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6학년 음악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성향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066078

      • 저자
      • 발행사항

        진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72.87

      • 발행국(도시)

        경상남도

      • 형태사항

        vi, 57p.: 삽도; 26cm

      • 소장기관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람은 태어나기 전 어머니의 뱃속에 있을 때부터 다양한 소리와 음을 들으면서 성장을 한다. 그리고 태어나면서 자신의 탄생을 알리는 울음 소리를 터뜨리고 커가면서 기쁘거나 슬플 때, ...

      사람은 태어나기 전 어머니의 뱃속에 있을 때부터 다양한 소리와 음을 들으면서 성장을 한다. 그리고 태어나면서 자신의 탄생을 알리는 울음 소리를 터뜨리고 커가면서 기쁘거나 슬플 때, 또는 일을 하거나 놀이를 할 때 등 일상 생활 속에서 음악과 관계를 맺으면서 성장을 한다. 이렇듯이 언어가 전달할 수 없는 내면의 세계를 음이라는 소리를 사용하여 표현하고 전달하는 예술 장르인 음악을 학교에서 교과로 정해 가르치고 있다. 이는 미적으로 성숙하고 음악을 향유하는 조화로운 인격을 갖춘 인간을 기르기 위해서이다. 학교에 들어와 음악 수업을 접하면서 처음에는 너무나 재미있어하며 적극적으로 활동을 하던 학생들이 어느 순간이 되면 음악 수업을 싫어하고 기피하는 현상들을 볼 수 있게 되었는데 특히 저학년보다는 고학년으로 갈수록 그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이에 왜 학생들에게서 그런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알고자 하는 생각에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리고 음악 교육 현실에 있어서 학생들의 음악적 욕구와 지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악 수업의 내용이나 교육 방법 및 교육 환경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수업의 현 실태를 파악하여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활동할 수 있는 음악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 방안과 방향을 찾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진주시 4개 학교의 6학년 42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401부의 설문지를 토대로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방식을 택하여 이루어졌다. 설문지 내용은 음악 수업에 대한 성향, 음악 수업의 실제, 음악 수업의 환경 여건, 음악 수업의 필요성을 주 항목으로 하여 구성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수업 시간을 남학생들은 기다리지 않으며 음악 수업 시간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들은 음악 수업 시간을 다소 기다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창, 기악, 감상 활동에서는 좋아한다는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났으나 창작 활동은 좋아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응답이 나타났다. 다른 교과 수업과 비교했을 때 남학생들은 다른 교과 수업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많았다.
      둘째, 음악 수업 시수는 현재의 2시간이 적당하다는 의견이 나왔으며 가장 많이 배운 활동 영역으로는 가창이, 가장 즐거운 활동 영역으로는 감상이, 가장 배우고 싶은 활동 영역으로는 기악 활동으로 나타났다. 수업 시간에 1-2곡 정도의 건전 가요를 배웠다는 학생들의 응답이 141명(35.2%)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음악 수업 담당 교사 여부와 무관하게 배울 필요가 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 음악실에 대해서는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나왔으며 가창 수업시 주로 사용되는 음악 기자재는 컴퓨터(ICT)가 많았으며 기악 수업시 음악 기자재 활용도는 전담선생님이 담임선생님보다 약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 수업을 통해 인격 형성, 정신적 건강과 삶의 질 향상, 음악적 소양 향상, 창의성 계발 도움 정도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났으며 음악 과목에 대한 필요성에서도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다양한 악곡과 음악 활동을 통하여 음악성과 창의성을 기르고, 음악적 정서를 풍부하게 하는 음악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인식하고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따른 음악 지도법을 개발하여야겠다. 또한 학생들 스스로 음악적 아이디어를 창출하여 그들만의 방식으로 악곡을 표현할 수 있는 경험을 최대한 제공하여 창의성과 음악성을 기를 수 있는 보다 포괄적인 음악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en grow as they listen to various sounds and music from when they are in their mother’s womb. Also, from the time a crying sound announces their birth they grow while having a relationship with music in their daily lives when they are happy or sad ...

