could be compatibly measured within KPDI’s variables (dominance. sociability, self-respect, responsibility, socialization, self-control, tolerance, inteligent-efficacy.) With adjusted KPDI’s standard to Saju’s variables, the expert (Kim, Taegiun) reevaluated the results with 9 points. And, we compared Saju’s results with KPDI’s and induced their relativeness.
      As a result, the correlation in the lower parts of variables was partly but meaningfully related with each other (sociability, self-respect. and self-control indicate r=.252~.339). Especially, in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age. the two varialbles (socialblity and self-respect) revealed high-scores in the relativeness (maximum r=.814): the thirties showed high relativeness in most of the varialbles followed by the fifties and twenties.
      Second, for the qualitative, Personality carried out its own aspects made by the combination of its elemental composition. The whole impression, therefore, could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e individual point on each variable, in this respect, the qualitative approach had more meaningful than the quantitative. The qualitative was for co-researchers individually to interpret the personality from Saju and the result by KPDT. Finally, their consistency would be evaluated by 10 evaluators, in all age levels, however, the mean level of consistency was above 6 points.
      In conclusion. there was some meaningful relativeness in between Saju personality Interpretaion and KPDI personality Diagnosis Inventory. Therefore, It should suggest that we continue to study more about the validity of saju persaonalty Interpret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四柱의 성격 판단법
      • Ⅲ. KPDI 성격검사
      • Ⅳ. 연구 방법
      • Ⅴ. 결과 및 해석
      • Ⅰ. 들어가는 말
      • Ⅱ. 四柱의 성격 판단법
      • Ⅲ. KPDI 성격검사
      • Ⅳ. 연구 방법
      • Ⅴ. 결과 및 해석
      • Ⅵ.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 국문 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