      Men grow as they listen to various sounds and music from when they are in their mother’s womb. Also, from the time a crying sound announces their birth they grow while having a relationship with music in their daily lives when they are happy or sad or at work or play. Likewise, music is taught as one of subjects at school, and it is a genre of art that expresses and delivers an inner world that cannot be delivered with language, by using a sound called music. This is to enable people to grow with a harmonious personality and to mature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and enjoy music. There have been example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actively in music class and had much fun when they began to learn music at school, but they then started to dislike and avoid music class from a certain point. In particular, this was notable as students reached the higher grades. Therefore, this study started to conduct research to see why such a problem appears with students.
      Also, this study aims to find out improvement strategies and a direction for realizing music classes where students perform and participate actively by identifying the current classes that generate an interest in the contents of a music class or an education method and education environment that may enhance the desire of students for musical desire and knowledge as well as ability in Korea’s actual music education situation.
      This study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420 sixth graders in four schools in Jinju, and a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were applied using 401 copies of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mainly organized as the interest in the music class, reality of the music class, environment of the music class, and the need for the music class.
      The results obtained from questionnaire include the following.
      First, boy students were found not to wait expectantly for the music class and not to like the music class very much, whereas girl students were found to wait expectantly for the music class. Although there were positive answers such as boy students like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engaging in appreciation activities, there were negative answers that they do not like creative activity. Compared with other classes, boy students were likely to prefer other classes to the music cla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opinion that it is proper to allow the current two hours for a music class, and it was shown that the area of activity that students learned most was singing, the area of most enjoyable activity was appreciation, and the area that students desired to learn most was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Also, 141 respondents (35.2%) were found to have learned about 1-2 pieces of a sound in the class, which was the answer with the highest response rate, while another positive answer with a high rate was that it is necessary to learn regardless of whether there is a music teacher or not.
      Third, there were responses that respon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school music room and that computers (ICT) were mainly used as musical equipments for singing class. Also, for the use of musical equipment in the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class, music teachers were shown to utilize musical equipment more than homeroom teachers.
      Fourth, there were positive answers to the help of the music class in the creation of personality, enhancement of mental health and life quality, improvement of musical talent, and development of creativity, while there was a high positive response to the question that they feel the necessity of the music subject.
      In order to enable students to cultivate a musical sense and creativity through diverse musical pieces and musical activities and to achieve the goal of music education that enriches musical emotions, it is necessary to invent music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hase of the students while perceiving the needs of the student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offer a more comprehensive music class so that students can cultivate creativity and musical talent by allowing them to experience the expression of musical pieces in their own ways to the utmost by creating musical ideas by themselv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 3. 연구의 제한점 = 3
      • Ⅱ. 초등학교 음악 교육의 이해 = 4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 3. 연구의 제한점 = 3
      • Ⅱ. 초등학교 음악 교육의 이해 = 4
      • 1. 음악 교육의 특성 및 목적 = 4
      • 가. 음악 교육의 특성 = 4
      • 나. 음악 교육의 목적 = 5
      • 2. 고학년의 발달 특징 및 음악 지도법 = 6
      • 가.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달 특징 = 7
      • 나. 초등학교 고학년의 음악 지도법 = 8
      • Ⅲ. 연구의 실제 = 11
      • 1. 조사 대상 및 기간 = 11
      • 2. 연구 성격 및 수행 = 12
      • 3. 자료 처리 방법 = 13
      • Ⅳ. 연구 결과 분석 및 해석 = 14
      • 1. 음악 수업에 대한 성향 = 14
      • 2. 음악 수업의 실제 = 23
      • 3. 음악 수업의 환경 여건 = 30
      • 4. 음악 수업의 필요성 = 35
      • Ⅴ. 결론 및 제언 = 42
      • 1. 결론 = 42
      • 2. 제언 = 44
      • 참고 문헌 = 47
      • Abstract = 49
      • 설문지 = 5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